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재배·원예종273

댑싸리(명아주과 댑싸리속) Bassia scoparia (L.) A.J.Scott 2022. 5. 13. 경기도, 갯골생태공원은 인위적으로 심고 가꾸어 놓은 정원이지 생태라는 말을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런 녀석들도 심어 놓고 있으니............. 이 녀석은 댑싸리의 품종으로 둥근댑싸리로 불리며 원예종으로 식재한다. 가는갯능쟁이 : 가는갯능쟁이 새싹 : 갯능쟁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6907 blog.daum.net/qweenbee/8906102 http://blog.daum.net/qweenbee/8896758 http://blog.daum.net/qweenbee/8898137 갯능쟁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196 http://blog.daum.net/qweenbee/888911.. 2022. 9. 21.
흰양귀비(양귀비과 양귀비속) Papaver amurense (N. Busch) N. Busch ex Tolm. 2022. 5. 29. 식재. 2022. 5. 14. 개양귀비 : http://blog.daum.net/qweenbee/8891320 http://blog.daum.net/qweenbee/8896384 http://blog.daum.net/qweenbee/8903854 blog.daum.net/qweenbee/8906453 개양귀비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7256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17 두메양귀비 : http://blog.daum.net/qweenbee/8890605 http://blog.daum.net/qweenbee/8890558 http://blog.daum.net/qweenbee/8904227 좀양귀비 : .. 2022. 8. 4.
파(백합과 부추속) 2021. 5. 4. 충북. 부추 : http://blog.daum.net/qweenbee/8894610 http://blog.daum.net/qweenbee/8896770 https://blog.daum.net/qweenbee/8907000 https://blog.daum.net/qweenbee/8908096 좀부추 : http://blog.daum.net/qweenbee/8894314 http://blog.daum.net/qweenbee/8896153 애기실부추 : http://blog.daum.net/qweenbee/8896200 http://blog.daum.net/qweenbee/8896603 http://blog.daum.net/qweenbee/8895878 http://blog.daum.ne.. 2022. 3. 22.
중국패모(백합과 패모속) 2021. 4. 12. 중국패모 : https://blog.daum.net/qweenbee/8906934 https://blog.daum.net/qweenbee/8906935 https://blog.daum.net/qweenbee/8908439 https://blog.daum.net/qweenbee/8908441 중국패모 새싹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440 2022. 3. 13.
중국패모(백합과 패모속) 2021. 4. 12. 아마도 약재로 경작을 하다가 폐농하여 방치된 밭인 것 같다. 중국패모 : https://blog.daum.net/qweenbee/8906934 https://blog.daum.net/qweenbee/8906935 https://blog.daum.net/qweenbee/8908439 https://blog.daum.net/qweenbee/8908441 중국패모 새싹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440 2022. 3. 13.
맨드라미(비름과)와 엄니 2021. 10. 2. 가을이 깊어지는 어느 날이면 엄니는 아이에게 마당 가에 심어 두었던 맨드라미 꽃과 잎을 따오라는 심부름을 시키셨다. 차례상에 올릴 제수 음식으로 송편과 함께 증편을 찌신다는 엄니의 신호였다 언제 쯤 저 맨드라미 꽃을 딸까 날짜를 꼽던 아이는 곧 맛난 음식을 푸짐하게 먹을 수 있다는 기대로 아주 신이 나서 마당 가로 동동거리며 달려 나갔다. 그해 따라 울타리 아래 심어 두었던 맨드라미는 닭벼슬처럼 생긴 붉은 꽃을 풍성하게 달고 추석을 기다리는 어린아이의 마음을 더 설레게 해 주었더랬다. 엄니가 가마솥에 채반을 깔고 삼베 보자기를 편 위에 곱게 빻은 쌀가루를 앉히면 깨끗하게 씻어 헹군 맨드라미 꽃을 잘게 찢어서 떡쌀 위에 장식을 하셨다. 어린 아이도 고사리 손으로 꽃과 잎을 장식했는데.. 2022. 2. 18.
만년청(백합과 만년청속) 2022. 2. 14. 식재 낙엽에 덮여 있는 잎새를 들춰보아도 붉은 열매가 안 보인다 잘린 열매자루가 남아 있는 걸 보니 일부러 열매를 자른 것 같다. 그래도 잎새 아래 숨어 있던 붉은 열매 세송이를 찾아내어 촬영을 하였다 아직 꽃대가 잡히지 않았는데 잎새가 건강해 보여서 봄에는 아마도 꽃대를 많이 올릴 것 같다. 만년청 꽃 : blog.daum.net/qweenbee/8905383 blog.daum.net/qweenbee/8905384 만년청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8651 http://blog.daum.net/qweenbee/8897194 http://blog.daum.net/qweenbee/8901984 https://blog.daum.net/qween.. 2022. 2. 15.
강황(생강과) Curcuma longa L. 2021. 10. 1. 재배. 울금 꽃과 비슷한 흰꽃을 피웠다. 강황은 생강과 농작물로 오래 전부터 남아시아에서는 강황 분말은 음식의 맛을 더해주는 향신료로 많이 이용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남부지역에서 많이 재배를 한다. 한 때 강황가루를 넣은 밥을 제공하는 식당이 인기를 끌었을 정도로 강황의 효능이 대두가 되었더랬는데 강황 분말은 체질 개선에 도움을 주는 여러가지 효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카레의 원료나, 건강강식품으로 인기가 있다. 나도생강 : http://blog.daum.net/qweenbee/8886982 http://blog.daum.net/qweenbee/8894208 http://blog.daum.net/qweenbee/8897968 http://blog.daum.net/qweenbee/889.. 2021. 12. 21.
아욱(아욱과 아욱속) Malva verticillata L. 2021. 7. 15. 아욱은 민가에서 많이 재배하는 채소로 주로 잎을 식용으로 이용한다. 된장을 풀어서 끓인 아욱국은 된장의 구수함과 함께 식욕을 돋우어 주기도 한다. 꽃은 애기아욱처럼 작고 열매는 10~12개의 심피로 이루어진 분과이다. 어저귀 : http://blog.daum.net/qweenbee/8888617 http://blog.daum.net/qweenbee/8892669 http://blog.daum.net/qweenbee/8896523 http://blog.daum.net/qweenbee/8898244 https://blog.daum.net/qweenbee/8907985 나도어저귀 : blog.daum.net/qweenbee/8906121 blog.daum.net/qweenbee/8906.. 2021. 12. 18.
당아욱(아욱과 아욱속) Malva sylvestris L. 2021. 7. 18. 꽃이 고와서 조경용으로 많이 심고 있는 녀석이다 접시꽃과 달리 일년초라서 매년 파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어저귀 : http://blog.daum.net/qweenbee/8888617 http://blog.daum.net/qweenbee/8892669 http://blog.daum.net/qweenbee/8896523 http://blog.daum.net/qweenbee/8898244 https://blog.daum.net/qweenbee/8907985 나도어저귀 : blog.daum.net/qweenbee/8906121 blog.daum.net/qweenbee/8906124 https://blog.daum.net/qweenbee/8907739 나도어저귀 종자 : blog... 2021. 12. 18.
동아(박과 동아속) Benincasa cerifera Savi 2021. 8. 29. 경북. 농업기술지원센터 재배지에 심겨진 동아다. 어마어마한 열매 크기에 벌린 입을 다물 수가 없었는데 박과 열매가 이렇게 큰 건 처음 봤다. 아시아 열대지방이 원산으로 추정되며 각지에서 약용 및 식용으로 재배한다. 열매는 채소, 씨는 염증, 기침, 이뇨제의 약재로 이용된다. 열매는 장과, 긴 타원형으로 길이 30~45cm, 익으면 겉에 흰색 가루가 생긴다. 2021. 11. 21.
삼(삼과 삼속) 열매 2021. 10. 4. 재배. 안동지방에서는 예로부터 삼 껍질을 이용한 삼베 안동포를 생산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모시와 달리 삼베는 올이 굵고 거칠지만 땀도 잘 흡수하면서 통풍이 잘 되어서 더위를 덜 느끼게 해주어서 여름 의류와 침구를 만드는데 인기가 있었는데, 가내수공업으로 생산하는 삼베는 값도 비쌀 뿐 아니라 요즈음에는 찾는 이도 드물고 중국산 삼베가 많이 들어와서 안동포는 겨우 명맥을 이어갈 정도로 거의 사양길에 들어서고 있다. 안동포의 원료인 삼을 대마라 부르기도 하는데 바로 이 녀석이 잎을 말려서 담배처럼 피우는 대마초의 모체이다 삼베를 짜는데는 줄기의 껍질만 필요하기 때문에 삼을 수확할 때는 공무원의 입회 하에 떨어낸 잎을 처리한다고 한다. 올해 두 곳에서 삼을 재배하는 걸 보게 되었.. 2021.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