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북해도식물210 북해도식물 - 등수국(수국과 수국속)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2024. 7. 6. 북해도. 습지 가장자리에 서 있는 나무를 등수국이 타고 오르면서 꽃을 피웠다. 바위수국 : 헛꽃잎이 1개, 잎의 톱니가 크고 억세다.등수국 : 헛꽃잎이 4개, 톱니가 자잘하다. 수국 :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3수국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95207 산수국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590https://qweenbee.tistory.com/8894787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2https://qweenbee.tistory.com/8899608 htt.. 2025. 1. 5. 북해도식물 - 박새(백합과 여로속) Veratrum dolichopetalum O.Loes. 2024. 7. 6. 아사히다케. 습지에서 만난 박새 녀석이 별다른 종인 줄 알았더니 국내에 있는 박새와 다른 점이 없다.일본 고산에 고유종인 Veratrum stamineum 가 있다기에 혹시나 했더니만 아니었다. 박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55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8https://qweenbee.tistory.com/8893931 https://qweenbee.tistory.com/8905583https://qweenbee.tistory.com/8894881 https://qweenbee.tistory.com/8899554 https://qweenbee.tistory.com/8899624 https.. 2025. 1. 5. 북해도식물 - 애기금매화(미나리아재비과 금매화속) Trollius japonicus Miq. 2024. 7. 5. 구로다케. 요건 구로다케로 오르는 중에 담은 애기금매화 녀석.일본 고산식물 도감의 학명은 Trollius japonicus Miq.인데 우리나라국가표준식물 목록에서는 애기금매화 Trollius riederianus Fisch. & C.A.Mey. 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다. 큐에서는 두 학명을 별도 분류군으로 보고 있다. 원산지는 중국 동부에서 한국(북한), 북일본 및 중앙 일본까지이다. 애기금매화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24(백두)애기금매화(대설산)https://qweenbee.tistory.com/8910733 https://qweenbee.tistory.com/8911624 금매화속(데설산): https://qweenbe.. 2025. 1. 5. 북해도식물 - 미나리아재비과 금매화속 ? Trollius 2024. 7. 6. 아사히다케 습지. 산 아래 쪽 습지에서 만난 녀석이다. 애기금매화롸 봐야할지 아니면 다른종으로 봐야할지 확실하지 않다.산 위에서 담은 애기금매화와는 잎의 갈래가 다르고 전초 크기도 더 큰데..... 애기금매화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24(백두)애기금매화(대설산)https://qweenbee.tistory.com/8910733 https://qweenbee.tistory.com/8911624 금매화속(데설산): https://qweenbee.tistory.com/89116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786 금매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42 큰금매화 : .. 2025. 1. 5. 북해도식물 - 독미나리(산형과 독미나리속) Cicuta virosa L. 2024. 7. 6. 아사히다케 습지. 국내에도 전북의 저수지와 강원도 하천습지 주변에서 자생하고 있는 녀석이다.대륙의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미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15 https://qweenbee.tistory.com/8895147https://qweenbee.tistory.com/8901231 https://qweenbee.tistory.com/8909213미나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9216 반디미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93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176https://qweenbee.tistory.. 2025. 1. 4. 대설산식물 - 마가목속 Sorbus matsumurana(Makino) Koehne 2024. 7. 5. 구로다케. 발가락 골절이라 조심조심 천천히 뒤늦게 오르다가 길 남사면 관목림에서 만났는데전체적으로 털이 없고 꽃이 풍성하고 꽃잎의 위쪽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게 톱니가 있고 열매가 작은 녀석이다. 북해도 고산에 자생하는 마가목속으로 두 종류를 소개하고 있는데,Sorbus matsumurana 는 꽃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거치가 있고 쭈굴거리는 느낌이 있으며 잎의 톱니가 자잘하고 잎 끝이 둔하게 짧다.Sorbus sambucifolia 는 꽃잎 가장자리가 매끈하며 잎의 결각이 날카롭고 잎끝이 긴 형이다. 이 녀석은 Sorbus matsumurana 로 일본명 " 우라지로나나카마도" ウラジロナナカマド 이다.일본에만 분포하는 일본 고유종이다꽃잎이 쭈글거리는 느낌이 있고 불규칙한 거치가.. 2025. 1. 3. 북해도식물 -제비난초속 platanthera tipuloides subsp. tipuloides var, soronia 2024. 7. 6. 아사히다케. 화산 분화구 주변 물이 고인 연못의 습원에서 있던 녀석이다.일본명 '호소바노끼소치도리' ほそばノキソチドリ북해도와 혼슈 중부 이북의 아고산대나 고산대의 습한 초지나 눈밭에 자란다. 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358 구름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87 https://qweenbee.tistory.com/8898020 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87 https://qweenbee.tistory.com/8886277 https://qweenbee.tistory.com/8904.. 2025. 1. 3. 북해도식물 - 큰터리풀(장미과 터리풀속) 어린싹 Filipendula camtschatica (Pall.) Maxim. 2024. 7. 5. 구로다케. 고도가 높은 산지에는 아직도 유체가 성장 중이었다. 큰 광란형으로 밑은 심장형이고 흔히 장상으로 5열하며 열편은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으로 결각상 겹거치가 있고 잎맥 위에 섞인 털이 있다. 엽병에는 극소한 작은잎 몇 조각을 착생하며 턱잎은 반심장형으로 톱니가 있다. 터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803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5 https://qweenbee.tistory.com/8896085https://qweenbee.tistory.com/8905602 https://qweenb.. 2025. 1. 1. 북해도식물 - 큰터리풀(장미과 터리풀속) Filipendula camtschatica (Pall.) Maxim. 2024. 7. 6. 아사히다케. 작년에 북해도에서 처음 만나서 이름을 찾은 녀석이다.계곡부와 습지 주변에서 흔히 나타났는데 키가 내키보다 더 높았다.높이가 1~2m 에 달하며, 턱잎이 크고 단풍터리풀과 유사하나 잎이 더 크다.큰터리풀은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사할린, 우수리, 캄차카,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터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803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5 https://qweenbee.tistory.com/8896085https://qweenbee.tistory.com/8905602 .. 2025. 1. 1. 북해도식물- 물파초(천남성과 리시키톤속) 열매 Lysichiton camtschatcensis (L.) Schott 2024. 7. 6. 아사히다케 습지. 습지 관찰로를 따라 사람 키 높이 이상으로 크게 자란 녀석이 길게 도열하고 있다.바나나잎처럼 큰 잎을 가진 천남성과 녀석이다. 길이 20cm 정도 흰색의 커다란 불염포를 가지 꽃을 피운다. 북미 쪽에는 노란색 불염포를 가진 종도 있다. 육수화서가 결실한 방망이처럼 생긴 열매가 잎 자루 아래 모여 있다. 일본명 '미즈바시요우' ミズバシヨウ, 한자어 水芭蕉(수파초) 로 나온다. 물파초가 맞다. 극동러시아와 캄차카 반도, 쿠릴 열도, 사할린 및 일본 북부의 늪과 습한 숲, 개울을 따라 습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식물이다. 개화기에는 꽃보다 작은 잎이 나중에는 광택이 나며 1m 정도로 크게 자란다. 애기앉은부채 : https://qweenbee.tistory.com.. 2024. 12. 31. 대설산식물-백산차(진달래과 백산차속) Ledum palustre L. var. diversipilosum Nakai 2024. 7. 6. 대설산 아사히다케. 백두산까지 어렵게 가야만 만날 수 있는 진달래과 녀석들을 여기서는 아주 쉽게 만날 수 있어서 신난다. 흰참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113 https://qweenbee.tistory.com/8894024https://qweenbee.tistory.com/8886690 https://qweenbee.tistory.com/8894161https://qweenbee.tistory.com/8901018 흰참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5971 참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20 https://qweenbee.tist.. 2024. 12. 30. 대설산식물-장미과 조팝나무속 마르바시모츠케 Spiraea betulifolia var. aemiliana (C. K. Shunied) Koidz 2024. 7. 6. 대설산 아사히다케. 원산지는 E. 시베리아에서 북일본까지로 잎이 동글동글 귀여운 관목이다.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ps://qweenbee.tistory.com/8902595https://qweenbee.tistory.com/8907389 https://qweenbee.tistory.com/8909188 털긴잎조팝나무 꽃 : https://qw.. 2024. 12. 30. 이전 1 2 3 4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