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19092

들완두(콩과 나비나물속) Vicia bungei Ohwi 2025. 4. 22. 강원도. 참나무속 녀석 때문에 조사하러 다니던 중 계곡부 등산로변에서 만났다.강원도 동해안 지역에는 이 녀석이 꽤 나타나서 반겨준다. 산과 들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cm에 이른다.모든 줄기에 털이 없고 원줄기는 다소 사각형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올라간다. 잎은 2~5쌍의 잎으로 구성된 짝수겹잎이며 피침형, 도란형으로 끝이 오목하거나 절단된 듯하다.잎 끝에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꽃이 크고 꽃받침에 털이 있다 경기도 이북에 나며 만주, 중국 등에 분포한다 나래완두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4 https://qweenb.. 2025. 4. 23.
좀아마냉이(배추과 양구슬냉이속) Camelina microcarpa Andrz. ex DC. 2025. 4. 20. 경북. 며칠 사이에 꽃대가 길어졌고 열매도 달려 있다. 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https://qweenbee.tistory.com/88953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1https://qweenbee.tistory.com/8891482 https://qweenbee.tistory.com/8898971https://qweenbee.tistory.com/8899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3596 https://qweenbee.tistory.com/890866.. 2025. 4. 23.
봉화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열매 Corydalis bonghwaensis M.Kim & H.Jo 2025. 4. 18. 경북. 수정이 잘 안되는지 이 녀석 열매는 거의 보기 힘드는데포도 밭 바닥에 자리잡은 묵은 포기가 아주 실하게 방추형 열매를 달고 있다. 쇠뿔현호색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3https://qweenbee.tistory.com/88914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4https://qweenbee.tistory.com/88875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363 https://qweenbee.tistory.c.. 2025. 4. 23.
들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ternata (Nakai) Nakai 2025. 4. 20. 경북. 과수원의 사과 꽃이 하얗게 피었다.그 아래 붉은 들현호색도 화들짝 신이 났다. 쇠뿔현호색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3https://qweenbee.tistory.com/88914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4https://qweenbee.tistory.com/88875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3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217https://qweenbee.tist.. 2025. 4. 22.
봉화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bonghwaensis M.Kim & H.Jo 2025. 4. 18. 경북. 처음 알려진 게 봉화 도로변이었지만내가 본 건 그 전에 창량산 자락이었다. 현재는 봉화 보다는 안동 쪽에 여러 곳에서 자라고 있다. 꽃은 연노랑색을 꾸준하게 유지하고 있는데엽형은 주로 댓잎모양이지만 빗살처럼 갈라지는 경우도 보이며 다양한 모양의 잎이 나타난다. 쇠뿔현호색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3https://qweenbee.tistory.com/88914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4https://qweenbee.tistory.com/88875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 2025. 4. 22.
멱쇠채(국화과 쇠채속) Scorzonera austriaca Willd. 2025. 4. 20. 경북. 3일간 출장으로 강원도 동해안을 헤매고 있다. 귀가하면 찾아 봐야 하는데 시간이 날지 모르겠다.아마 지금 쯤 몇 송이는 피었을 게다. 양지 쪽에 폈던 녀석들은 이미 열매를 여물리고 있다. 멱쇠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91540 https://qweenbee.tistory.com/8891541https://qweenbee.tistory.com/8889664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8https://qweenbee.tistory.com/8887817 https://qweenbee.tistory.com/8903753 https://qweenbee.tistory.com/8895442 .. 2025. 4. 22.
멱쇠채(국화과 쇠채속) Scorzonera austriaca Willd. 2025. 4. 20. 동네 앞산. 그늘진 곳은 아직 이르고 양지 바른 무덤 가에는 벌써 열매가 여물고 있다. 멱쇠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91540 https://qweenbee.tistory.com/8891541https://qweenbee.tistory.com/8889664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8https://qweenbee.tistory.com/8887817 https://qweenbee.tistory.com/8903753 https://qweenbee.tistory.com/8895442 https://qweenbee.tistory.com/8895538https://qweenbee.tist.. 2025. 4. 22.
고깔제비꽃 Viola rossii Hemsl. 2025. 4. 15. 강원도. 고깔제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5449 https://qweenbee.tistory.com/8895553 https://qweenbee.tistory.com/8897275 https://qweenbee.tistory.com/8897405 https://qweenbee.tistory.com/8901961 https://qweenbee.tistory.com/8907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8331 https://qweenbee.tistory.com/8908795 https://qweenbee.t.. 2025. 4. 22.
조선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er 2025. 4. 16. 강원도. 잎에 분백색이 강하고 꽃과 잎 등 전초가 크다. 위 아래 외화판 가장자리에 자잘한 웨이브성 톱니가 있다. 2025. 4. 18. 경북. 쇠뿔현호색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3https://qweenbee.tistory.com/88914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4https://qweenbee.tistory.com/88875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363 https://qweenbee.tistor.. 2025. 4. 22.
중국패모(백합과 패모속) Fritillaria thunbergii Miq. 2025. 4. 18. 충남. 너느 낙엽송이 심겨져 있는 작은 골짝에 방치되어 세력이 점점 불어나는 중국패모 밭이 있다.오랜만에 들렀는데 이미 시기가 늦어서 줄기 끝에 한 두개 정도가 싱싱하다. 패모 : https://qweenbee.tistory.com/8911132(백두산 연변) 중국패모 :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5 https://qweenbee.tistory.com/8908439 https://qweenbee.tistory.com/8908441 https://qweenbee.tistory.com/8911895중국패모 새싹 : htt.. 2025. 4. 22.
개살구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2025. 4. 15. 강원도. 꽃동무 동에 수목원 주ㅜ변에서 만난 개살구나무는 벌써 꽃잎을 다 떨구었다.벚나무 종류가 화사하게 꽃을 피우고 있으니 이 녀석이 꽃을 떨구는 시기가 맞다.수정이 끝나면 꽃자루가 더 길어져서 살구나무와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살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7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6https://qweenbee.tistory.com/8895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9061https://qweenbee.tistory.com/889904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20https://qweenbee.. 2025. 4. 22.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Palib. 2025. 4. 17. 충남. 남부지역에서 태백이란 이름을 가진 제비꽃을 만나다니.그렇다면 국명을 잘 못 지은 거다. 2025. 4. 15. 강원도. 태백제비꽃: https://qweenbee.tistory.com/8910959 https://qweenbee.tistory.com/8910349 https://qweenbee.tistory.com/8908802 https://qweenbee.tistory.com/8908799 https://qweenbee.tistory.com/8905091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5 https://qweenbee.tistory.com/8899163 .. 2025.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