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식물공부자료77

섬쐐기풀 Urtica laetevirens Maxim. var. robusta F.Maek.의 정체 아직 만나보지 못한 녀석이라 우선 공부 차원에서 정리해 둔다. 산골짝이나 숲 가장자리의 돌이 많은 곳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0.6~1m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밑에서 여러 개가 나와 큰 포기를 형성하며, 가시털이 있어 찌르면 쐐기에 쏘인 것처럼 아프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는 길이 4.5~9cm이다. 잎몸은 넓은 난형 또는 난상 원형으로 길이 9~16cm, 너비 9~12cm이고, 잎밑은 넓게 뾰족하거나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거친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끝은 길게 점차 뾰족해지는 꼬리 모양이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7~9월에 피는데 원추꽃차례에 붙으며, 수꽃 꽃차례는 위쪽에, 암꽃 꽃차례는 아래쪽에 달린다. 암꽃은 측화피가 위아래 화피보다 3~5배 길다. 우리나라 경상북도 울릉도, 전라남도.. 2024. 4. 19.
노란꽃땅꽈리와 땅꽈리의 학명이 또 바뀌었다 2023. 10. 8. 경북. 2022. 2월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땅꽈리속 학명이 아래와 같이 정리되어 발표된 후 아직까지 수정 발표가 없는 상태이다. 땅꽈리 Physalis angulata L. 노란꽃땅꽈리 Physalis acutifolia (Miers) Sandwith 노란꽃누운땅꽈리 Physalis lagascae Roem. & Schult. 이 공식 표준식물목록 때문에 우리는 여태 노란꽃땅꽈리로 부르던 분류군 실체를 땅꽈리로 불러야 하는 혼란이 있었다. 그런데 위의 노란꽃땅꽈리 Physalis acutifolia (Miers) Sandwith 학명은 우리 나라에 유입되지 않은 분류군의 학명이라 그 오적용을 지적했더랬다 https://qweenbee.tistory.com/8909754 결국 .. 2023. 12. 1.
국내의 감자개발나물(미나리과 개발나물속)과 대암개발나물의 실체 Sium tenue Kom 2022. 12. 5. 감자개발나물 검토 2탄이다. 꽃동무가 물개발나물이라고 올린 자료의 오류를 확인하다가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 벌써 정리해 두고 여태 비공개로 두었다가 공개로 돌린다. 국가 기관에 올려진 대암개발나물 관련 정보는 아래와 같다. -한반도생물다양성 포털 - 대암개발나물 Sium heterophyllum Y.N.Lee 은 강원도 대암산과 대관령의 습지 또는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거나 땅 위로 눕고, 속이 비어 있다. 덩이뿌리는 창형 또는 난형이다. 잎은 홑잎과 겹잎을 모두 가진다. 꽃은 지름 3.5cm쯤의 산형화서를 이루고, 포는 선형으로 3~5개다. 꽃잎은 5개, 흰색이다. 열매는 난형이다. 홑잎과 겹잎이 함께 달려 개발나물속(Sium)의 다른 식물들과 구분된.. 2023. 3. 13.
감자개발나물(미나리과 개발나물속) 재조명 _ 주아의 실체 Sium ninsi L. 2022. 11. 23. 꽃동무가 물개발나물이라고 올린 자료를 확인하다가 국내의 감자개발나물 분포의 존재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었다. 국립수목원 포털이나 생물종다양성 포털에는 감자개발나물은 근생엽과 줄기 아래 잎이 깃꼴로 갈라지고, 근경은 짧고 뿌리는 방추형으로 굵은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가을철에 잎겨드랑이에 주아(살눈)가 달리기도 하는 특징이 있다고 기록이 되어 있다.. 하지만 여태 국내의 감자개발나물이라는 녀석의 잎겨드랑이에 있다는 주아를 본 적이 없다.(물론 전국을 다 뒤진 것은 아니다) 꽃이나 열매를 촬영할 때 살눈이 있을까 살펴보기도 하지만 그 살눈이 내 눈에는 한 번도 나타나주지 않았던 것이다. 국내에는 이 주아를 촬영한 자료가 전무한 것 같다. 이참에 감자개발나물의 주아에 대하여 확인해 보려.. 2023. 3. 13.
다닥냉이속 열매 모음 : 콩다닥냉이/좀다닥냉이/길다닥냉이/큰잎다닥냉이/털다닥냉이/큰다닥냉이/대부도냉이/들다닥냉이 2023. 2. 20. 올해 들여다 봐야 할 다닥냉이속 녀석 하나 때문에 외국의 자료 서핑하여 모으는 중이다. 계속 추가할 예정이다. 세밀화는 남아메리카식물지(FONA)에서 가져왔다. 사진 일부는 PPBC에서 가져왔다. 다닥냉이 Lepidium apetalum Willd. 국화잎다닥냉이 Lepidium bonariense L. 들다닥냉이 Lepidium campestre (L.) W.T.Aiton 앉은잎다닥냉이 Lepidium cordatum Willd. ex DC. 길다닥냉이 Lepidium densiflorum Schrad. 큰잎다닥냉이 Lepidium draba L. 큰키다닥냉이 Lepidium latifolium L. 대부도냉이 Lepidium perfoliatum L. 털다닥냉이 Lepidium.. 2023. 2. 20.
다닥냉이속 Lepidium 자료 모음 2023. 2. 18. 다닥냉이속을 정리한다더니 소식이 없다.......... 일단 여기 저기 검색을 하여 다닥냉이속 자료를 모아본다. 중국식물지(FOC) 좀다닥냉이 : 4~7 다닥냉이속의 키 포인트 중에서 열매 모양은 중요한 구분 포인트라 열매 세밀화 자료가 많이 필요하다. 북아메리카식물지 FONA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털다닥냉이(십자화과)와 들괭이밥(괭이밥과) 식물분류학회지. 2016. 1. 경생엽은 이저로 줄기를 감싼다. 2. 근생엽은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백색 또는 황백 색이다. 열매는 표면에 볼록한 점이 밀생한다 ··················································· 들다닥냉이 L. campestre 2. 근생엽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은 황색이.. 2023. 2. 19.
돌해국/왕갯쑥부쟁이의 재조명 _ 돌해국은 섬갯쑥부쟁이의 오동정이었다. 2023. 1. 28. 제주도에서 만났던 돌해국 자료를 올린지 불과 며칠이 지나지 않았는데 자료를 작성하고 나서 새로운 보고서를 접하게 되었다. 한반도 고유 식물종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평가 연구 (2021년도) 국립생물자원관 아침에 꽃동무가 보내 준 파일을 보고 화들짝 놀라서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연구물 목록을 보니 2021년에 국립생물자원관의 '한반도 고유 식물종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평가 연구' 보고서 목록이 있었고, 국회도서관에서 보고서 파일을 다운 받아서 내용을 확인하니 돌해국이 섬갯쑥부쟁이의 오동정으로 결론지어져 있었다. "제주도의 갯쑥부쟁이 complex 연구틀 통해 Aster속에 대한 기존 인식을 보완할 있는 관점이 제시되었다. 생활형(2년초/다년초)과 줄기 습성(포복성 /직립성).. 2023. 1. 28.
수원잔대와 당잔대 (초롱꽃과 잔대속) Adenophora polyantha Nakai 2022. 10. 13. 여태 잔대속 녀석들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를 외면하여 왔다. 잎 변이가 심하여 구분이 모호하기도 하고 자료를 찾아보는 게 귀찮기도 하고 특별한 자료도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오래 전 이 곳의 녀석을 다들 당잔대라 불렀더랬다 헌데 이 녀석은 수원잔대이다. 속 식물지에 기록된 잔대속 검색표 일부이다. 당잔대 Adenophora stricta 는 잎에 털이 산생하거나 밀생하고 총상화서로 악통에도 털이 있는 점이 특징이고 수원잔대 Adenophora polyantha 는 잎이 무모이고 총상화서로 화주(암술끝)가 화관 밖으로 돌출한다. 인터넷에 당잔대라고 올려진 사진을 보면 잎의 모양으로 당잔대라고 한다고 하면서 당잔대 잎과 악통의 털의 특징을 확인하지 않은 대부분 수원잔대이다. 두 .. 2022. 11. 27.
땅꽈리속 국명 혼란 정리 = 땅꽈리 Physalis angulata, 애기땅꽈리Physalis minima, 노란꽃땅꽈리 Physalis acutifolia 2022. 11. 22. 언제부티 이 내용을 짚어 보려고 했는데 이제사 살펴본다. 땅꽈리의 실체가 한국의 귀화식물 도감과 한국의 들꽃, 외국사이트의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고 있다. 땅꽈리의 학명과 국명에는 이견이 없는데 귀화식물도감에 실려 있는 설명과 사진이 같은 학명으로 검색되는 이미지와 다르다는 것이다. 여태 우리가 알고 있던 땅꽈리로 부르던 식물체 모습은 박수현의 귀화식물도감에 근거한 것이었다. 헌데 땅꽈리 Physalis angulata L. 을 외국사이트에서 검색해 보면 우리가 노란꽃땅꽈리라고 부르던 녀석이 소팅된다. 결과적으로 박수현님이 땅꽈리 Physalis angulata L.학명에 이미지와 설명이 잘못 적용되어 있었던 것이고(다시 말하면 학명 적용이 잘못되었다는 거) 여태 우리가 땅꽈리 P.. 2022. 11. 24.
찾았다 ~! 기근. 푼지나무(노박덩굴과 노박덩굴속) Celastrus flagellaris Rupr. 2022. 11. 19. 푼지나무가 기근을 가지고 있다고 하지만 푼지의 기근(공중뿌리)을 한 번도 관찰한 적이 없었던지라 20m 정도 높이의 가죽나무를 기어올라 있는 오래 묵은 푼지나무 덩굴이 있는 곳을 다시 찾았다. 푼지나무 덩굴이 기주식물인 가죽나무 기둥에 서로 엉겨서 위로 위로 기어 오르고 있었고 기근을 확인하기 쉽지 않았는데 아래 쪽 나무 기둥에 딱 달라붙어 있는 손가락 굵기의 굵은 덩굴을 살피다가 가죽나무 수피에 붙어서 실처럼 가느다랗게 퍼져 있는 기근(공중뿌리)를 발견하였다. 실처럼 가늘게 퍼져 있는 부분이 기근(공중뿌리) 이다, 땅속뿌리와 달리 이 기근은 기어오르는 덩굴을 가죽나무 수피에 밀착시켜서 위로 기어오르기 쉽게 지지를 하는 역할만 한다. 나무에 붙어 있는 푼지의 덩굴을 손으로 떼어 .. 2022. 11. 20.
티스토리 검색이 불편하다 티스토리로 이전 후 내 블방을 방문하시던 분이 검색이 불편하다는 댓글을 올린 적이 있었다. 다음 블로그 시절에는 검색하려는 종을 넣으면 그 종만 소팅이 되어 목록이 올라왔는데 이 티스토리에는 자료의 내용에 그 종이 들어 있는 모든 자료가 다 소팅되어 올라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을 검색하면 가 모두 올라오는 것이니 그 중에서 다시 을 찾아서 열어봐야 하는 불편이 생기는 것이다 그 이유는 음나무, 통달목, 땅두릅, 땃두릅나무, 팔손이, 두릅나무 모두 두릅나무과 의 식물이라 속은 다르지만 두릅나무과 종류가 그리 많지 않아서 사진 맨 아래에 7 종의 자료를 모두 링크해 두었기 때문에 본글 속에 만 들어 있으면 그 자료가 모두 소팅되어 우루루 나타나는 것이다. 아래처럼 링크되어 있는 목록에 이 들어 있어서 ... 2022. 10. 24.
솜다리속의 재분류 -솜다리/산솜다리/들떡쑥/한라솜다리 2022. 7. 여태 왜솜다리라 부르던 녀석을 솜다리로 봐야한다는 논문이 발표된 지 한참 되었는데(2016) 정리하지 않고 그냥 두었더랬다. 몽골의 솜다리속 식물을 촬영하고 온 뒤 재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어서 이를 정리해 본다. 한국산 솜다리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2016. 한국식물분류학회지) 이동혁1, 2, 박종수1, 최병희1, * 한국산 솜다리속 (Leontopodium R. Br. ex Cassini)은 5종으로 기재되어 왔으나,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하였다. 이들의 분류학적 한계를 명확히 하고자 건조표본과 야외관찰등을 근거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식물체의 높이, 경생엽 기부의 형태, 화서의 위치 및 형태, 털의 형태, 개화기 잎의 유무, 총포편 털의 형태 등은 .. 2022.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