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백두산 식물541 가는기름나물(산형과 가는기름나물속) Kitagawia komarovii Pimenov (이명 Peucedanum elegans Kom.) 2019. 7. 20. 중국 만강. 백두산 야생화 탐사 시에 정체가 아리송했던 녀석이다. 가는잎방풍이란 이야기도 오가긴 했지만 잎이 너무 가늘고 털도 거의 없는지라 궁금했던 녀석이다. 2022년 제 53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에서 두 종의 기름나물속 신종이 포스팅되었다 삼척 미로면의 미로기름나물(Peucedanum miroense K.Kim, H.-J.Suh & J.-H.Song)과 가는기름나물이라 부르던 동강변의 기름나물이 동강기름나물(Peucedanum tongkangense K.Kim, H.-J.Suh & J.-H.Song)로 신칭하여 포스터 발표가 되었다, 그 동안 동강의 기름나물속 녀석이 가는기름나물 로 오동정되었다는 것인데 그러면 가는기름나물은 어떻게 생겼을까 싶어서 국가표준식물목록의 가는.. 2022. 8. 27. 가는잎방풍(산형과 털기름나물속) Libanotis seseloides (Fisch. & C.A.Mey. ex Turcz.) Turcz. 2019. 7. 17. 백두로 가는 중. 도로변 낮은 숲을 탐사하던 중에 나타난 이 녀석을 두고 다들 궁금해 했다. 일행 중 한 분이 가는잎방풍이라기에 국내에서 보던 녀석과는 분위기가 좀 다르고 털이 안 보이길래 설마 했더니 털이 없는 게 아니라 털의 발현이 약했을 뿐이다. 찬찬히 들여다 보니 잎 열편의 모습이나 아래쪽 잎자루의 털, 줄기 아래 쪽의 털로 봐서 가는잎방풍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헌데 가는잎방풍에 비하여 잎의 열편 너비가 너무 가늘다. 그늘이 깊어서 그럴까? 일단은 가는잎방풍으로 정리를 해둔다. 기름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80 http://blog.daum.net/qweenbee/8890925 http://blog.daum.net/qwee.. 2022. 8. 27. 기생꽃 (앵초과 기생꽃속)=>참기생꽃 열매 2019. 7. 19. 백두산 언저리 습지. 습지에서 자라며 참기생꽃에 비하여 개체가 작고 잎 끝이 둥글고, 잎이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꽃이 커보인다. 참기생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26 http://blog.daum.net/qweenbee/8895951 http://blog.daum.net/qweenbee/8891904 http://blog.daum.net/qweenbee/8891905 http://blog.daum.net/qweenbee/8895950 http://blog.daum.net/qweenbee/8904101 https://qweenbee.tistory.com/8906456 참기생꽃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 2021. 1. 4. 개씀배 (국화과 왕씀배속) Prenanthes tatarinowii Maxim. 2019. 7. 17. 백두산 가는길 돈화. 꽃봉오리를 봤지만 개화 모습을 확인할 수 없었으니...... 구글에서 이미지를 찾아보니 진노랑색의 왕씀배꽃과는 달리 왕고들빼기처럼 흰색에 가까운 옅은 노란색이나 옅은 자색, 옅은 녹색을 띠고 있었다. 크게 3갈래로 갈라진 난형의 열편에는 결각성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왕씀배와 달리 개씀배는 날개가 없고 잎자루가 매우 길다. 해외사이트에서 퍼온 꽃의 모습이다 2019. 6. 5. 백두 가는 길. 왕씀배 : http://blog.daum.net/qweenbee/8888936 http://blog.daum.net/qweenbee/8890740 http://blog.daum.net/qweenbee/8894802 http://blog.daum.ne.. 2021. 1. 2. 난쟁이패랭이꽃(석죽과 패랭이꽃속) 2019. 7. 21. 백두산. 백두산에 자생하는 이 녀석은 포가 꽃받침보다 더길다. 아직 개화하지 않아서 아쉽다. 갯패랭이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6017 http://blog.daum.net/qweenbee/8888530 http://blog.daum.net/qweenbee/8888157 http://blog.daum.net/qweenbee/8891314 http://blog.daum.net/qweenbee/8896112 http://blog.daum.net/qweenbee/8897857 http://blog.daum.net/qweenbee/8897866 http://blog.daum.net/qweenbee/8899500 http://blog.daum.net/.. 2020. 8. 8. 골잎원추리 (원추리과 원추리속)?? 2019. 7. 17. 백두산 언저리 습지 습지에서 살고 있으니 노랑원추리라 불러주면 좋겠지만 노랑원추리는 오후 늦은 시각에 꽃을 피우니 그 녀석도 아닐 터. 대충 멀리서 퍽퍽 담아서 동정하기도 어렵다. 북부지역에 자생하는 녀석으로 각시, 애기, 골잎원추리가 있다. 아래 녀석은 화경이 갈라지는 형이니 무분지형인 각시를 제외하면 애기원추리, 골잎원추리 둘 중의 하나일 거다 애기는 얕은 분지형(2-4cm) 에 잎이 화경보다 긴 장엽형이니 제외하면 골잎원추리밖에 남지 않는다. 골잎원추리는 깊은 분지형(5cm)에 잎이 화경보다 짧은 단엽형이니 이 조건에 맞는지 맞춰보면 되겠다. 헌데 문제는 개화 시간이다. 애기, 골잎, 노랑원추리는오후 5시 이후에 꽃이 피는 야간형이기 때문이다. 이곳을 촬영할 때 시간이 오후 .. 2020. 8. 6. 각시원추리(원추리과 원추리속) 2019. 6. 7. 왕청. 자세하게 살피지도 않고 밀집형 화서로만으로 큰원추리라 정리를 해 두었는데 각시로 보인다는 이의 제기가 들어 와서 다시 살피게 되었다. 화경이 무분지형이며 포는 난형이고 화경 끝에 구형으로 모여 있는 종으로 큰원추리와 각시원추리가 있다. 두 종 모두 화경 끝에 구형의 밀집형 화서로 꼬리가 긴 난형의 포를 가지고 있다. 황용,김무열의 한국산 원추리속의 분류학적 연구 논문의 검색표를 보면 아래와 같다. 포는 녹색 혁질, 내화피 열편 폭은 1.3-1.5cm 잎의 폭은 1.3-2.1cm..................................큰원추리(중남부지역) 포는 연녹색 막질, 내화피 열편 폭은 2.7-3.7cm 잎의 폭은 2.3-2.7cm....................... 2020. 8. 6. 백두산떡쑥(국화과 백두산떡쑥속) Antennaria dioica (L.) Gaertn. 2020. 3. 25. 식재. 식물원에 식재되어 있던 백두산떡쑥을 처음 만났다. 잎에 거미줄 같은 뽀얀 털이 많아서 회록색을 띠고 방석처럼 펼쳐져 있는데 붉은색의 총포가 꽃처럼 고왔다. 관모가 보이기 시작하는데 아직 개화가 안 되어 아쉽다. 백두산 주변에서는 아직 만나보지 못하였다. 북부지방의 건조한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가늘고 옆으로 뻗으며, 길이 2~5cm, 끝에서 줄기가 나온다. 줄기는 높이 6~20cm,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흰색 털로 덮여 있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에 나며, 러시아, 몽골, 중국 동북부를 비롯하여 유럽, 북아메리카 알래스카 등에 분포한다. 다북떡쑥속 식물에 비해 총포가 3~5줄로 배열하고, 관모 끝이 굵어져 편평하며, 솜다리속 식물에 비해 총포 조각 뒷면에 .. 2020. 3. 30. 금방망이(국화과 금방망이속) 2019. 7. 18. 장백폭포. 국내에도 한라산과 서해 섬에 자생하고 있는 녀석이다. 떡쑥 : http://blog.daum.net/qweenbee/8889430 http://blog.daum.net/qweenbee/8893496 http://blog.daum.net/qweenbee/8900805 떡쑥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1204 http://blog.daum.net/qweenbee/8902023 금떡쑥 : http://blog.daum.net/qweenbee/8894645 http://blog.daum.net/qweenbee/8894647 http://blog.daum.net/qweenbee/8898452 금떡쑥 신초 : http://blog.daum... 2020. 2. 19. 애기우산나물(국화과 우산나물속) 2019. 7. 16. 백두산 가는 길. 우산나물에 비하여 잎이 더 가늘게 찢어지고 두상화의 소화수가 더 작다. 삿갓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89861 http://blog.daum.net/qweenbee/8891765 http://blog.daum.net/qweenbee/8895602 http://blog.daum.net/qweenbee/8897333 http://blog.daum.net/qweenbee/8897638 http://blog.daum.net/qweenbee/8902301 htt.. 2020. 2. 16. 가는돌쩌귀(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 2011. 8. 7. 선봉령. 노랑투구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524 http://blog.daum.net/qweenbee/8890525 http://blog.daum.net/qweenbee/8890626 http://blog.daum.net/qweenbee/8888904 http://blog.daum.net/qweenbee/8894387 http://blog.daum.net/qweenbee/8896462 http://blog.daum.net/qweenbee/8899995 노랑투구꽃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2663 노랑투.. 2020. 2. 15. 산해박(협죽도과 백미꽃속) 열매 2019. 7. 16. 연길 초지. 꽃이 많이 피지만 결실률은 거의 ............ 가는털백미 : http://blog.daum.net/qweenbee/8892541 https://blog.daum.net/qweenbee/8907607 가는털백미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2542 선백미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8362 http://blog.daum.net/qweenbee/8888137 http://blog.daum.net/qweenbee/8892106 http://blog.daum.net/qweenbee/8887319 http://blog.daum.net/qweenbee/8894006 http://blog.daum.. 2020. 2. 10. 이전 1 2 3 4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