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열매와 종자557

무환자나무(무환자나무과 무환자나무속) 열매 Sapindus mukorossi Gaertn. 2023. 1. 17. 제주. '무환자(無患子)'라는 나무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우환을 없애 준다는 나무이다. 중국에서는 '无患子 Sapindus saponaria' 라고 기록하는데 종명을 다르게 쓴다. 수고가 15m 이상으로 크게 자라는데 깃꼴 겹잎도 30-70cm로 머귀나무 만큼 크다. 황색 염주 모양으로 달리는 열매 껍질 속에는 이렇게 검은 씨앗이 들어 있는데, 화를 물리친다고 해서 집 주변에 심거나 열매를 꿰어서 목걸이를 만들어서 착용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불가의 스님들이 염주의 재료로 이 열매를 사용하기도 한다. 오래 전 이 열매로 목걸이를 만들어 보려고 했더니 얼마나 단단한지 드릴로 구멍을 뚫어야 할 정도였었다. 열매 껍질에는 비누 성분이 있어서 이렇게 거품을 내는데 속명 Sapindus.. 2023. 2. 20.
머귀나무(운향과 초피나무속) 종자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2023. 1. 15. 제주. 바닥에 떨어진 열매를 몇 개 주워서 씨를 채취하였다. 황벽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5765 http://blog.daum.net/qweenbee/8893074 http://blog.daum.net/qweenbee/8893645 http://blog.daum.net/qweenbee/8897610 http://blog.daum.net/qweenbee/8902422 https://blog.daum.net/qweenbee/8907974 https://qweenbee.tistory.com/8909787 황벽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3014 http://blog.daum.net/qweenbe.. 2023. 2. 20.
도깨비가지(가지과 가지속) 열매 Solanum carolinense L. 2022. 12. 30. 병산서원을 가로질러서 하회마을로 가는 낙동강 둘레길 주변에 어떻게 흘러들어 왔는지 도깨비가지가 자리를 잡아 퍼지고 있다. 다행하게도 벼과 식물과 사초과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덕분에 이 녀석이 점령하는 걸 막고 있지만 땅속줄기로 번져 가가면서 열매에 많은 씨앗을 떨구니 번지는 속도가 만만하지가 않다. 꽈리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8987 http://blog.daum.net/qweenbee/8887034 http://blog.daum.net/qweenbee/8903454 꽈리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6478 http://blog.daum.net/qweenbee/8886060 http://blo.. 2023. 1. 6.
부용(아욱과 무궁화속) 열매 Hibiscus mutabilis L. 2022. 12. 9. 남도. 황근이 심겨진 주변에서 찍으면서 황근 열매려니 생각했는데 사진 확인을 하는데 아욱과는 분명한데 황근 열매와 형태가 달라서 뭘까 하다가 확인하지 않고 이상타 올려 두었더니 Hibiscus mutabilis L. 로 보인다는 댓글에 확인하니 제주도에서 담은 적이 있던 부용 열매가 맞다. ㅎ. 황근 열매 부용 열매 수박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8724 http://blog.daum.net/qweenbee/8888544 http://blog.daum.net/qweenbee/8890730 http://blog.daum.net/qweenbee/8896525 http://blog.daum.net/qweenbee/8898108 수박풀 열매 : ht.. 2022. 12. 29.
미국산사(장미과 산사나무속) 종자 2022. 11. 13. 산사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904026 http://blog.daum.net/qweenbee/8904027(식재) blog.daum.net/qweenbee/8906299 https://blog.daum.net/qweenbee/8907797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6 산사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021 http://blog.daum.net/qweenbee/8889323 http://blog.daum.net/qweenbee/8887374 http://blog.daum.net/qweenbee/8886109 http://blog.daum.net/qween.. 2022. 11. 27.
진퍼리잔대(초롱꽃과 잔대속) 종자 2022. 11. 17. 섬잔대 : http://blog.daum.net/qweenbee/8899878 http://blog.daum.net/qweenbee/8901522 https://qweenbee.tistory.com/8901573 가야산잔대 : http://blog.daum.net/qweenbee/8899742 http://blog.daum.net/qweenbee/8886686 http://blog.daum.net/qweenbee/8899742 층층잔대 : http://blog.daum.net/qweenbee/8889113 http://blog.daum.net/qweenbee/8889050 가는층층잔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02 모시대 : http://b.. 2022. 11. 27.
몽울토현삼(현삼과 현삼속) 열매와 종자 2022. 11. 17. 현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745 http://blog.daum.net/qweenbee/8888805 blog.daum.net/qweenbee/8905888 섬현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63 http://blog.daum.net/qweenbee/8890160 http://blog.daum.net/qweenbee/8892475 http://blog.daum.net/qweenbee/8893865 https://blog.daum.net/qweenbee/8908981 섬현삼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901999 토현삼 : http://blog.daum.net/q.. 2022. 11. 27.
나도미꾸리낚시(마디풀과 여뀌속) 종자 Persicaria maackiana (Regel) Nakai ex T.Mori 2022. 10. 19. 채종, 10월 29일 촬영 삼릉형으로 검은색이다 덜 여문 종자이다 쪽 : http://blog.daum.net/qweenbee/8892776 http://blog.daum.net/qweenbee/8892777 https://blog.daum.net/qweenbee/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blog.daum.net/qweenbee/8894324 http://blog.daum.net/qweenbee/8888847 http://blog.daum.net/qweenbee/8886859 http://blog.daum.net/qweenbee/8888851 http://blog.daum.net/qweenbee/8890694 http://blog.daum.net/qweenb.. 2022. 11. 10.
가시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종자 Scleria lateriflora Boeckeler 2022. 10. 9. 남도. 종자가 백색으로 거의 구형이며 지름 1.5mm 정도로 광택이 난다. 종자 표면에 세로로 긴 격자 무늬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패이고 꼭지와 얕은 돌기도 몇 개 보인다.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가시개올미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6 https://qweenbee.tistory.com/8909712 애기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7(??)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애기덕산풀 : 구실개올미 : 너도고랭이 : 무등풀 : 두메개올미 : 2022. 11. 10.
송이고랭이(사초과 송이고랭이속) 종자 2022. 10. 17. 도청. 수로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물고랭이 큰고랭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80 https://qweenbee.tistory.com/8908893 세모고랭이 고창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4 ****************************************************************************** 송이고랭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8401 http://blog.daum.net/qweenbee/8.. 2022. 10. 29.
좀매자기(사초과 매자기속) 종자 2022. 10. 17. 이 녀석은 해안 염습지나 해변 가까운 수로에서 볼 수 있다. 그런데 난데 없이 이 곳 도청 수로에 이 녀석이 나타났는데 수로를 조성하면서 수초를 심을 때 딸려 온 것으로 추정이 된다. 지하경이 길고 둥근 괴경이 달리며, 줄기는 매끈하고 삼릉형이다. 종자 양면이 납작하면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매자기 : 큰매자기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73 좀매자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7929 http://blog.daum.net/qweenbee/8887999 http://blog.daum.net/qweenbee/8903979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72 좀매자기 종자.. 2022. 10. 29.
가는잎산들깨(꿀풀과 쥐깨풀속) 종자 Mosla chinensis Maxim. 2022. 10. 8. 남도. 꽃의 크기를 촬영하느라고 현장에서 호작질 종자는 구형에 가까운 타원형, 다도해산들깨에 비하여 제의 길이가 짧고 홈이 얕으며 홈의 경계가 완만하다 산들깨 : http://blog.daum.net/qweenbee/8886676 http://blog.daum.net/qweenbee/8899781 http://blog.daum.net/qweenbee/8903167 http://blog.daum.net/qweenbee/8904417 산들깨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6900 가는잎산들깨 : http://blog.daum.net/qweenbee/8886647 http://blog.daum.net/qweenbee/8889046 http://blo.. 2022.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