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256

대청지치(지치과 대청지치속)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 2025. 5. 13. 경기. 중국 중부 및 남동부에서 한국까지 분포하고 있으며우리나라 에서는 대청도와 소청도에서 만날 수 있는 분포가 제한적인 녀석이다. 소청도 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이틀 째 소청도를 조사하는 중에 겨우 찾아낸 녀석이다.오래 전에는 마을 텃밭 가장자리 등에서 보았다는데 다 사라져 버렸고 올해 보았다는 정보를 대충 설명듣고서 눈치 껏 뒤져서 결국 찾아내었다. 기를 쓰고 찾아낸 이유는 이 녀석이 우선 확보 종으로 보너스 점수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ㅎㅎ 반갑다 아그야~!!너 참 오랜만에 본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 2025. 5. 16.
갈퀴지치(지치과 갈퀴지치속) Asperugo procumbens L. 2025. 5. 13. 12시 30분 출항하는 배를 타려고 인천으로 향하는 모바일 배표를 확인하던 동행 연구원이 배표가 환불되었다고 당황해 한다모바일 배표를 전날 확인하였는데 무슨 일인가 싶어서 갓길에 차를 세우고 확인하니 내 표도 환불이다. 헐!!5일간 소청도 식물상 조사로 출장인데 이 무슨 황당한 일인가 싶어서 폰을 뒤지니까 기상 악화로 출항이 통제되었다는 메세지가 6시 30분 경에 와 있다.안동에서 5시 40분에 출발하여 운전 중이라 메세지를 미처 확인을 못 했던 것이다.결국 인천에서 하루를 숙박하고 내일 아침 9시 배로 소청도로 들어간다.표본 건조에 필요한 골판지와 신문지를 허리 높이 만큼 야책으로 묶어서 실은 손수레를 함께 동행하는 연구원이 끌고 다니느라 고생이다 어쨌든 계획보다 하루 늦게 .. 2025. 5. 16.
나도수정초(진달래과 나도수정초속) Monotropastrum humile (D.Don) H.Hara 2025. 5. 11. 제주. 첫 날 보았던 녀석과 다른 장소의 녀석이다. 자주 만나지 않기도 하거니와 이렇게 큰 무리는 난생처음이라 연신 감탄사를 날렸다. 나도수정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9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0https://qweenbee.tistory.com/8900182 https://qweenbee.tistory.com/8896547https://qweenbee.tistory.com/8899457 https://qweenbee.tistory.com/8902617https://qweenbee.tistory.com/8902618 https://qweenbee.tistory.com/89040.. 2025. 5. 14.
비자란(난초과 비자란속) Thrixspermum japonicum (Miq.) Rchb.f. 2025. 5. 11. 제주. 이틀 전에 왔을 때 피었던 녀석은 지고 새로운 꽃이 더 피었다. 2025. 5. 14.
방울새풀 (벼과 방울새풀속) Briza minor L. 2025. 5. 8. 제주. 자세히 들여다 보면 벼과들도 소수가 이쁘다. 방울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10431 https://qweenbee.tistory.com/8911994 2025. 5. 13.
(흰)갯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Silene aprica Turcz. ex Fisch. & C.A.Mey. var. oldhamiana (Miq.) C.Y.Wu 2025. 5. 8. 제주. 이 곳에는 온통 흰색의 갯장구채만 나타난다.식생이 참 다양한 해안 올레길이었는데 거의 황폐화 되었다. 2025. 5. 13.
부산사초(사초속 검정사초절) Carex fusanensis Ohwi 2025. 5. 6.경북. 산 남사면에 온통 초록 머리카락을 늘어뜨리고 있는 이 녀석이 부산사초이다 꼬랑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224 https://qweenbee.tistory.com/8891472https://qweenbee.tistory.com/8891578 https://qweenbee.tistory.com/8887691https://qweenbee.tistory.com/8897208 https://qweenbee.tistory.com/8897367https://qweenbee.tistory.com/8900679 https://qweenbee.tistory.com/8906772https://qweenbee.tistory.com.. 2025. 5. 13.
암대극(대극과 대극속) Euphorbia jolkinii Boiss. 2025. 5. 8. 제주. 풍경버전으로 화각이 넓은 폰으로"김치~!!! ~~" 2025. 5. 12.
갯쇠돌피(벼과 쇠돌피속) Polypogon monspeliensis (L.) Desf. 2025. 5. 8. 제주. 갯강아지풀도 아닌게.....본 적이 있는 것 같은데 뭘까? 하고 갸웃거렸는데갯쇠돌피였다.벼과 자료에 3건이나 올려 놓고도 다 까먹었다. 쇠돌피에 비하여 호영과 포영의 가락이 길다.꽃차례 가지는 축에 밀착하거나 비스듬히 벌어진다.주로 바닷가 근처에서 자란다. 결실기의 이삭 쇠돌피 : https://qweenbee.tistory.com/8907370갯쇠돌피 : https://qweenbee.tistory.com/88978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369 https://qweenbee.tistory.com/8907472 2025. 5. 12.
털개구리자리(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sardous Crantz 2025. 5. 8. 제주. 탐사지로 들어가는 초입에서부터 안쪽 너른 ㄳ 까지 밭뙈기를 이루고 있다. 2023년에 제주도에 갔다가 우연하게 녀석을 만나고 미기록종이라 좋아라 했었는데이미 제주도에서 발견되어 2019년에 보고된 털개구리자리였었다. . 이 녀석은 2018년 제주도 서귀포 하논에서 처음 발견이 되었는데,제주도 두 지역에서 군락을 이루며 퍼지고 있었다고 보고 되었다. 지금 이 녀석의 퍼지는 기세를 보아하니 주변의 노지를 인정사정 없이 점령하는 폼이 환경위해식물로 될 것 같다.줄기의 털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 2025. 5. 12.
등심붓꽃(붓꽃과 등심붓꽃속) Sisyrinchium rosulatum E.P.Bicknell 2025. 5. 8. 제주. 제주도애 정착하고 있는 일본과 대만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종으로 남부지방과 대구까지 올라와 있다. 빛이 너무 강하여 주변의 녀석들이 와글와글이다.대충 퍽샷으로....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5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 2025. 5. 12.
(흰)등심붓꽃 (붓꽃과 등심붓꽃속) Sisyrinchium rosulatum E.P.Bicknell 2025. 5. 8. 제주. 이른 시각 제주공항에 도착하였다.지난 해 12월 부터 시작한 페북 활동을 시작 했는데.아는 꽃동우의 추천으로 들어간 그룹 페북의 회원들과 제주 식물 탐사가 있어서 제주에 미리 내려 간 것이다. 올 해 6월에 몽골에도 같이 가기로 한 처음 만나는 조 교수가 공항으로 마중을 나와서 하루를 함께 다니게 되었다.처음 만난 그녀는 나보다 몇 살 아래인 매우 유쾌하고 돌진적이 분이셨다. 제주에 집을 마련해 놓고 한 달에 한 번 정도 내려와서 머문다고 하면서도아직 제주도 식물의 정보가 별로 없어서 내가 안내를 하면서 다녔다. 동쪽 해안을 돌면서 두 번 째 탐사지에서 만난 흰색의 등심붓꽃은 대박이었다. 흰색에 매우 관심이 많은 것을 별로 달갑게 생각하지 않던 나도처음 만나는 흰색의 등심붓꽃..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