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871 참대극(대극과 대극속) 이라고?? Euphorbia lucorum Rupr. 2025。6。7。중국화룡。 이 녀석이 참대극이라고 했다만난 적이 없는 녀석이라서 정체를 찾아보았다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참대극 Euphorbia lucorum 학명으로 중국식물지에 검색을 하니중국명 林大戟(린다지)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참대극 Euphorbia lucorum 세밀화를 보면 열매 형태나 돌기 모양도 다르고 2차 포엽에 2개의 꽃가지가 발생하는 점에서는 Euphorbia micractina 와 일치하긴 하는데 엽형은 Euphorbia lucorum 와 일치한다。 화룡에서 만난 녀석은 두 가지 타잎이었지만열매의 돌기 모습이 같고 마지막 꽃가지 발생 수가 다른 것은 개체의 생육 상태에 따라 2~3개로 나타날 수 있다는 생각인데개체1은 원줄기의 털이 없는 것과 개체2는 털이 많다는 점이 다르다는 .. 2025. 6. 17. 백두산식물 -선주름잎(현삼과 주름잎속) Mazus stachydifolius (Turcz.) Maxim. 2025. 6. 7. 중국 화룡. 화룐 작은 산에서 나오다가 다시 찾아낸 두포기의 선주름잎이다. 일반적으로 가지가 많이 발생하는데 한 녀석은 원줄기만 꼿꼿하게 자라고 있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주름잎 : https://qweenbee.tistory.com/8898814 https://qweenbee.tistory.com/8902527 https://qweenbee.tistory.com/8905647주름잎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411흰색 주름잎 : https://qweenbee.tistory.com/8893657 https://qweenbee.tistory.com/8900419 https://qweenbee... 2025. 6. 17. 백두산식물 - 복주머니란/얼치기복주머니란/노랑복주머니란 2025. 6. 7. 연길 회룡. 국내에서 보던 붉은색의 복주머니란은 보이지 않고 얼치기복주머니란만 몇 군데 보인다.2019년에 한번 와 봤다는 기억이 있는데 군락은 그대로 있기는 한데 규모가 많이 줄어든 것 같다. 다른 장소의 복주머니 군락이 있던 얕은 산지는 사유지 개발로 인하여 거의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복주머니란 속에 등록되어 있는 분류군으로 광릉요강꽃 Cypripedium japonicum Thunb. 광릉요강꽃 노랑복주머니란 Cypripedium calceolus L. 노랑복주머니란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산서복주머니란 Cypripedium shanxiense S.C.Chen 산서복주머니란 양머리복주머니란 Cypripedium.. 2025. 6. 16. 백두산식물 -선주름잎(현삼과 주름잎속) Mazus stachydifolius (Turcz.) Maxim. 2025. 6. 7.백두산.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이 녀석을 언젠가 만나겠지 했었는데 이번 백두 탐사에서 반가운 첫 만남을 하였다. 국내에서도 서해안 쪽에 몇 포기가 있다는 소식이 있었지만 금방 사라졌다기에 아쉬웠더랬는데,다른 어느 녀석보다 더 반가웠다. 산으로 오르는 숲 길에 있던 녀석은 앞서 가던 사람들의 발길에 밟혀서 흙 투성이가 되어 버린 걸 발견하여서 겨우 겨우 살려 놓았다.전초 크기가 생각보다 많이 컸고, 줄기와 잎에 센 털이 밀생하여 거친 느낌을 주었다. 5~6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줄기에 긴 백색털이 퍼져 있다. 줄기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며, 잎자루는 없다.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2~7cm, 폭 5~20mm, 가장자리는 고르지 않은 .. 2025. 6. 15. 백두산식물 - 연변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 Asarum yeonbyeonense M. Kim & S. So 2025. 6. 7. 화룡. 이번에 화룡에서 만난 족도리풀 한 녀석을 두고 이러쿵 저러쿵 이야기들이 있었다.금오족도리네, 만주족도리네 의견분분 했지만 이 녀석은 꽃받침 열편이 정삼각상이고 꽃받침 기부에 흰색 원형고리 띠가 안 보여서 두 녀석과는 거리가 있었다. 꽃의 형태는 연변족도리와 일치하니 결국 소순구가 발표한 연변족도리풀로 봐야한다고 결론을 내리긴 했는데....문제는 이 녀석의 잎 양면에는 털이 거의 안보이고 잎가장자리에 털이 약하게 있고, 잎자루에 털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녀석은 잎자루에 털이 없고 꽃받침 열편 가장자리에 녹색을 띠고 있다.연변과 녹연변의 두 가지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는데 중간형으로 보인다. 족도리풀속의 1신종: 연변족도리풀(Asarum yeonbyeonense.. 2025. 6. 15. 아그배나무(장미과 사과나무속) Malus toringo (Siebold) Siebold ex de Vriese 2025. 5. 11. 제주. 팥배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4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5 https://qweenbee.tistory.com/8893698 https://qweenbee.tistory.com/8905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0245팥배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219 https://qweenbee.tistory.com/8887089 https://qweenbee.tistory.com/8891214 https://qweenbee.ti.. 2025. 6. 6. 눈범꼬리(마디풀과 범꼬리속) Bistorta suffulta (Maxim.) Greene ex H.Gross 2025. 5. 11. 제주. 제주조릿대가 산지 숲 가장자리를 점령하여서 눈범꼬리 녀석이 제대로 살지를 못하고 밀려나고 있다. 범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7 https://qweenbee.tistory.com/888835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54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4 https://qweenbee.tistory.com/8892107 https://qweenbee.tistory.com/8905744범꼬리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687 눈범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7.. 2025. 6. 6. 솔비나무(콩과 다릅나무속)새순 Maackia fauriei (H.Lév.) Takeda 2025. 5. 11. 제주.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다릅나무속 녀석이다.새순이 올라오는 모습이 사실 꽃보다 더 이쁘다. 고삼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411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https://qweenbee.tistory.com/88979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905 https://qweenbee.tistory.com/8904930고삼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917 https://qw.. 2025. 6. 6. 덧나무(인동과 딱총나무속) Sambucus racemosa L. subsp. sieboldiana (Blume ex Miq.) H.Hara 2025. 5. 11. 제주. 제주도와 남해의 섬에 분포한다.잎은 마주나기 하며 홀수깃꼴겹잎이고, 소엽은 2~4쌍이며 거꿀피침형이고 점첨두 또는 첨두. 꽃 길이 3~4㎜로 연한 황백색이고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이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붉은색이고 꽃대는 길고, 입상의 돌기가 있다. 말오줌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0 https://qweenbee.tistory.com/8902226https://qweenbee.tistory.com/890372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67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2 https://qweenbee.tistor.. 2025. 6. 6. 내몽골식물 -몽고뽕나일까? 뽕나무속 2024. 6. 25. 내몽골 옥룡사호. 낙타를 타고 한 바퀴 사막 언덕을 관광하고 언덕을 올라서 사막의 식물을 탐사했다.중국에는 육지가 사막화되어 모래산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그 모래산에서도 바위지대 계곡부에는 식물들이 살고 있었다. 열매를 달고 있는 뽕나무가 반가워서 몇 장 담았는데 염형이 몽고뽕나무와 비슷하긴 한데.... 국내에서 만나는 몽고뽕의 바늘 같은 톱니 끝과 점첨두 잎꼬리가 비슷하긴 하다. 돌뽕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640 https://qweenbee.tistory.com/8893641돌뽕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3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25. 6. 3. 내몽골식물 -시베리아살구(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sibirica L. 2025. 6. 25. 내몽골 옥룡사호 국내의 강원도 석회암지역에도 자생하고 있는 시베리아 살구는 몽골과 중국에서도 분포하고 있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난상 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맥액에 털이 있으며 불규칙한 단거치가 있다. 열매가 편원형으로 종자 한 쪽으로 날개가 있다. 살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7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6https://qweenbee.tistory.com/8895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9061https://qweenbee.tistory.com/8899042 https://qween.. 2025. 6. 3. 내몽골식물 - 망적천문동(백합과 비짜루속) Asparagus davuricus Fisch. ex Link 2024. 6. 26. 내몽골. 내몽골에서 만난 이 녀석의 비짜루속 녀석의 정체를 몽골도감에서는 망적천문동으로 정리해 두었다. 천문동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6 https://qweenbee.tistory.com/8896023https://qweenbee.tistory.com/8896873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0https://qweenbee.tistory.com/8901126 https://qweenbee.tistory.com/8905376 https://qweenbee.tistory.com/8912054 천문동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693 h.. 2025. 6. 3. 이전 1 2 3 4 ··· 4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