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953 몽골식물- 고산물망초(지치과 개꽃마리속) Myosortis alpestris F.W.Schmidt 2023. 6. 29. 흡수굴 호수변 2차 탐사. 왜지치라 불렀지만 몽골도감에는 왜지치가 아니라 같은 지치과 개꽃마리속 '고산물망초' Myosortis alpestris 이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2744https://qweenbee.tisto.. 2025. 2. 9. 몽골식물 -붉은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 Pedicularis rubens Stephan 2023. 6. 28. 흡수굴 호수변 2차 탐사.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15 큰송이풀 열매 : https:.. 2025. 2. 9. 미기록종 -고깔물통이 Pilea pauciflora C. J. Chen. 2022. 9. 27. 강원도. 강원도 계곡 음습한데서 만난 녀석이 다른 곳의 강계큰물통이로 보이는 것과 달라보였는데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P. pauciflora는 중국 간쑤성과 쓰촨성의 해발 2,000m 이상의 습한 지역에만 분포한다고 알려진 희귀식물로서 암꽃 화피편 3장 중 1장은 고깔 모양으로 길게 신장되어 수과의 한쪽 면을 감싸면서 뾰족하게 솟아 있으며, 1쌍의 측화피편은 다른 1장에 비해 극히 짧은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뚜렷하게 구별된다. 국명은 암꽃 화피편이 수과를 감싼 형태가 고깔모자를 쓴 모습과 유사하여 “고깔물통이”로 신칭하였다. 분포지역 고깔물통이 15-17 K 박사와 함께 정밀 촬영한 자료이다.3개의 화피 중에 1개가 유난히 크고 고깔모양을 하고 있다. 3개의 화피편. 뒤쪽 고깔.. 2025. 2. 8. 미기록종 - 한반도 미기록 식물 고깔물통이 Pilea pauciflora 포스터 발표 2025. 2. 7. 식물분류학회 총회가 끝났다. 참석하려고 생각했지만 겨울 한파와 폭설이 출발을 말렸다.이번 총회 학술발표대회에 오래 전 발견한 물통이속 한 종이 보고되었다.한국산 물통이속(Pilea)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현재까지 기록되지 않은 분류군을 강원도 태백시 금대봉 일대에서 발견하여 미기록종으로 발표하고자 한다. 미기록종인 P. pauciflora는 중국 간쑤성과 쓰촨성의 해발 2,000m 이상의 습한 지역에만 분포한다고 알려진 희귀식물로서 암꽃 화피편 3장 중 1장은 고깔 모양으로 길게 신장되어 수과의 한쪽 면을 감싸면서 뾰족하게 솟아 있으며, 1쌍의 측화피편은 다른 1장에 비해 극히 짧은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뚜렷하게 구별된다. 또한 분자유전학적 연구에서도 근연종인 모시물통이,.. 2025. 2. 8. 몽골식물 -콩과 두메자운속 Oxytropis pseudoglandulosa Gontsch. 2023. 6. 29.몽골. 흡수굴 수변 탐사후 숭여지로 돌아 오면서 초지를 잠시 탐사하였다 몽골의 초지에는 두메자운속 종들이 매우 많아서 학명을 찾기가 쉽지 않다.이 녀석도 김찬수박사의 알타이 식물탐사기에 실린 '잎많은두메자운 Oxytropis myriophylla' 으로 볼까 했더니 소엽의 크기가 더 넓은 녀석이다. 원본을 꽃받침과 포에 거센 털니 많이 보인다. 줄기에도 털이 있다. 몽골 도감에서 Oxytropis pseudoglandulosa (411p) 로 확인을 하였다. 흰꽃을 피우는 이 녀석도 보인다. 애기자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0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1https://qweenbee.tistor.. 2025. 2. 8. 내몽골식물 - 지채속 두 종 triglochin ? 2024. 6. 23. 내이멍구 울란바통 인근 하천을 뒤지다가 물지채와 함께 만난 또 다른 두 종의 지채속 녀석이다. 개체 1. triglochin striata?? 왼쪽은 물지채, 오른쪽은??화경이 있고 한 자리에서 2~3개씩 모여서 꽃이 달린다 왼쪽 물지채, 오른쪽은 ? 개체2. 이 녀석은 화경이 매우 짧아서 화축에 달라붙어 있는 녀석이 또 있다. 지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0https://qweenbee.tistory.com/88917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4https://qweenbee.tistory.com/8894434 ht.. 2025. 2. 7. 내몽골식물 - 물지채(지채과 지채속) Triglochin palustris L. 2024. 6. 24. 내몽골 울란바통. 하천 습원에서 만난 녀석이다. 물지채와 함께 지채속 한 종이 더 보이는 것 같다. 물지채와 함께 있던 다를 녀석이다. 화서와 자방의 모습이 다르다.우리나라 해안에서 보이는 지채와도 다른 녀석이다. 이미지로 찾아보니 triglochin striata 가 근접하긴 하는데.... 지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0https://qweenbee.tistory.com/88917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4https://qweenbee.tistory.com/8894434 https://qweenbee.tisto.. 2025. 2. 7. 미기록종 - 서산돌나물 Sedum tricarpum Makino 낙동강생물자원관 박진희 박사가 발표했다고 하길래 들어가 봤더니 아직 올려져 있지 않아서 잊어버리고 있다가 이제사 확인하였다. 식물분류학회기 54권 4호 자생 미기록종 돌나물과 서산돌나물(Sedum tricarpum) 분포 보고박진희*·김진석1·서화정2·유수창2·유정남*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다양성보전연구실 동식물연구부, 1 한반도식물다양성연구소, 2 대전대학교 생명과학과 돌나물과의 Sedum tricarpum Makino가 한반도 서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것이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Sedum tricarpum은 일본의 혼슈, 시코쿠, 규슈 등 주로 일본 중남부 지역에만 분포하는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져 왔으나, 중국 안휘성에서도 자생하는 것이 최근 보고되었다. 한반도에서는 이 종이 2020년 충남 .. 2025. 2. 6. 몽골식물 - 싱아속 아코노고논 세리세움 Aconogonon sericeum (Georgi) H.Hara 2023. 7. 2. 탐사 8일차. 사구 언덕에서. 사구 언덕에서 잎이 두텁고 전초에 우단처럼 부드러운 털을 덮어 쓴 여뀌속을 만났다.도감과 외국 사이트를 뒤져도 정체를 밝히지 못하였는데 어렵게 찾았다. 여뀌속을 찾아보다가 화서가 싱아 쪽 같아서 싱아속 Aconogonon 으로 살펴보았는데결국 여뀌속이 아니라 싱아속 Aconogonon sericeum (Georgi) H.Hara이었다. 큐에서는 Polygonum sericeum Georgi 의 이명으로 정리하고 있다. 남부 시베리아에서 북몽골까지 분포하고 있다.싱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4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4https://qweenbee.tistory.. 2025. 2. 6. 몽골식물 -물매화속(물매화과 물매화속) Parnassia laxmannii Pall. 2015. 7. 27. 흡수굴 호수변. 물매화와 아주 흡사한 녀석이 호수변에서 나타났다.가까이 물매화도 보였는데 이 녀석은 물매화속 Parnassia laxmannii 로 확인이 된다. 2025. 2. 4. 몽골식물 - 곰취속(국화과 곰취속) Ligularia sibirica Cass. 2015. 7. 27. 흡수굴 호수변. 곰취와 비슷한 녀석이 나타났다. 제주 한라산에서 만나던 곰취와 비슷한 크기였는데 엽형도 다르고 분위기는 차이가 있다. 곰취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32 https://qweenbee.tistory.com/8894198 https://qweenbee.tistory.com/8892395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7https://qweenbee.tistory.com/890077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9887 https://qwe.. 2025. 2. 4. 몽골식물-애기동의나물(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속) Caltha natans Pall. 2023. 6. 28. 탐사 4일차 흡수굴 호수변. 호수변에 물이 고인 습지같은 곳에 애기동의나물과 매화마름류가 진창에서 꽃을 피우고 있다.습지바닥 뻘에 낮게 붙어서 꽃을 피우고 있는 탓에 낮은 자세로 촬영을 하자니 진창에 코를 박아야 할 정도이다. 동의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1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33 https://qweenbee.tistory.com/8899231 https://qweenbee.tistory.com/8900891 https://qweenbee.tistory.com/8905393 https://qweenbee.tistor.. 2025. 2. 4. 이전 1 2 3 4 ··· 20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