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야생초9157 '털민들레'로 부르던 국명이 '민들레'로 바뀌었다. 학명상 우리 나라에는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가 없었더랬다. 민들레는 일본 고유종이었으니.오랫동안 민들레로 불러 왔던 녀석의 실체는 털민들레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를 오동정한 것이었으니.헌데 그 '털민들레' 를 '민들레'로 부른다면서 국명 수정이 고시되었더랫다.그러니 학명 Taraxacum mongolicum 는 추천국명이 민들레이고 털민들레는 이명이 되어 버렸다.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Dahlst.-일본고유종 -> 국명 없음털민들레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 =>2024. 1. 국명이 로 수정 고시흰털민들레 Taraxacum platypecidum Diels 흰민들레 Tarax.. 2025. 1. 10. (애기)땅꽈리(가지과 땅꽈리속) Physalis pubescens L. 2024.10. 08. 전남 여수. 땅과리속에 대한 재 정리가 되어 있긴 한데.....난 이 녀석이 애기땅과리 Physalis minima L. 라는 의심을 지울 수가 없다. 꽈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7034https://qweenbee.tistory.com/8903454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4꽈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78 https://qweenbee.tistory.com/8886060https://qweenbee.tistory.com/8886403 https://qweenbe.. 2025. 1. 9. 꽃여뀌바늘(바늘꽃과 여뀌바늘속) Ludwigia peploides (Kunth) P.H.Raven subsp. montevidensis (Spreng.) P.H.Raven 2024. 8. 30. 원예종으로 들어와 있던 녀석이 하천에서 번지고 있다. 이 녀석도 번식속도가 빨라서 환경위해식물이 될 것 같다.2019.년 4월 침임왜래식물 꽃여뀌바늘로 발표가 되었다. 여뀌바늘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02 https://qweenbee.tistory.com/8886574 https://qweenbee.tistory.com/8894439 https://qweenbee.tistory.com/8900393 눈여뀌바늘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22 https://qweenbee.tistory.com/8888669https://qweenbee.tistory.com/8894475 .. 2024. 12. 31. 장엽반하(천남성과 반하속) Pinellia pedatisecta Schott 2024. 8. 30. 꽃동무가 이게 뭐냐는 질문에 확인 차 자연스럽게 퍼져서 군락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만났다. 보내온 사진을 보고는 금방 알아채지 못하였는데현장에서 본 후 확인을 해 보니 약용식물 연구원 묘포장에서 본 적이 있던 장엽반하였던 것이다.이미 몇 몇 사람들이 이 정보를 알고 있다는데 산림청 기관에서 보고서 작성 중이라고 한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명 '虎掌' '호장'으로 약용으로 재배하기도 하는데, 유독성 괴경은 림프절 비대와 요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의학에서 사용된다. 원산지 지도이다. 어린 싹은 대반하와 비슷하다. 둥근잎천남성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1 https://qweenbee.tistory.com/8893527https://q.. 2024. 12. 30. 가는오이풀(장미과 오이풀속) Sanguisorba × tenuifolia Fisch. ex Link 2022. 9. 20. 수목원 식재. 화서가 급하게 아래로 늘어지면서 가늘고 길다. 화사가 꽃밥보다 더 넓다. 원산지는 중국 북중부, 만주, 내몽골, 몽골, 일본 캄차카 하바롭스크 쿠릴 제도, 연해주, 사할린, 대한민국이다. 오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38 https://qweenbee.tistory.com/8892762https://qweenbee.tistory.com/8901346 구슬오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909 https://qweenbee.tistory.com/8894425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2 https://qweenbee.tistor.. 2024. 12. 27. 버들잎엉겅퀴(국화과 엉겅퀴속) Cirsium lineare (Thunb.) Sch.Bip. 2024. 11. 경북. 오래 전 동래엉겅퀴로 불리던 녀석이다.동래로 보기에도 맞지 않던 이 녀석은 결국 남도 섬의 습지에서 만난 버들잎엉겅퀴와 같은 녀석으로 확인이 되었다. 남도 섬 습지에서 만났던 버들잎엉겅퀴의 줄기 아래 잎도 이처럼 결각성을 가진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다 엉겅퀴(해안형)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9 https://qweenbee.tistory.com/8886916https://qweenbee.tistory.com/8901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8https://qweenbee.tistory.com/8901337 https://qweenbee.tistory.com/8903881엉겅퀴 : .. 2024. 12. 16. 꼬리겨우살이(꼬리겨우살이과 꼬리겨우살이속) Loranthus tanakae Franch. & Sav. 2024. 11. 14. 산행에서 만난 반가운 선물. 그런데 너무 먼 당신이다. 동백나무겨우살이: https://qweenbee.tistory.com/8891156 https://qweenbee.tistory.com/8891157 https://qweenbee.tistory.com/8891008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7 https://qweenbee.tistory.com/8889336 https://qweenbee.tistory.com/8889249 https://qweenbee.tistory.com/8894216 https://qweenbee.tistory.com/.. 2024. 12. 16. 참싸리(콩과 싸리속) Lespedeza cyrtobotrya Miq. 2024. 7. 20. 강원도. 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9 https://qweenbee.tistory.com/889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390싸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39 참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0 https://qweenbee.tistory.com/8887305https://qweenbee.tistory.com/8894637 https://qweenbee.tistory.com/88962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31 https://qweenbee.t.. 2024. 12. 12. 털중나리(백합과 백합속) Lilium amabile Palib. 2024. 6. 16. 충북. 오랜만에 들렀던 산자락에 털중나리가 붉게 피어서 숲을 장식하고 있었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97https://qweenbee.tistory.com/8.. 2024. 12. 11. 대설산식물 - 풀산딸나무(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Cornus canadensis L. 2024. 7. 6. 아사히다케. 산딸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32 https://qweenbee.tistory.com/8899528 https://qweenbee.tistory.com/8905176 https://qweenbee.tistory.com/8905512 https://qweenbee.tistory.com/8909941 산딸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68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85 https://qweenbee.tistory.com/8899942 https://qweenb.. 2024. 12. 11. 땅비수리(콩과 싸리속) Lespedeza juncea (L.f.) Pers. 2024. 10. 30. 도청. 주변 공터에 비수리 종류가 많아서 들여다 보는 재미가 크다.이 녀석을 비수리와 함께 어울려서 자라는데 비수리에 비하여 열매의 길고 부드러운 털이 매우 밀생한다. 비수리에 비하여 측맥의 간격이 넓고 그물맥이 선명하다 비수리 :https://qweenbee.tistory.com/8890791 https://qweenbee.tistory.com/8886378https://qweenbee.tistory.com/8906292 https://qweenbee.tistory.com/8900355https://qweenbee.tistory.com/89046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292https://qweenbee.tistory.com/.. 2024. 12. 3. 섬모시풀(쐐기풀과 모시풀속) Boehmeria nivea var. tenacissima (Gaudich.) Miq. 2024. 9. 25. 남도. 모시풀은 줄기에 거친 털이 빽빽하게 나며 턱잎이 잎자루에 붙지 않고 잎 뒷면이 흰색 또는 회색을 띠지만, 섬모시풀은 줄기에 부드러운 털이 있고 턱잎이 잎자루에 다소 붙고 잎 뒷면이 약간 녹색을 띤다.우리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울릉도 등에 나며, 일본, 중국,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꽃은 자웅일가로 8~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나는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리고 밑부분에 수꽃화서, 윗부분에 암꽃화서가 난다. 뒷면에는 백색 솜털이 있어 희며 맥 위에 잔털이 있고 잎자루는 3~9cm이며 밑부분에 선상 탁엽이 있다. 줄기는 어긋나기하고 잎자루와 더불어 짧은 눈털이 밀생한다.잎자루에 기부가 합생하는 탁엽이 있다. (숲)거북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0.. 2024. 11. 28. 이전 1 2 3 4 ··· 7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