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사초과468 백두사초(사초속 감둥사초절) Carex peiktusanii Kom. 2025. 7. 16. 강원도. 백두란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북방계 식물이 강원도 높은 산에 잘 살고 있다. 백두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203 https://qweenbee.tistory.com/8912227 2025. 7. 23. 백두산식물-진들검정사초 (사초과 검정사초절) Carex meyeriana Kunth 2025. 6. 8. 중국 황송포. 현지에서 큰검정사초란 이름이 거론되었는데 그런 국명은 없다.검정사초절은 맞는 것 같은데 확인해 보니 진들검정사초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다. 2025. 6. 20. 백두산식물-별사초(사초속 산사초절) Carex tenuiflora Wahlenb. 2025. 6. 8. 황송포. 자잘한 사초 소수에 꽂혀서 시간 가는 줄 몰랐다.한반도 중부 이북의 아고산 습지에 자생한다. 2025. 6. 19. 백두산식물-중삿갓사초(사초속 중삿갓사초절) Carex tuminensis Kom. 2025. 6. 8. 중국 길림성. 숙소 주변 물통이에서 만난 녀석이다. 백두산 두만강 유역에 분포하고 있는 사초라고 한다.모든 포엽에서 2~4개의 소수가 나와서 한 개의 줄기에 10~30개의 많은 소수가 달린다. 만나기 어려운 귀한 녀석을 만난 것 같다. 한 마디에서 여러개의 화경이 나온다. 2025. 6. 19. 백두산식물-산사초(사초속 산사초절) Carex canescens L. 2025. 6. 8. 중국 황송포. 자인편이 갈색인 큰산사초가 북부지방 습지에서 자란다. 2025. 6. 19. 백두산식물-대택사초(사초속 대택사초절) Carex limosa L. 2025. 6. 8. 중국 황송포. 국내에서는 대암산 습지에만 발견되어 있는 귀한 녀석이다. 2025. 6. 19. 미국타래사초(괭이사초아속 미국타래사초절) Carex muehlenbergii Willd. var. enervis Boott 2025. 6. 6. 경남. 왼쪽의 녀석은 또 다른 녀석으로 관찰 중이다. 오른쪽 미국타래사초 미국타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7미국타래사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2 타래사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5693 http://blog.daum.net/qweenbee/8888321http://blog.daum.net/qweenbee/8897762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55 https://blog.daum.net/qweenbee/890.. 2025. 6. 14. 미국타래사초(괭이사초아속 미국타래사초절) 종자 Carex muehlenbergii Willd. var. enervis Boott 2025. 6. 5. 표본 촬영한다고 줄기를 잘라와서는 몇 날을 미루어 두었다가 이제사 카메라를 들었다. 미국타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7미국타래사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2 타래사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5693 http://blog.daum.net/qweenbee/8888321http://blog.daum.net/qweenbee/8897762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55 https://blog.daum.net/qweenb.. 2025. 6. 6. 작은비사초 결실기 Carex brevior (Dewey) Mack. ex Lunell 2025. 5. 30. 경남. 한달 후 2차 조사.결실기에 어떻게 변했을까 굴금했던 사초 몇 녀석 중 하나.한석은 확실히 아니다. 작은비사초로 최종 동정 확인한다 작은비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0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1 한석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09한석사초 수과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08 2025. 6. 6. 작은비사초 개화기 Carex brevior (Dewey) Mack. ex Lunell 2025. 5. 20. 경남. 한석사초와 많이 닮았다 싶어서 확인해 보니 한석과는 다르다.작은비사초로 올려 놓은 걸 보니 그 녀석 같기도 한데.......작은비사초로 최종 확인했다 작은비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0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1 한석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09한석사초 수과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08 2025. 6. 6. 미국타래사초(괭이사초아속 미국타래사초절) Carex muehlenbergii Willd. var. enervis Boott 2025. 5. 30. 경남. 타래사초와는 다른데 어떤 녀석일까 궁금했던 녀석은 미국타래사초로 동정이 끝났다.달포 전 조사 때 몇 포기 보였는데 결실기로 넘어가니 여기 저기 제법 여러 개체가 눈에 띈다. 2025. 5. 2. 개화기 미국타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098미국타래사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12102 타래사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5693 http://blog.daum.net/qweenbee/8888321http://blog.daum.net/qweenbee/8897762 https://blog.daum.net/qweenbee/89.. 2025. 6. 6. 흰꼬리사초(사초속 흰꼬리사초절) Carex brownii Tuck. 2025. 5. 30. 경남 사지포. 사지포 식물상 조사 중에 만난 녀석. 자소수 포의 까락이 길다. 화살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68 긴화살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69 흰꼬리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48 https://qweenbee.tistory.com/8908949(수과) https://qweenbee.tistory.com/8911972 https://qweenbee.tistory.com/8912097 2025. 6. 6. 이전 1 2 3 4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