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수목류4140 두메닥나무(팥꽃나무과 백서향속) Daphne pseudomezereum A.Gray var. koreana (Nakai) Hamaya 2024. 4. 10. 벌써 다 폈을 것 같았는데 이제 시작이었다.이 곳에 오면 항상 자리를 찾지 못하여서 몇 번을 오르락 내리락 한다. 오늘도 두번을 실패하고 에이~ 안 보고 말지 하며 돌아서서 나오다가그래도 먼길 달려 왔는데 하면서 다시 돌아가서 5m 정도 거리를 두고 다시 올랐더니 자리를 찾았다. 7~8년 전 부터 봐오던 녀석들은 더 자란 기색도 없고 여태 그대로이다. 10cm~40cm 정도 크기의 고만고만한 녀석들이 환경 때문인지 좀체 크지를 않는다. 팥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5305 https://qweenbee.tistory.com/8896767https://qweenbee.tistory.com/8898934 https://qween.. 2025. 4. 11. 개살구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2025. 4. 7. 경북. 경북 북부지역 아래에서 개살구를 만날까 해서 산자락에 분홍색 꽃만 보면 쳐다보곤 했지만결국 살구나무밖에 만나지 못하였다. 영양이 산골짝에는 개살구나무가 꽤 자라고 있는 걸 봤기에 더 늦기 전에 길을 나섰다.도로변의 벚나무는 아직 봉오리 상태라 개살구의 개화를 기대를 했더니녀석이 아주 절정을 이루고 피어 있는 모습으로 반긴다. 살구나무에 비하녀 열매자루와 꽃자루가 더 길고 잎 뒷면 맥위에 털이 많다. 꽃자루는 길지만 짧은 경우도 보여서 개체에 따라 길이가 차이가 있다. 살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7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6https://qweenbee.tistory.com/8895.. 2025. 4. 11. 세열유럽쥐손이(쥐손이풀과 국화쥐손이속) Erodium cicutarium (L.) L'Hér. 2025. 4. 9. 경북. 아침 이른 시각부터 설쳤다.어제 실패한 녀석을 보러 다시 갈까 말까 밤새 갈등하다가 다시 가기로 마음 먹었기 때문이다. 이 녀석은 오전 11시가 넘으면 꽃잎이 다 떨어져 버린다.그걸 생각하지 못하고 11시가 넘은 시각에 갔다가 꽃 핀 모습을 보지 못했더랬다. 9시 40분 경에 도착하니 예상대로 붉은 별이 뿌려진 듯 화사하다. 이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68https://qweenbee.tistory.com/8889027 https://qweenbee.tistory.com/8896348이질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4. 10. 서어나무(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암꽃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2025. 4. 9. 경북. 서어나무와 개서어나무는 비슷하여 구분하기 쉽지가 않지만 봄에는 어린 가지의 털만 봐도 구분이 된다개서어나무의 어린 가지는 털이 많지만 서어나무의 가지에는 털이 안 보인다. 가지 끝에는 동아에서 자란 새순의 잎 겨드랑이에서 암꽃차례가 나온다.수꽃은 암꽃 아래에 달리는데, 대부분 수꽃이 꽃가루를 터뜨릴 때 쯤 암꽃눈이 터지기 시작한다. 서어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53 https://qweenbee.tistory.com/8889823https://qweenbee.tistory.com/8893357 https://qweenbee.tistory.com/8897402https://qweenbee.tistory.com/89021.. 2025. 4. 10. 서어나무(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수꽃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2025. 4. 9. 경북. 귀가하던 길에 잠시 휴양림 숲에 들렀다.서어나무꽃이 필 것 같았는데 예상대로 정말 한창 꽃을 피우고있다.이 녀석은 수꽃의 포 끝이 붉고 어린가지에 털이 없어서 털이 많은 개서어나무와 구분이 쉽다. 가지 끝의 새순의 잎 겨드랑이에서 암곷 화서가 나온다. 서어나무의 수꽃의 포 끝이 붉은색을 띤다. 서어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53 https://qweenbee.tistory.com/8889823https://qweenbee.tistory.com/8893357 https://qweenbee.tistory.com/8897402https://qweenbee.tistory.com/8902107 https://qweenb.. 2025. 4. 10. 벚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serrulata Lindl. f. spontanea (E.H.Wilson) Chin S.Chang 2025. 4. 9. 경북. 휴양림에 조경된 녀석이다.꽃자루와 꽃받침, 암술대에 털이 없고 꽃자루가 짧다.꽃차례자루는 꽤 발달한 것으로 봐서 벚나무로 봐야겠다. 2025. 4. 10. 서양자두(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domestica L. 2025. 4. 7. 경북. 토종의 자도나무는 아닌것 같고, 서양자두가 야생으로 자란 게 아닐까 싶다.나중에 열매를 확인해 봐야겠다. 복사앵도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8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48복사앵도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11 https://qweenbee.tistory.com/8892043https://qweenbee.tistory.com/8892289 https://qw.. 2025. 4. 8. 선버들(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Salix triandra L. subsp. nipponica (Franch. & Sav.) A.K.Skvortsov 2025. 4. 4. 경남. 버드나무류는 우포늪 주변 습지를 우점하고 있는 목본이다. 참오글잎버들을 찾으로려고 여기 저기 둘러 봤지만 만나지 못하고 선버들만 담았다.전국적으로 하천가나 습지 주변에서 자란다. 암그루에는 벌써 수정이 끝나서 어린 열매가 달려 있다. 버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1512https://qweenbee.tistory.com/88933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5https://qweenbee.tistory.com/8895376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8https://qwe.. 2025. 4. 8. 살구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armeniaca L. 2025. 4. 2. 경북. 산자락에 서 있길래 혹시나 개살구나무가 아닐까 했더니 꽃자루가 짧다.살구나무가 여기 저기 퍼져서 자란 모양이다. 살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7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6https://qweenbee.tistory.com/8895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9061https://qweenbee.tistory.com/889904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20https://qweenbee.tistory.com/8905009 https://qweenbee.tistory.com/8906848.. 2025. 4. 6. 잔털벚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serrulata Lindl. var. pubescens (Makino) Nakai 2025. 4. 4. 심겨져 있길래 일본산 왕벚나무 소메이요시runus × yedoensis 겠지 했다. 헌데 다행하게도 꽃자루와 꽃받침통에는 털이 있고 암술대에 털이 없는 잔털벚나무였다. 제주왕벚나무 Prunus × nudiflora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0 제주왕벚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49 일본산 왕벚나무 Prunus × yedoensis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53 https://qweenbee.tistory.com/8903718https:/.. 2025. 4. 6. 은사시나무(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암꽃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2025. 4. 1. 경북. 은사시나무는 사시나무(P. davidiana)와 은백양(P. alba) 사이에서 생긴 자연잡종이다.차를 몰고 이동하면서 은사시나무가 나타나면 쳐다보고 암꽃을 찾다가커다란 녀석이 암꽃을 달고 있는 몇 그루를 찾았다. 잎이 날 때 이 녀석 표본을 채집해야 하기에 암그루의 위치를 잘 익혀두어야 한다. 사시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5556 https://qweenbee.tistory.com/8897593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7 https://qweenbee.tistory.com/8899764사시나무 엽형 : https://qweenbee.tistory.com/8901122 https://.. 2025. 4. 2. 올괴불나무(인동과 인동속)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2025. 3. 25. 경북. 어두운 산사 숲에 별을 매달아 놓은 듯 올괴불나무 꽃이 반짝거린다.아마도 이번 산불에 이 아이들도 무사하지 못했을 것이다. 괴불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3063https://qweenbee.tistory.com/8897766 https://qweenbee.tistory.com/8904786https://qweenbee.tistory.com/8905396 https://qweenbee.tistory.com/8908297괴불나무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62 https://qweenbee.tistory.. 2025. 3. 31. 이전 1 2 3 4 ··· 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