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810

대마도식물탐사기 3- 둘째 날 2-매화오리나무/모새나무/산검양옻나무/참가시나무/먼나무/넓은잎미꾸리낚시/둥근배암차즈기/창일엽/겨울딸기/어성초/마취목/사철검은재나무/완도술꽃나무/새들깨/남오미자/생달나무/수정목 등 2025. 10. 9. 대마도 계곡 탐사. 산을 자주오르는 일행들에게는 아무것도 아닌 등산이었지만왕복 5.4km 에 너덜지대가 함께 나타나는 산길이 나에게는 무척 힘든 산행이었다. 그래도 정상까지 따라가서 몇 가지 귀한 난초류와 목본을 만날 수 있었으니 고생의 결과는 만족스러웠다. 산을 내려와서 미리 예약해 둔 식당에서 새우튀김을 얹은 우동국수로 점심식사 후 계곡부를 탐사하였다. 한 대의 차량을 출구 부분으로 옮기는 동안 계곡 입구의 아이스크림 자판기에서 잠시 야미야미 다리 입구에서 만난 매화오리나무 열매가 까치수염 열매처럼 생겼다. 전남 지역에서 자주 만나던 모새나무도 가을 볕에 열매를 익히는 중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분포지가 적은 검양옻나무가 여기서는 흔하다. 출렁다리 아래 너럭바위가 바닥을 .. 2025. 11. 4.
대마도식물-통영볼레나무(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 Elaeagnus pungens Thunb. 2025. 10. 9. 대마도. 보리수나무속 녀석이라 한참 살폈는데 잎 가장자리에 파상의 거치와 뒤로 말린 잎가장자리, 어린가지에 갈색 인편모, 가지 끝은 경침으로 통영볼레임을 확인하였다. 보리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6353 https://qweenbee.tistory.com/8906355 https://qweenbee.tistory.com/8907754 https://qweenbee.tistory.com/8909740보리장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84 https://qweenbee.tistory.com/8892248https://qweenbee.tistory.com/88.. 2025. 11. 4.
대마도식물-산유자나무(이나무과 산유자나무속) 열매 Xylosma congesta (Lour.) Merr. 2025. 10. 10. 대마도. 눈 좋은 일행이 찾아내었다.해안 절벽지대를 한 바퀴 도는데 잘 익은 열매를 달고 있는 산유자나무가 해풍과 파도를 견디면서 서 있다. 둥근금감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0 황금하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172 당귤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34 산귤 : https://qweenbee.tistory.com/8895072 유자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45 https://qweenbee.tistory.com/8894171https://qweenbee.tistory.com/8895026 .. 2025. 11. 4.
대마도식물-함박이(새모래덩굴과 함박이속) 열매 Stephania japonica (Thunb.) Miers 2025. 10. 11. 대마도. 제주도에서만 만나던 함박이를 대마도에서 만났다. 방기를 만나서 아주 신이 났는데 같은 장소에서 방기와 함박이를 함께 만나는 뜻밖의 선물을 받았다.함박이를 만난지도 10년도 더 된 것 같다. 방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80https://qweenbee.tistory.com/8893912 https://qweenbee.tistory.com/8894100https://qweenbee.tistory.com/8894235 https://qweenbee.tistory.com/8903220방기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25. 11. 4.
새모래덩굴(새모래덩굴과 새모래덩굴속) Menispermum dauricum DC. 2025. 5. 19. 강원도. 양양을 거쳐서 고성까지 가야만 볼 수 있는 녀석들 때문에 먼길 달려 갔다가주변에 있던 새모래덩굴 암꽃도 지나칠 수 없어서 담아 두었던 녀석이다. 방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80https://qweenbee.tistory.com/8893912 https://qweenbee.tistory.com/8894100https://qweenbee.tistory.com/8894235 https://qweenbee.tistory.com/8903220방기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4102 https://qweenbee.tis.. 2025. 11. 4.
대마도식물-방기(새모래덩굴과 방기속) Sinomenium acutum (Thunb.) Rehder & E.H.Wilson 2025. 10. 11. 대마도. 대마도에서도 방기가 큰잎을 달고 덩굴을 벋으면서 보기 쉽지 않은 열매까지 주렁주렁이다.다들 고향까마귀 보듯 반겼다. 방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80https://qweenbee.tistory.com/8893912 https://qweenbee.tistory.com/8894100https://qweenbee.tistory.com/8894235 https://qweenbee.tistory.com/8903220방기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4102 https://qweenbee.tistory.com/88978.. 2025. 11. 4.
미기록식물 -콩과 세르바니아 헤르바케아 Sesbania herbacea (Mill.) McVaugh 2025. 10. 22. 꽃동무의 제보로 살펴보고 있는 중이다.지난 해에도 녀석이 나타나고 있었다고 하니 국내에 유입된지 몇 년은 된 것 같은데 개체 수 150 개체 정도로 많이 나타났다. 다른 곳에도 발견이 되었다는 확인을 하였다. 혹시나 하여 국가표준식물목록에 확인해 보니 이미 재배식물에 학명만 등록이 되어 있다.(2025.07.29)그러니 미기록식물이라기 보다는 야생화 되고 있는 분포지를 확인한 거 밖에 되지 않는다. 이명으로 Sesbania exaltata 가 있다. 원산지는 열대 및 아열대 아메리카로 미국, 특히 남동부 주가 원산지이며 습한 환경에서 자란다 유입 지역으로 벨기에 중부 유럽 러시아, 쿠바 일본 카잔 레토, 메릴랜드 멕시코 북서부, 연해주, 우크라이나 일년생, 아관목 또는 관목.. 2025. 11. 3.
큰잎싸리(콩과 싸리속) Lespedeza davidii Franch. 2025. 9. 22. 남도. 잎과 줄기에 황갈색털이 밀생하는 잎이 큰 녀석이다. 싸리속 녀석들 중에서 잎이 매우 크고 개화 시기도 늦다. 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9 https://qweenbee.tistory.com/889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390싸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39 참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0 https://qweenbee.tistory.com/8887305https://qweenbee.tistory.com/8894637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25. 11. 3.
분홍싸리(콩과 싸리속) 종자 Lespedeza floribunda Bunge 2025. 11. 1. 채종해 두었던 건조한 열매다. 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9 https://qweenbee.tistory.com/889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390싸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39 참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0 https://qweenbee.tistory.com/8887305https://qweenbee.tistory.com/8894637 https://qweenbee.tistory.com/88962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31 http.. 2025. 11. 2.
다릅나무(콩과 다릅나무속) Maackia amurensis Rupr. 2025. 7. 21. 남도. 목본 중에서 늦게 꽃을 피우는 몇 종 중 한 녀석이다. 고삼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411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https://qweenbee.tistory.com/88979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905 https://qweenbee.tistory.com/8904930고삼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917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5. 11. 2.
애기등(콩과 애기등속) Wisteriopsis japonica (Siebold & Zucc.) J.Compton & Schrire 2025. 7. 21. 남도. 다른 일 때문에 왔으니 그냥 몇 컷 인증 샷만 누른다. 쥐방울덩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384 https://qweenbee.tistory.com/8901197https://qweenbee.tistory.com/8901197 https://qweenbee.tistory.com/8903159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7 https://qweenbee.tistory.com/8906642 https://qweenbee.tistory.com/8907800쥐방울덩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6246 https://qweenbee.tistor.. 2025. 11. 2.
백정화 Serissa japonica 열매와 종자 2025. 10. 22. 조경용으로 식재한 백정화 종자이다. 백정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6 https://qweenbee.tistory.com/8899538 https://qweenbee.tistory.com/8911635 https://qweenbee.tistory.com/8912545 백정화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2549 백정화속 Serissa serissoides https://qweenbee.tistory.com/8907572 https://qweenbee.tistory.com/8911635 https://qweenbee.tistory.com/8912.. 2025.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