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671

후추등 암꽃 Piper kadsura (Choisy) Ohwi 2023. 5. 16. 제주. 제주도 계곡부에서 주로 자라는데 줄기에는 줄기 마디에서 공기뿌리를 내어 나무나 바위에 착생한다. 제주도 이외에서는 거문도에서 본 적이 있는데, 제주도 및 남해안 거문도, 손죽도 등 일부 섬 지역에 자생하며, 국 동남부, 일본 혼슈 이남,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이 녀석은 암수딴그루이다. 꽃은 이삭꽃차례로 피는데 암꽃은 꽃차례가 짧고 수꽃은 띠 처럼 길게 늘어진다. 암꽃은 암술이 1개로 끝이 4갈래로 갈라진다. 늦게까지 달려 있던 열매가 수꽃, 암꽃과 함께 잡혔다. 위 : 암꽃꽃차례, 아래 수꽃 수꽃 꽃차례이다 후추등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5789 http://blog.daum.net/qweenbee/8889267 http://bl.. 2023. 6. 3.
큰고추풀(현삼과 큰고추풀속) Gratiola japonica Miq. 2023. 5. 경북. 이 곳 너른 들에는 연밭이 많아서 큰고추풀이 연 줄기 발치에 끼어들어 살고 있다. 하마 폈을라고 하면서 들렀는데 벌써 열매까지 달고 있었다. 연뿌리를 수확하고 연이 듬성 듬성 남아 있는 덕분에 큰고추풀들이 자라기 좋은 환경인 것 같다. 제초제를 뿌린 연밭은 풀 한 포기 안 보이는데 인심좋은 주인 덕분에 큰고추풀이 없는데 안심하고 자라는 것 같다. 논이나 물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10~25cm, 밑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23mm, 폭 2~7mm, 밑부분은 줄기를 조금 감싸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 2023. 6. 3.
기는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포복지 Chrysosplenium epigealum J.W. Han & S. H. Kang 2023. 5. 27. 꽃동무의 도움으로 이른 봄에 아직 개화도 하지 않을 때 녀석을 잠시 만났더랬다. 그 동안 잊어버리고 있다가 꽃동무가 깨우쳐 주는 바람에 길게 벋어가는 포복지를 촬영하게 되었다. 이미 아랫 동네는 전초도 누렇게 사그러지고 있는 미치광이풀 촬영 때문에 걱정이 늘어져 있었더랬는데, 마침 인제에서 종자 팀의 워크샵이 있어서 이태 전 우연하게 봐 두었던 미치광이풀 전석지대를 찾게 되었다. 헌데 숲이 우거져 버려서 그 전석지대 위치를 찾을 수가 없어서 결국 꽃동무의 도움을 받았는데 전화 말미에 기는괭이눈 포복지도 잘 벋어갈 테니 보고 가란다. 그렇지, 아무리 바빠도 이 녀석은 보고가야제. 사실 독초 사진 촬영 때문에 카메라가 뜨끈 거릴 정도로 셔터를 눌러대어야 해서 요즈음 정신 없이 바쁘긴 .. 2023. 6. 2.
몽울토현삼(현삼과 현삼속)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2023. 5. 19. 좀 이르지 않을까 싶었지만 벌써 개화 시작한지 한참 된 듯하다. 토현삼이나 큰 개현삼은 7월이 되어야 개화를 하지만 이 녀석은 5월에 개화를 하고 전초 크기도 작고 화서도 짧다, 이 녀석을 몽울토현삼으로 알고 있는데 한반도생물다양성의 기록에는 아래와 같이 되어 있다. 통영 미륵산에 자생하는 한국고유종으로 꽃은 7월에 암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가 모여 원추화서를 이루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고 화서 전체에 잎이 많다. 서는 짧고 거의 두상으로 모이며 잎에 짧은 3각형의 톱니가 있다 7월에 개화하며, 특히 꽃차례가 뭉쳐 있어서 두상에 가깝다는데 이 곳의 녀석은 꽃차례가 짧지만 원추화서란 말시. 논문에 기재된 몽울토현삼의 내용과 다른데 . 장현도 , 김태훈 , 오병운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01.. 2023. 6. 2.
염주괴불주머니(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heterocarpa Siebold & Zucc. 2023. 5. 16. 제주. 전국 바닷가에 흔하게 자라지만 내륙에서도 자라는 것이 확인이 된다. 제주도에서는 아주 흔하여 대부분 이 녀석이다. 줄기 전체에 분백색이 돌고 높이 40-60cm이며 자르면 불쾌한 냄새가 난다. 열매는 삭과로서 넓은 선형이며 길이 25-35mm, 지름3-4mm이고 염주처럼 잘록 잘록하며 종자는 흑색이고 1줄로 배열되며 돌기가 밀생한다. 열매가 스님의 염주 목걸이 처럼 생겼다. 물론 산괴불주머니 열매도 염주처럼 생겼지만 꽃의 형태가 다르다. 꽃의 형태와 잎이 비슷한 갯괴불주머니는 열매가 넓은 띠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울퉁불퉁하고 종자가 2배열 하는 점이 다르다. 염주괴불주머니 염주괴불주머니 : 주두는 v 형, 주두 돌기 6개 갯괴불주머니 갯괴불주머니 : 주두는 v 형,주두돌기 6.. 2023. 5. 31.
물까치수염(앵초과 참좁쌀풀속) Lysimachia leucantha Miq. 2023. 5. 16. 제주. 오랜만에 이 곳을 찾았지만 그 풍성하던 물까치수염은 간데 없고 빈약한 몇 포기만 겨우 존재를 알리고 있었다. 갯까치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66 http://blog.daum.net/qweenbee/8888002 http://blog.daum.net/qweenbee/8887763 http://blog.daum.net/qweenbee/8897584 http://blog.daum.net/qweenbee/8893836 http://blog.daum.net/qweenbee/8902530 https://qweenbee.tistory.com/8910374 https://qweenbee.tistory.com/8910439 갯까치수염 열매 :.. 2023. 5. 31.
갯까치수염(앵초과 참좁쌀풀속) Lysimachia mauritiana Lam. 2023. 5. 16. 제주. 현무암 암반 위에 터잡은 갯까치수염으로 한참 잘 놀았다. 2023. 5. 31.
멀구슬나무(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속) 2023. 5. 16. 제주. 제주는 멀구슬나무가 한창 보라색 꽃을 피워서 꿀벌을 불러 모으고 있다. 이 녀석은 자생이다. 아니다 들여온 것이다 로 의견이 분분하다. 제주도와 남부지역에서는 마을 주변 산자락에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이 시기의 대표적인 밀원식물이기도 하다. 헌데 요즈음 꽃의 수정을 담당하는 꿀벌의 수가 줄어들어서 과수 농가들이 걱정이 크다고 한다. 꽃의 수정을 위하여 궁여지책으로 몇 십만 원을 주고 벌통을 사서 과수원에 풀어 놓는다고 한다. 풍성하게 꽃을 피운 멀구슬나무가 흐뭇한 풍광을 만들고 있다. 멀구슬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278 http://blog.daum.net/qweenbee/8889943 http://blog.daum.net/.. 2023. 5. 31.
흰젖제비꽃 2023. 5. 13. 천년숲. 숲 한 쪽에 이 녀석들이 무리지어 살고 있다. 엽저가 삼각상으로 귀가 발달해 있다. 2023. 5. 31.
후추등(후추과 후추속) Piper kadsura (Choisy) Ohwi 2023. 5. 15. 제주. 늘 열매만 봐오던 녀석이라 꽃을 한번 담아야겠다 생각하고 이 시기에 제주행 뱅기를 탄 것이다. 주렴처럼 길게 늘어진 수꽃이 장관을 이루고 열매가 풍성하던 덩굴에는 짧은 암꽃이 피어 있었다. 수꽃이다 후추등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5789 http://blog.daum.net/qweenbee/8889267 http://blog.daum.net/qweenbee/8897872 https://qweenbee.tistory.com/8910436 https://qweenbee.tistory.com/8910445 후추등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31 http://blog.daum.net/qweenb.. 2023. 5. 30.
갯기름나물(산형과 기름나물속) Peucedanum japonicum Thunb. 2023. 5. 17. 제주. 해안도로를 달리는데 해무가 짙게 내려서 해안 풍경이 게슴츠레 하다. 해안으로 흘러내린 용암이 기암괴석의 현무암 바위지대를 만들었다. 그 사이 사이에도 많은 식물들이 터를 잡고 살아가고 있는데 갯기름나물에도 오랜만에 카메라를 들이대어 본다. 기름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80 http://blog.daum.net/qweenbee/8890925 http://blog.daum.net/qweenbee/8891130 http://blog.daum.net/qweenbee/8896336 http://blog.daum.net/qweenbee/8899964 http://blog.daum.net/qweenbee/8899967 https://qwee.. 2023. 5. 29.
애기탑꽃(꿀풀과 층층이꽃속) Clinopodium gracile (Benth.) Kuntze 2023. 5. 16. 제주. 잎 모양 잎 기부 잎 길이 잎자루 줄기 화서 간격 소포 꽃색, 길이 꽃받침 털 층층이꽃 난형, 좁은난형, 양면 털, 선점 없음 원형 3~7cm 2~20mm 잔털 거리가 있다 꽃자루보다 길다 홍자색,8~9mm 퍼진털, 샘털 산층층이 난형,양면 털, 좁은난형 원형 3~7cm 2~20mm 잔털 거리가 있다 꽃자루보다 길다 담홍,흰색,6~7m 퍼진털 샘털 두메층층이 좁은난형, 난형,양면 긴털, 뒷면 뚜렷한 선점 원형,약간심형 3~5cm 5~20mm 아래 향한 털 거의 열결된다 꽃자루보다 짧다 담자색, 5~6mm 긴털과 샘털 애기탑꽃 넓은난형,난원형 털 없음, 선점 없음 원형 1~3cm 8~15mm 잔털 거의 열결된다 꽃자루보다 짧다 담홍자색,5mm 맥위 짧은털 탑꽃 난형, 긴난형,.. 2023.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