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849

초종용(열당과 초종용속)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2025. 5. 10. 제주. 흰색 초종용도 역시 본지가 20년 가까이 된 것 같다. 2025. 5. 21.
초종용(열당과 초종용속)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2025. 5. 10. 제주도. 서편은 자주 가지 않아서 이 녀석도 오랜만에 만난다. 2025. 5. 21.
국화잎다닥냉이(배추과 다닥냉이속) Lepidium bonariense L. 2025. 5. 10. 제주. 제주도에서 오랜만에 다시 만나니 반갑다.제주도 식물을 보고 다니기 시작하던 2010년도에 우연하게 만나고부산의 항만 부두 주변에서 두번 째로 만난 이후 보지 못하던 녀석이다. 꽃의 구조와 열매가 다닥냉이속으로 잎이 가늘고깊게 갈라져서 국화잎이란 접두어를 달게 된 녀석이다. 꽃잎 4장 수술 2개 잎이 빗살 모양으로 깊게 갈라져 있다. 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1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9 https:/.. 2025. 5. 21.
(흰)갯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Silene aprica Turcz. var. oldhamiana (Miq.) C.Y.Wu 2025. 5. 7. 제주. 이 곳 해안 올래길에는 유난히 흰색 갯장구채가 많다. 2025. 5. 20.
나도수정초(진달래과 나도수정초속) Monotropastrum humile (D.Don) H.Hara 2025. 5. 11. 제주. 첫 날 보았던 녀석과 다른 장소의 녀석이다. 자주 만나지 않기도 하거니와 이렇게 큰 무리는 난생처음이라 연신 감탄사를 날렸다. 나도수정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9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0https://qweenbee.tistory.com/8900182 https://qweenbee.tistory.com/8896547https://qweenbee.tistory.com/8899457 https://qweenbee.tistory.com/8902617https://qweenbee.tistory.com/8902618 https://qweenbee.tistory.com/89040.. 2025. 5. 14.
비자란(난초과 비자란속) Thrixspermum japonicum (Miq.) Rchb.f. 2025. 5. 11. 제주. 이틀 전에 왔을 때 피었던 녀석은 지고 새로운 꽃이 더 피었다. 2025. 5. 14.
방울새풀 (벼과 방울새풀속) Briza minor L. 2025. 5. 8. 제주. 자세히 들여다 보면 벼과들도 소수가 이쁘다. 방울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10431 https://qweenbee.tistory.com/8911994 2025. 5. 13.
(흰)갯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Silene aprica Turcz. ex Fisch. & C.A.Mey. var. oldhamiana (Miq.) C.Y.Wu 2025. 5. 8. 제주. 이 곳에는 온통 흰색의 갯장구채만 나타난다.식생이 참 다양한 해안 올레길이었는데 거의 황폐화 되었다. 2025. 5. 13.
암대극(대극과 대극속) Euphorbia jolkinii Boiss. 2025. 5. 8. 제주. 풍경버전으로 화각이 넓은 폰으로"김치~!!! ~~" 2025. 5. 12.
갯쇠돌피(벼과 쇠돌피속) Polypogon monspeliensis (L.) Desf. 2025. 5. 8. 제주. 갯강아지풀도 아닌게.....본 적이 있는 것 같은데 뭘까? 하고 갸웃거렸는데갯쇠돌피였다.벼과 자료에 3건이나 올려 놓고도 다 까먹었다. 쇠돌피에 비하여 호영과 포영의 가락이 길다.꽃차례 가지는 축에 밀착하거나 비스듬히 벌어진다.주로 바닷가 근처에서 자란다. 결실기의 이삭 쇠돌피 : https://qweenbee.tistory.com/8907370갯쇠돌피 : https://qweenbee.tistory.com/88978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369 https://qweenbee.tistory.com/8907472 2025. 5. 12.
털개구리자리(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sardous Crantz 2025. 5. 8. 제주. 탐사지로 들어가는 초입에서부터 안쪽 너른 ㄳ 까지 밭뙈기를 이루고 있다. 2023년에 제주도에 갔다가 우연하게 녀석을 만나고 미기록종이라 좋아라 했었는데이미 제주도에서 발견되어 2019년에 보고된 털개구리자리였었다. . 이 녀석은 2018년 제주도 서귀포 하논에서 처음 발견이 되었는데,제주도 두 지역에서 군락을 이루며 퍼지고 있었다고 보고 되었다. 지금 이 녀석의 퍼지는 기세를 보아하니 주변의 노지를 인정사정 없이 점령하는 폼이 환경위해식물로 될 것 같다.줄기의 털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 2025. 5. 12.
등심붓꽃(붓꽃과 등심붓꽃속) Sisyrinchium rosulatum E.P.Bicknell 2025. 5. 8. 제주. 제주도애 정착하고 있는 일본과 대만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종으로 남부지방과 대구까지 올라와 있다. 빛이 너무 강하여 주변의 녀석들이 와글와글이다.대충 퍽샷으로....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5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