2017. 12. 23.
이번 크리스마스 연휴에 그 동안 확인하고 싶었던 욕지도의 모밀잣밤나무숲을 찾았다.
현재 우리 나라의 난대림과 일본에 걸쳐 자라는 것은 대부분 구실잣밤나무이며, 모밀잣밤나무는 매우 드물다고 한다.
기록상으로 모밀잣밤나무가 가장 많이 자라는 숲은 통영 욕지도의 천연기념물 343호로 지정된 모밀잣밤나무 숲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욕지도는 통영에서 배를 타고 1 시간 정도의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곳으로 배편도 꽤 많은 편이라서
비수기인 겨울에는 예약을 하지 않고도 바로 배표를 구할 수 있다.
항구 옆에 자리잡고 있는 모밀잣밤나무숲은 곧바로 찾기 쉬웠다.
숲으로 들어가는 입구 안내판에 기록되어 있는 글을 보면 모밀잣밤나무 숲에는 다양한 남부의 수종이 함께 어울려 있는데
마지막 문구에 희귀식물인 땅비싸리도 자라고 있다는 내용에는 피식 웃음이 나왔다.
아마도 남부 해안 도서 지역에 자생하는 희귀식물인 좀땅비싸리의 오기일텐데 그냥 땅비싸리라니
이런 잘못된 정보가 아무런 의심도 없이 퍼 날라지고 있는데 심지어 산림청에서 운영하는 블로그에도 그대로 옮겨서 기록하고 있으니........
모밀잣나무 숲을 탐사하면서 열매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닥을 뒤적거리면서 열매를 찾았다.
헌데 바닥에 떨어진 열매가 구실잣밤나무 열매보다 별로 작다는 느낌을 받지 못하였다.
도감의 내용에 의하면 구실잣밤나무 열매는 길이가 1.5-2cm으로 난상 장타원형 이고
모밀잣밤나무 열매는 지름이 1.2cm으로 난상 원형으로 기록되어 있다.
아마도 모밀잣밤나무는 지름이 아니라 길이일텐데 오기로 봐야 할 것 같다.
아무튼 이렇게 열매의 모양과 크기에 차이가 있다는 것인데....
고개를 갸웃거리면서도 비교해 보면 다르겠지 하고 열매를 한 줌 정도 주웠는데....
주워 온 모밀잣밤나무 열매는 대부분 1.5cm 크기 이상으로 난상 원형이 아니라 장타원형으로
제주도에서 담아 왔던 구실잣밤나무 열매의 크기와 비교해 보면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면 과연 욕지도의 이 수종이 모밀잣밤나무일까 의심하지 않을 수가 없다.
(모눈종이 가로 길이가 8cm)
모밀잣밤나무(욕지도) |
구실잣밤나무(제주도) |
아래 사진의 모밀잣밤나무 중에서 열매가 작은 게 있긴 하지만 형태도 장타원형이고
일부 열매의 크기만 가지고 모두 구실잣밤나무 열매보다 작다고 할 수는 없다.
모밀잣밤나무 |
구실잣밤나무 |
나무 교수로 유명한 전 경북대 전 박상진 교수의 글을 보면
욕지도의 모밀잣밤나무 숲은 1984년에 천연보호림으로 지정된 이후, 한 번도 제대로 조사한 적이 없어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내용도 있으니.....모밀잣밤나무가 아니라 구실잣밤나무일 거라는 나의 의심에 더 확신을 가질 수 밖에.
(모눈종이 가로 길이 7cm)
모밀잣밤나무 |
구실짓밤나무 |
구실잣밤나무와 모밀잣밤나무응 열매 이외에는 거의 구분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안내판에는 100여 그루의 모밀잣밤나무가 있다고 하는데 관리번호가 붙은 팻말에는 4백 번이 넘는 번호까지 있었다.
나무의 수피는 거의 갈라지지 않는 것에서부터 밤나무처럼 깊게 갈라진 것도 보이는데
수령이 오래 된 녀석은 수피가 밤나무처럼 깊게 갈라지고 있었다,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을 탐사하고 난 후의 내 느낌은......
글쎄.......과연 모밀잣밤나무일까??? 아니올시다.
.
구실잣밤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1 hhttps://qweenbee.tistory.com/8893782
https://qweenbee.tistory.com/8895791 https://qweenbee.tistory.com/8897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716 https://qweenbee.tistory.com/8899379 https://qweenbee.tistory.com/8901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2337 https://qweenbee.tistory.com/8902440 https://qweenbee.tistory.com/8906324
구실잣밤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50 https://qweenbee.tistory.com/8893053
https://qweenbee.tistory.com/8893159
구실잣밤나무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4340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2
https://qweenbee.tistory.com/8892137 https://qweenbee.tistory.com/8895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4945 https://qweenbee.tistory.com/8895314
https://qweenbee.tistory.com/8896964 https://qweenbee.tistory.com/8898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0261 https://qweenbee.tistory.com/8901788
https://qweenbee.tistory.com/8906304 https://qweenbee.tistory.com/8909889
구실잣밤나무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7036 https://qweenbee.tistory.com/8894921
https://qweenbee.tistory.com/8901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7
구실잣밤나무 동아: https://qweenbee.tistory.com/8909889 https://qweenbee.tistory.com/8895123
모밀잣밤나무(욕지도)?? : https://qweenbee.tistory.com/8901898
모밀잣밤나무 종자 ?? : https://qweenbee.tistory.com/8901897
너도밤나무 꽃: https://qweenbee.tistory.com/8902303 https://qweenbee.tistory.com/8902304
https://qweenbee.tistory.com/8908768
너도밤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4150
너도밤나무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0183 https://qweenbee.tistory.com/8890182
너도밤나무 동아와 새싹: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3
밤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86 https://qweenbee.tistory.com/8896004
밤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7009
밤나무 동아: https://qweenbee.tistory.com/8898980
*****************************************************************************************
나도밤나무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3783 https://qweenbee.tistory.com/88959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00 https://qweenbee.tistory.com/8902755
https://qweenbee.tistory.com/8905607
나도밤나무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2575 https://qweenbee.tistory.com/8892576
https://qweenbee.tistory.com/8894137
나도밤나무 새순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85
나도밤나무 동아오 수피 : https://qweenbee.tistory.com/8909790
https://qweenbee.tistory.com/8900610
합다리나무 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2092 https://qweenbee.tistory.com/8895677
https://qweenbee.tistory.com/8895836 https://qweenbee.tistory.com/8896098
https://qweenbee.tistory.com/8902687 https://qweenbee.tistory.com/8902752
https://qweenbee.tistory.com/8905536
합다리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663 https://qweenbee.tistory.com/8889276
합다리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901794 https://qweenbee.tistory.com/8901795
https://qweenbee.tistory.com/8902110
합다리나무 치수 : https://qweenbee.tistory.com/8905606
나도밤나무/합다리나무 비교 : https://qweenbee.tistory.com/8902111
'이야기나누기 > 탐사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색의 계곡을 걸으며-털개회나무, 산솜다리,금낭화,팥배나무,돌양지꽃,서어나무,박달나무,털조록싸리,난티나무,고추나무,물참대,금마타리,뽕잎피나무 (0) | 2018.05.20 |
---|---|
천성산의 봄나들이-꿩의바람꽃 흰털괭이눈,애기괭이눈,얼레지,중의무릇,큰괭이밥,노루귀, 꼬리까치밥나무,서어나무,느릅나무,물개암나무,가치박달 (0) | 2018.03.27 |
거제도에서 (0) | 2017.10.25 |
백두산 탐사 7-이도백하로 오는 길-제비동자꽃/털석잠풀/왕별꽃/단풍잎터리풀/검종덩굴/매화마름/독미나리/물앵도나무 (0) | 2017.08.30 |
백두산 탐사 6-왕지-큰산좁쌀풀/대극/각시취/민박쥐나물/도깨비엉겅퀴/만삼/비로봉쑥/명천쑥/냉초/왜우산풀/분홍바늘꽃/새삼/댕댕이나무/긴잎곰취 (0) | 2017.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