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벼과529

큰쥐꼬리새(벼과 쥐꼬리새속) Muhlenbergia huegelii Trin. 2022. 9. 23. 검룡소. 큰쥐꼬리새 : 포영이 호영 길이의 1/3~1/4로 짧고 까락의 길이가 소수 길이의 4~5배 정도로 길고 줄기 아래서 가지를 친다. 선쥐꼬리새 : 가늘고 응축된 화서(한라산, 덕유산) 가지쥐꼬리새 : 줄기 위쪽에서 가지를 치고 까락이 짧다(포영이 호영의 1/2 이상) 주로 남부지방 임도에서 자란다. 쥐꼬리새 : 큰쥐꼬리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713 https://blog.daum.net/qweenbee/8907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9972 선쥐꼬리새 : 가지쥐꼬리새 : 2023. 1. 7.
도랭이피(벼과 도랭이피속) Koeleria macrantha (Ledeb.) Schult. 2022. 5. 26. 합천. 도랭이피 : https://blog.daum.net/qweenbee/8888268 https://blog.daum.net/qweenbee/8907199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88 https://blog.daum.net/qweenbee/8907368 https://blog.daum.net/qweenbee/8907533 https://blog.daum.net/qweenbee/8907874(결실기) https://qweenbee.tistory.com/8909971 2023. 1. 7.
쌀새(벼과 쌀새속) Melica onoei Franch. & Sav. 2022. 9. 23. 검룡소. 쌀새속 중에서 가장 늦은 시기 늦 여름에 개화하고 결실을 한다. 쌀새 : blog.daum.net/qweenbee/8888983 https://blog.daum.net/qweenbee/8903022 https://blog.daum.net/qweenbee/8907773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7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9970 왕쌀새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87 blog.daum.net/qweenbee/8892241 blog.da.. 2023. 1. 7.
껍질용수염(벼과 용수염속) Diarrhena mandshurica Maxim. 2022. 9. 23. 검룡소. 1. 내영의 용골부는 돌기물이 없이 밋밋하다. 소수는 길이 5mm 이하이다-----------------------용수염 1. 내영의 용골부는 돌기물이 있어서 거칠다. 소수는 길이 4,5mm 이상이다 2. 호영은 길이 4.5mm~5.0mm 이며 영과 보다 길다---------------------------------------------껍질용수염 2. 호영은 길이 4mm 이며 영과 보다 짧다-----------------------------------------------------------광릉용수염 고려용수염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942 (?) 광릉용수염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 2023. 1. 6.
김의털아재비(벼과 김의털속) 2022. 6. 4. 저수령. 전날 내린 비로 전초가 비스듬하게 쓰러져 있다. 원본을 보니 개화 중이었다. 촬영할 때는 이 녀석이 꼬인새라고 생각 했던 거 같은데 올리려고 보니 까락이 너무 길고 줄기와 잎의 털이 거의 안 보인다 벼과를 한참 안 들여다 봤더니 짐작도 안 된다.....처음부터 다시 공부해야겠다. 김의털아재비로 보인다는 꽃동무의 조언에 그제사 녀석이 김의털아재비라는 생각이 든다. 김의털 : blog.daum.net/qweenbee/8897764 blog.daum.net/qweenbee/8895642 blog.daum.net/qweenbee/8907097 https://blog.daum.net/qweenbee/8907332 https://blog.daum.net/qweenbee/8907403 .. 2022. 12. 2.
큰개사탕수수(벼과 개사탕수수속) Saccharum arundinaceum Retz. 2022. 10. 16. 도청 천년 숲 가장자리에 조경된 키가 2-3m 정도로 엄청 큰 녀석이다. 개사탕수수 : blog.daum.net/qweenbee/8891013 큰개사탕수수 : blog.daum.net/qweenbee/8906479 blog.daum.net/qweenbee/8906527 https://qweenbee.tistory.com/8909707 https://qweenbee.tistory.com/8909706 2022. 11. 9.
조개풀(벼과 조개풀속) 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2022. 10. 17. 도청 수로. 하천, 산지 근처의 습지, 휴경지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뿌리와 가지가 나오고 가지는 위를 향한다. 호영은 길이 1~2mm이며, 바깥쪽 아랫부분에서 까락이 돋는다. 까락 길이는 변이가 심하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없다. 잎집은 짧고, 긴 털이 성기게 나거나 털이 없다. 잎이 긴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산지에서 자라는 주름조개풀속 식물들과는 잎의 형태가 유사할 뿐 꽃차례 형태가 다르다. 주름조개풀 :http://blog.daum.net/qweenbee/8888959 http://blog.daum.net/qweenbee/8886465 http://blog.daum.net/qweenbee/8898573 htt.. 2022. 11. 1.
개억새(벼과 개억새속) Eulalia speciosa (Debeaux) Kuntze 2022. 9. 23. 상주. 이 활공장 언덕은 온통 개억새로 덮여 있다. 줄기가 모여나고 줄기 아래쪽의 잎은 비늘 모양이고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잎집은 털이 없거나 윗부분에 흰 털이 있다. 달뿌리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61 http://blog.daum.net/qweenbee/8901967 http://blog.daum.net/qweenbee/8898554 blog.daum.net/qweenbee/8905642 https://blog.daum.net/qweenbee/8907691 (꽃) 갈대 : http://blog.daum.net/qweenbee/8896808 http://blog.daum.net/qweenbee/8898555 http://blog.da.. 2022. 10. 29.
드렁새(벼과 드렁새속) Leptochloa chinensis (L.) Nees 2022. 10. 3. 부산. 해안 가까운 경작지 논두렁에서 자라는 녀석이라 갯드렁새일까 싶었지만 갯드렁새는 소수 색이 밝고 호영 끝에 짧은 까락이 있다는데 이 녀석은 붉은 자색을 띠고 소화가 작고 섬세하며 까락이 보이지 않는다. 줄기 아래쪽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기도 하며 1m 까지 길게 자란다. 드렁새 : blog.daum.net/qweenbee/8896750 https://qweenbee.tistory.com/8909628 갯드렁새 : 2022. 10. 27.
새(벼과 털새속)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var. ciliata (Thunb.) Koidz. 2022. 10. 8-10. 남도 여기 저기.. 남도 들판을 지나다니다가 붉은색이 강한 벼과 녀석을 두고 정체를 몰라서 혼란을 겪었다. 진퍼리새가 가득한 습지 주변에사도 보이고 논주변 산지나 제방에서도 보이는데 처음에는 새가 아닐까도 생각하였다. 헌데 너무 붉은색을 띠고 있는 데다가 전에 보던 새와는 좀 달라보이길래 새는 아닌 것 같다고 했는데 결국 채집해 온 이삭을 도감과 맞춰 본 결과 역시 새라고 결론을 내렸다. 벼과 사초과 도감에는 털새가 새의 변종인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새가 털새의 변종으로 되어 있다 또 속의 표기도 새속, 털새속 으로 다르게(학명에 따라 당연히) 기록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따라 정리한다. 털새 :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새 : Aru.. 2022. 10. 26.
수수새(벼과 수수새속) Sorghum nitidum (Vahl) Pers. 2022. 10. 9. 남도. 수수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605 https://qweenbee.tistory.com/8909606 2022. 10. 21.
수수새(벼과 수수새속) Sorghum nitidum (Vahl) Pers. 2022. 10. 9. 남도. 습지를 살피는데 길다란 가지 끝에 검은색의 소수가 듬성듬성 달린 녀석이 낯이 설다. 이름을 찾지 못하고 돌아와서 도감을 뒤지니 수수새로 확인이 된다. 채집한 이삭을 접사하니 포영에 검게 보일 정도로 진한 갈색의 털이빽뻭히다. 수수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605 https://qweenbee.tistory.com/8909606 2022.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