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몽골 식물503

몽골식물-분홍노루발(진달래과 노루발속) Pyrola asarifolia Michx. subsp. incarnata (DC.) Haber & Hir.Takah. 2025. 6. 26. 몽골 흡수굴. 숲 골짜기 습한 곳.분홍노루발이 군락으로 나타난다.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77 https://qweenbee.tistory.com/8903638 매화노루발 : https://qwe.. 2025. 7. 14.
몽골식물 -분홍노루발(진달래과 노루발속) Pyrola asarifolia Michx. subsp. incarnata (DC.) Haber & Hir.Takah. 2025. 6. 26. 몽골흡수굴. 이 녀석도 그냥 분홍노루발이려니 했다. 헌데 화색이 좀 다르다. 도감을 확인하니 Pyrola rotundifolia 과 비슷하다.아니면 그냥 색이 좀 연한 분홍노루발일까?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7. 14.
몽골식물 -노루발속(진달래과 노루발속) Pyrola chlorantha Sw. 2025. 6. 27. 분화구 속을 탐사하다가 만난 노루발속 녀석이다 백두산에서 보던 녀석과 같지는 않고 국내의 노루발보다 잎자루가 길고 표면에 흰줄무늬도 없다.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77 https://qweenbe.. 2025. 7. 14.
몽골식물 - 북극송이풀 (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oederi Vahl 2025. 6. 24. 몽골 흡수굴.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넓게 분포한다.김찬수박사는 알타이식물 탐사기에서 이 녀석을 "북극송이풀"이라 명명하였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 2025. 7. 13.
몽골식물 -붉은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rubens Stephan 2025. 6. 24. 몽골 흡수굴. 국가표준식물 목록애ㅔ는 국명이 없지만김찬수박사의 알타이식물 탐사기 p380에 "붉은송이풀"로 국명을 명명하여 실려 있어서 그에 따라 국명을 정리한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 2025. 7. 13.
몽골식물 - 가는용머리(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fragile Turce. 2025. 6. 24. 몽골 흡수굴. 이 녀석은 초지보다 건조한 곳을 좋아한다.두 군데서 만난 환경은 모두 물이 가까운 자갈밭이었다. 흰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5 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9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41 https://qweenbee.tistory.com/8902645벌깨덩굴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280 htt.. 2025. 7. 13.
몽골식물 - 북극담자리꽃나무(장미과 담자리꽃나무속) Dryas oxyodonta Juz. 2025. 6. 24. 흡수굴. 호수변을 걸어나오면서 탐사하는 도중에 만난 담자리꽃나무에 반색을 했지만거의 다 지고 난 모습이라 많이 아쉬웠다. 이 녀석은 백두산의 녀석과는 다른 녀석으로 2003년에 출판된 (2003)에 에 '북극담자리꽃나무'로 이미 국명이 명명되어 출판되어 있다. Dryas oxyodonta 의 분포지는 중앙 아시아에서 시베리아와 몽골까지이다. 담자리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904715 담자리꽃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81 북극담자리꽃나무속(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10821 https://qweenbee.tistory.com/8912174 찐구루마 .. 2025. 7. 13.
몽골식물 -가시범의귀 (범의귀과) Saxifraga spinulosa Adams. 2025. 5. 22. 몽골 테를지. 몽골 일정 첫 탐사지이다. 테를지 국립공원은 두 번이나 가 봤지만 이 산 자락은 처음 가 보는 곳이라 식생이 풍부하였다. 몽골은 연중 강우량이 적은 곳이다.이 곳도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기도 했지만 바위산이라 더 건조하였다. 바위취 :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8바위취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1942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9 바위떡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6 https://qweenbee.tistory.com/8901374 https://qweenbee.tistory.com/8889097 .. 2025. 7. 13.
몽골식물 - 붉은범의귀아재비(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Micranthes hieracifolia (Waldst. & Kit. ex Willd.) Haw. 2025. 6. 25. 2023년에 흡수굴에서 급하게 몇 장 찍은 녀석이라 이번에도 다시 보고싶던 녀석이었다. 역시 습지를 헤메며 탐사하는데 일행이 이게 뭐내고 물어오는데 바로 붉은범의귀아재비 이 녀석이었다.어찌나 반갑던지 정신 없이 찍어 대었다. 북극에 있는 다산과학기지에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북극의 식물 연구물 중에서이 녀석을 붉은범의귀아재비로 명명해 두었다. (북극 툰드라에 피는 꽃) 바위취 :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8바위취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1942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9 바위떡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6 h.. 2025. 7. 12.
몽골식물 - 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sibirica (L.f.) Pers 2025. 6. 21. 몽골 테를지. 테를지공원 숲을 탐사하는데 작은 꽃에 시선이 갔다.꽃이 작아서 무슨과인지 얼핏 짐작을 못했는데화면을 보다가 양귀비과 현호색속 같다는 생각을 했다. 꽃의 형태는 괴불주머니절 쪽으로 보이는데, 전초도 무척 작았다.일본 대설산 탐사 때도 숙소 주변 산자락을 뒤지다가 일본 고유종인 멸종위기종 괴불주머니절 녀석을 촬영한 적이 있어서 이 녀석도 은근 기대가 되었다.도감을 검색을 해 보니 Corydalis sibirica 에 근접하긴 하는데 이 녀석은 상하 외화판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거치가 있는 특징이 있다.중국식물지에서 노란색, 백색의 화색을 가진 이미지가 많이 검색이 된다. 중국식물지의 세밀화 삽화와 일치한다.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 2025. 7. 12.
몽골식물 - 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impatiens?? 2022. 7. 2. 몽골, 테를지. 거가 매우 짧은 괴불주머니 식구 녀석이다.정체를 밝히지 못하여 쳐박아 두었던 녀석이다. 몽골식물 도감과 큐박물관의 이미지로는 Corydalis sibirica 의 사진과 일치하는데중국식물지의 세밀화의 열매와 포엽 모습은 이 녀석과 다르다.꽃동무의 추천 학명으로 이미지를 찾아 보니 중국, 몽골, 시베리아까지 분포한다는 Corydalis impatiens 비슷하긴 하다. 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9 선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8 https://qweenbee.tisto.. 2025. 7. 12.
몽골식물 -털복주머니란(난초과 복주머니란속) Cypripedium guttatum Sw. 2025. 6. 24. 몽골 흡수굴. 몽골의 산지나 초원으로 난 거미줄 같은 길을 용케도 찾아가는 몽골 기사들의 눈 네비게이션은 참으로 감탄할 만하다.작은 개울이나 습지, 호수변의 길은 울렁 울렁 곡예를 하듯이 빠져나가야 해서 운전을 하지 않는 내 발에 저절로 힘이 들어갈 정도로 긴장을 한다.목적하던 흡수굴의 산 아래까지 가다가 험한 길 때문에 결국 털복주머니란 보기를 포기하고 되돌아 나오던 중.차를 앞세워 먼저 보내고 걸어가면서 탐사를 해보자는 내 의견에 따라 수변을 탐사하였다..몇 걸음 앞서서 바삐 뒤지던 고 대장이 한 무더기 털복주머니란을 찾아 놓고서 빨리 와라 소리친다.워낙 험한 길에 울렁 울렁 롤링이 심하여서 가다가 포기하고 되돌아 나오던 길이라털복주머니에 대한 미련이 가득하던 차에 눈 앞에 큰.. 2025.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