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959 몽골식물 - 몽골아몬드 (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mongolica Maxim. 2025. 6. 23. 몽골 엘슨타스라이 호수. 바위산 건조한 바위 틈에 짧은 가지 끝이 가시화되어 있고두껍고 광택 있는 작은 잎의 바짝 낮은 키로 앉아 있는 관목이다. 열매가 익으면 저절로 벌어져서 핵과 씨앗이 드러나는데 주민들은 이 열매를 채취한다고 한다 익어서 벌어진 열매(펌) 복사앵도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8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48 https://qweenbee.tistory.com/8912038복사앵도나무.. 2025. 7. 25. 몽골식물 - 몽골식물 - 러넌큘러스 킹마엔시스 Ranunculus kangmaensis W.T.Wang 2025. 6. 22. 테를지 초지 습원.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 https://qweenbee.tistory.com/8902037 https://qweenbee.tistory.com/8900795 https://qweenbee.tis.. 2025. 7. 25. 몽골식물 -미나리아재비과 덩굴미나리속 Halerpestes salsuginosa Greene 2025. 6. 23. 몽골 엘슨타스라이 호수 주변 초지에 Halerpestes salsuginosa 가 노랗게 무리지어 꽃을 피웠다.덩굴미나리아재비속 중에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 https://qweenbee.tist.. 2025. 7. 25. 몽골식물 - 콩과 묏황기속? 2025. 6. 21. 몽골 흡수굴. Hedysarum inundatum 인가 싶어서 찾아 보니 이 녀석은 3쌍 짝수깃꼴로 엽형과 소엽의 수가 다르다. 2025. 7. 25. 몽골식물 - 콩과 갯활량나물속 Thermopsis dahurica Czefr. 2025. 6. 25. 몽골 흡수굴. 산새콩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15 https://qweenbee.tistory.com/8891746https://qweenbee.tistory.com/8891747 https://qweenbee.tistory.com/8895660https://qweenbee.tistory.com/8891938 https://qweenbee.tistory.com/88993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661산새콩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36 https://qweenbee.tistory.com/8891609 https://qweenbee.tis.. 2025. 7. 25. 몽골식물 - 배추과 ?? 2025. 6. 25. 몽골 흡수굴. 호수변에서 만난 이 녀석은 엽저에 귀가 발달하여 줄기를 감싸고 잎과 줄기 모습은 장대나물과 비슷하다. 2025. 7. 25. 몽골 식물 - 별꽃속 Stellaria cherleriae=>아데노네마속 Adenonema cherleriae (Fisch. ex Ser.) M. T. Sharples et E. A. Tripp 2025. 6. 21. 몽골. 테를지 바위산 탐사 후 내려오던 초지에서 만났던 한 포기 2024 내몽골과 2022 몽골에서도 만난 적이 있던 구면이라서 더 반가웠다. 남부 시베리아 Dahur Siberia에서 남쪽으로 몽골 (사막 고비 aimags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자란다)을 통해 중국 북부 허베이, 산시 및 산시 지방에 분포하는 분류군. 최근에는 헤이룽장성 북부 지역에서도 기록되고 있다. 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591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4https://qweenbee.tistory.com/8891440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4 https://qwee.. 2025. 7. 25. 몽골식물 - 석죽과 장구채속 Silene orientalimongolica Kozhevn. ? 2025. 6. 26. 몽골 분화구 주변. 키가 작고 연약한 느낌의 석죽과 녀석이 풀들 사이에 몇 포기 보인다.처음에는 얼핏 보고 말뱅이나물인가 싶었는데 사진을 보니 총포가 쟁구채속이다. Silene orientalimongolica Kozhevn. 에 근접하긴 한데.......원산지는 E. 유럽 러시아에서 러시아 극동 및 신장이라고 하는데실려진 표본이다. 끈끈이장구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81 https://qweenbee.tistory.com/8888471https://qweenbee.tistory.com/8888216 https://qweenbee.tistory.com/8886414https://qweenbee.tistory.com/88923.. 2025. 7. 25. 몽골식물 -산형과 3 2023. 6. 29. 몽골 흡수굴. 2025. 7. 25. 몽골식물 - 산형과 2 2023. 7. 1. 2025. 7. 25. 몽골식물 - 산형과 1?? 2025. 6. 24. 몽골 흡수굴. 호숫가에서 만난 녹색의 꽃을 피우는 산형과 당귀속 녀석이다.2023년에도 녹색 꽃차례를 가진 당귀속 녀석 Angelica decurrens을 만나긴 했는데화서와 잎의 형태가 그 녀석과는 다른 종이다. 줄기 기부에서 가지가 총생하고 엽형의 총포와 선형의 소총포가 많다. 당귀속도 아닌 것 같다.근접한 녀석이 Stenocoelium athamantoides 로 보이긴 한데.....총포 모습과 소산경의 길이도 다르고.... 꽃잎은 약간 붉은색을 띠고 있다. 2025. 7. 25. 몽골식물 - 꽃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petaloideum L. 2025. 6. 21. 몽골테를지.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ee.tistory.com/8896940 꿩의다리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26 https://qweenbee.tistory.com/8903142 .. 2025. 7. 25. 이전 1 2 3 4 ··· 4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