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18959

'털민들레'로 부르던 국명이 '민들레'로 바뀌었다. 학명상 우리 나라에는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가 없었더랬다. 민들레는 일본 고유종이었으니.오랫동안 민들레로 불러 왔던 녀석의 실체는 털민들레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를 오동정한 것이었으니.헌데 그 '털민들레' 를  '민들레'로 부른다면서 국명 수정이 고시되었더랫다.그러니 학명 Taraxacum mongolicum 는 추천국명이 민들레이고 털민들레는 이명이 되어 '민들레'가 다시 살아나게 되었다.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Dahlst.-일본고유종 -> 국명 없음털민들레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 =>2024. 1. 국명이 로 수정 고시흰털민들레 Taraxacum platypecidum Di.. 2025. 1. 10.
(애기)땅꽈리(가지과 땅꽈리속) Physalis pubescens L. 2024.10. 08. 전남 여수. 땅과리속에 대한 재 정리가 되어 있긴 한데.....난 이 녀석이 애기땅과리  Physalis minima L. 라는 의심을 지울 수가 없다.  꽈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7034https://qweenbee.tistory.com/8903454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4꽈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78    https://qweenbee.tistory.com/8886060https://qweenbee.tistory.com/8886403    https://qweenbe.. 2025. 1. 9.
백두산식물 - 개씀배(국화과 왕씀배속) 어린싹 Prenanthes tatarinowii Maxim. 2024. 5. 11-14 중국 연변 여기저기서 만난 어린 싹이다.9월이 되어야 옅은 자색의 작은꽃을 피운다.  왕씀배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36    https://qweenbee.tistory.com/8890740              https://qweenbee.tistory.com/8894802      https://qweenbee.tistory.com/88967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464     https://qweenbee.tistory.com/8909472왕씀배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394  https://qweenbee.tistory.c.. 2025. 1. 7.
꽃여뀌바늘(바늘꽃과 여뀌바늘속) Ludwigia peploides (Kunth) P.H.Raven subsp. montevidensis (Spreng.) P.H.Raven 2024. 8. 30.  원예종으로 들어와 있던 녀석이 하천에서 번지고 있다. 이 녀석도 번식속도가 빨라서 환경위해식물이 될 것 같다.2019.년 4월 침임왜래식물 꽃여뀌바늘로 발표가 되었다. 여뀌바늘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02 https://qweenbee.tistory.com/8886574            https://qweenbee.tistory.com/8894439   https://qweenbee.tistory.com/8900393 눈여뀌바늘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22   https://qweenbee.tistory.com/8888669https://qweenbee.tistory.com/8894475   .. 2024. 12. 31.
장엽반하(천남성과 반하속) Pinellia pedatisecta Schott 2024. 8. 30. 꽃동무가 이게 뭐냐는 질문에 확인 차 자연스럽게 퍼져서 군락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만났다. 보내온 사진을 보고는 금방 알아채지 못하였는데현장에서 본 후 확인을 해 보니 약용식물 연구원 묘포장에서 본 적이 있던 장엽반하였던 것이다.이미 몇 몇 사람들이 이 정보를 알고 있다는데 산림청 기관에서 보고서 작성 중이라고 한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명 '虎掌' '호장'으로 약용으로 재배하기도 하는데, 유독성 괴경은 림프절 비대와 요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의학에서 사용된다. 원산지 지도이다. 어린 싹은 대반하와 비슷하다. 둥근잎천남성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1 https://qweenbee.tistory.com/8893527https://q.. 2024. 12. 30.
이팝나무(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 열매 Chionanthus retusus Ldl. & Paxton 2024  8. 30.경남. 조경수로 심어둔 이팝나무에 열매가 충실하게 잘 달려 있다.흔하게 보이는 지라 열매를 담아 둔 게 많지 않아서 이 녀석 열매도 몇 장 챙겼다.  이팝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61   https://qweenbee.tistory.com/8895695https://qweenbee.tistory.com/8897715   https://qweenbee.tistory.com/8904145이팝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81  https://qweenbee.tistory.com/8894782 https://qweenbee.tistory.com/8886108    https://qweenbee.t.. 2024. 12. 30.
가는오이풀(장미과 오이풀속) Sanguisorba × tenuifolia Fisch. ex Link 2022. 9. 20. 수목원 식재. 화서가 급하게 아래로 늘어지면서 가늘고 길다. 화사가 꽃밥보다 더 넓다.   원산지는  중국 북중부,  만주, 내몽골, 몽골, 일본 캄차카 하바롭스크  쿠릴 제도, 연해주, 사할린, 대한민국이다.   오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38    https://qweenbee.tistory.com/8892762https://qweenbee.tistory.com/8901346 구슬오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909   https://qweenbee.tistory.com/8894425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2   https://qweenbee.tistor.. 2024. 12. 27.
귀리(벼과 귀리속) Avena sativa L. 2023. 5. 21. 전남. 처음에는 왜 메귀리를 이렇게 심어 놓았을까 하며 가축사료용으로 재배하는 줄알았더니곡물인 귀리를 재배하고 있다는 걸 나중에서야 눈치를 채었다. ㅎㅎ  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8 메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6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7          https://qweenbee.tistory.com/8907203    https://qweenbee.tistory.com/8907916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3 ******************************************.. 2024. 12. 27.
기장(벼과 기장속) Panicum miliaceum L. 2022. 8. 27. 강원도 재배. 분명 촬영해 둔 것 같았는데 언제 촬영한지 몰라서 정리를 못했더니 오늘에야 파일을 찾았다.  기장 : https://qweenbee.tistory.com/8907781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6 개기장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1  https://qweenbee.tistory.com/88908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955    https://qweenbee.tistory.com/8906475           https://qweenbee.tistory.com/8906477    개기장 영과 : https://qweenbee.t.. 2024. 12. 26.
줄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lenta D.Don 2024. 12. 17.  사초과 식물 대부분 5~6월이면 열매가 결실되어 떨어지는데그 중에서 가장 늦은 9월 쯤에 꽃을 피우고 이제서야 결실을 하는 녀석이 줄사초이다.  줄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6599   https://qweenbee.tistory.com/89082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744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4 2024. 12. 24.
치자나무(꼭두서니과 치자나무속) Gardenia jasminoides J. Ellis 2024. 12. 17.  민가나 사찰에 주로 식재하는 녀석이 숲에서 나타났다.가까운 곳에 유실수를 심은 농가가 있긴 한데 거기서 심어놓은 건지 모르겠다. 베트남, 인도, 인도차이나, 일본, 중국, 타이완, 태국 등에 분포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국에서 도입하여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던 것이 야생화하여 숲 가장자리, 계곡과 산기슭, 들판 등에서 자란다. 열매에서 노란 물이 우러나서 염료로 쓰이기도 한다.  치자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60치자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6987  https://qweenbee.tistory.com/8901853              https://qweenbee.tistory.c.. 2024. 12. 24.
사철검은재나무(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Symplocos nakaharae (Hayata) Masam 2024. 12. 17.   날씨 때문일까? 예년보다 높은 기온이 계속되자 이른 봄에 피는 꽃이 벌써 폈다.하기사 개복수초가 12월에 피는 곳도 있으니. 꽃의 모습은 정상적인 모습이 아니고 수술도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  검노린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1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54   https://qweenbee.tistory.com/8895712          https://.. 2024.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