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몽골 식물448

몽골식물- 고산물망초(지치과 개꽃마리속) Myosortis alpestris F.W.Schmidt 2023. 6. 29. 흡수굴 호수변 2차 탐사. 왜지치라 불렀지만 몽골도감에는 왜지치가 아니라 같은 지치과 개꽃마리속 '고산물망초' Myosortis alpestris 이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2744https://qweenbee.tisto.. 2025. 2. 9.
몽골식물 -붉은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 Pedicularis rubens Stephan 2023. 6. 28. 흡수굴 호수변 2차 탐사.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15   큰송이풀 열매 : https:.. 2025. 2. 9.
몽골식물 -콩과 두메자운속 Oxytropis pseudoglandulosa Gontsch. 2023. 6. 29.몽골. 흡수굴 수변 탐사후 숭여지로 돌아 오면서 초지를 잠시 탐사하였다 몽골의 초지에는 두메자운속 종들이 매우 많아서 학명을 찾기가 쉽지 않다.이 녀석도 김찬수박사의 알타이 식물탐사기에 실린  '잎많은두메자운 Oxytropis myriophylla' 으로 볼까 했더니 소엽의 크기가 더 넓은 녀석이다. 원본을 꽃받침과 포에 거센 털니 많이 보인다. 줄기에도 털이 있다. 몽골 도감에서 Oxytropis pseudoglandulosa (411p) 로 확인을 하였다.  흰꽃을 피우는 이 녀석도 보인다. 애기자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0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1https://qweenbee.tistor.. 2025. 2. 8.
내몽골식물 - 물지채(지채과 지채속) Triglochin palustris L. 2024. 6. 24. 내몽골 울란바통. 하천 습원에서 만난 녀석이다. 물지채와 함께 지채속 한 종이 더 보이는 것 같다.  물지채와 함께 있던 다를 녀석이다. 화서와 자방의 모습이 다르다.우리나라 해안에서 보이는 지채와도 다른 녀석이다. 이미지로 찾아보니 triglochin striata 가 근접하긴 하는데.... 지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0https://qweenbee.tistory.com/88917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4https://qweenbee.tistory.com/8894434    https://qweenbee.tisto.. 2025. 2. 7.
몽골식물 - 싱아속 아코노고논 세리세움 Aconogonon sericeum (Georgi) H.Hara 2023. 7. 2. 탐사 8일차. 사구 언덕에서. 사구 언덕에서 잎이 두텁고 전초에 우단처럼 부드러운 털을 덮어 쓴 여뀌속을 만났다.도감과 외국 사이트를 뒤져도 정체를 밝히지 못하였는데 어렵게 찾았다. 여뀌속을 찾아보다가 화서가 싱아 쪽 같아서 싱아속 Aconogonon 으로 살펴보았는데결국 여뀌속이 아니라 싱아속 Aconogonon sericeum (Georgi) H.Hara이었다. 큐에서는 Polygonum sericeum Georgi 의 이명으로 정리하고 있다. 남부 시베리아에서 북몽골까지 분포하고 있다.싱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4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4https://qweenbee.tistory.. 2025. 2. 6.
몽골식물 -물매화속(물매화과 물매화속) Parnassia laxmannii Pall. 2015. 7. 27. 흡수굴 호수변. 물매화와 아주 흡사한 녀석이 호수변에서 나타났다.가까이 물매화도 보였는데 이 녀석은 물매화속  Parnassia laxmannii 로 확인이 된다. 2025. 2. 4.
몽골식물 - 곰취속(국화과 곰취속) Ligularia sibirica Cass. 2015. 7. 27. 흡수굴 호수변. 곰취와 비슷한 녀석이 나타났다. 제주 한라산에서 만나던 곰취와 비슷한 크기였는데 엽형도 다르고 분위기는 차이가 있다.    곰취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32        https://qweenbee.tistory.com/8894198               https://qweenbee.tistory.com/8892395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7https://qweenbee.tistory.com/890077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9887    https://qwe.. 2025. 2. 4.
몽골식물-애기동의나물(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속) Caltha natans Pall. 2023. 6. 28. 탐사 4일차 흡수굴 호수변. 호수변에 물이 고인 습지같은 곳에 애기동의나물과 매화마름류가 진창에서 꽃을 피우고 있다.습지바닥 뻘에 낮게 붙어서 꽃을 피우고 있는 탓에 낮은 자세로 촬영을 하자니 진창에 코를 박아야 할 정도이다.  동의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1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33                 https://qweenbee.tistory.com/8899231     https://qweenbee.tistory.com/8900891                https://qweenbee.tistory.com/8905393     https://qweenbee.tistor.. 2025. 2. 4.
몽골식물 -매화마름 류 Ranunculus trichophyllus Chaix 2023. 6. 28. 탐사 4일차. 흡수굴 호수변. 그냥 매화마름이려니 했는데 몽골도감에는 학명이 다르다.셈밀하게 관찰하지 못햇으니 어쨌든 이 학명으로 정리해 둔다.  해외 사이트에서 펌질한 세밀화이다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    https:/.. 2025. 2. 4.
몽골 식물-사리풀(가지과 사리풀속) 열매 Hyoscyamus niger L. 2023. 7. 1. 탐사 7일 차. 난장이 서 있는 곳에 잠시 정차를 하고 일행들이 차한 잔을 하는 사이 나는 숲으로 들어 갔다.가랑비가 내리는 숲은 빗물로 젖어 있었지만 그 곳은 야생화 천국이었다.입구에 서 있던 사리풀도 가랑비에 온몸을 맞기고 서 있다. 유럽 유고슬라비아 등이 원산지였으나 잎을 진통제로 이용하는데 재배를 하면서 유입이 되어 북부유럽, 몽골, 러시아, 중국 전역에 들어와 있다.  이동 중 잠시 들른 작은 마을에서 일행의 뒷차를 기다리는 동안 빵과 음료수를 구입하여 허기를 간단히 떼우고 잠시 주변을 탐사하였다. 마을 부근이나 초지에서 더러 나타나는 사리풀이 열매를 주렁주렁 달고 있다.   사리풀 : https://blog.daum.net/qweenbee/8898730    https:/.. 2025. 2. 3.
몽골식물 - 털광대나물(꿀풀과) Panzerina lanata (L.) Syjak/Lamiaceae 2023. 7. 1. 탐사 7일차. 울란바토르로 돌아가는 길은 중간에서 고속도로를 버리고 다른 길로 가자고 이야기가 되었다.기사들은 그 길은 초지를 달려야 해서 롤링이 심하다고 한다.그래도 새로운 길을 선택하는 것이 무언가 더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다른 길을 가기로 했다. 잠시 포장 도로를 달리던 차가 초지를 가로지르는 길에 들어서자 개울도 건너고 진창도 나타나기 시작한다.우리 눈에는 도로가 아니었지만 몽골 지도에는 정식도로로 나타나 있다. 중간 중간에 안내하는 이정표가 서 있기는 한데비슷비슷한 산세와 하천만 보고 어찌 그리 길을 잃지 않고 잘 찾아 가는지 그저 신기하기만 하다.중간 초지에서 촬영 후 한 시간여를 달리니 작은 마을에 도착하였다.  마을 주변에 털광대나물이 아주 지천으로 자라고 있다... 2025. 2. 3.
몽골식물- 꿀풀과 속단속 Phlomoides tuberosa Moench 2023. 7. 2. 탐사 8일차 오후. 바위산 탐사를 마친 우리를 실은 푸르공은 다시 초지로 난 길을 달렸다.언덕을 넘고 완만한 계곡부를 달리면서 갈림길이 꽤 있었던 듯.서너 차례 가던 방향을 돌리기를 한 후 높은 언덕에 올라서 차를 멈추었다. 푸르공 기사가 멀리 가물거리는 곳을 손으로 가리킨다.통역가이드가 내일 방문할 후스타이국립공원 입구라고 한다.언덕 위에서 뒷차를 기다리는 동안 아래로 내려 가서 물골 주변 초지를 살피는데 속단속 Phlomoides tuberosa 녀석이 평원을 배경으로 우뚝 서서 멋진 풍광을 만들어 준다.소란스러운 소 울음 소리에 고개를 들어보니 멀리서 길을 따라 소떼들이 줄지어 오고 있었다.장괸이다!!이 광경을 놓칠세라 바쁘게 셔터를 누른다. 바바바바!! 속단 : https:/.. 2025.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