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신종 미기록종 연구논문58

한국산 땅꽈리속의 재분류 정리 Taxonomic revision of Physalis species (Solanaceae) in Korea - 우쒸!! 그동안 국명과 학명 적용이 이랬다 저랬다 해서 혼란을 주더니만 재정라한 논문이 발표되었다 Alkekengi officinarum Moench 꽈리Physalis angulata L. 노란꽃땅꽈리 = P. acutifolia (Miers) Sandwith sensu ParkPhysalis lagascae Roem. & Schult. 노랑꽃누운땅꽈리Physalis longifolia Nutt. 긴잎땅꽈리Physalis philadelphica Lam. 둥근땅꽈리Physalis pubescens L. 땅꽈리 = Physalis minima L. 애기땅꽈리 / 누운땅꽈리 https://www.dbpia.co.kr/IssueList?voisId=VOIS00758420&pubId=11134&.. 2025. 1. 8.
한국의 연안 및 항구 지역에 도입된 4개의 외래 식물에 대한 새로운 기록 - 여우꼬리귀리/선나도개피/오클라호마사초/큰꽃잎차풀 한국의 연안 및 항구 지역에 도입된 4개의 외래 식물에 대한 새로운 기록우리는 한국에서 Poaceae, Cyperaceae 및 Fabaceae과에 속하는 4 개의 외래 식물에 대한 첫 번째 확인 된 기록을 보고합니다. Bromus rubens L.은 지중해 지역과 인접 지역이 원산지이며 군산시 항구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 종은 미주, 호주, 유럽 일부 지역, 일본 및 아프리카에서 침입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경계 외래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Eriochloa contracta 미국이 원산지인 히치크는 작물에 해로운 잡초로 분류되며 거제시 연안 부근의 개방된 지역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카렉스 오클라호멘시스 미국 중부와 동부가 원산지인 맥은 사천시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아시아에서 최초로 .. 2025. 1. 8.
? 명아주과 명아주속 2024. 9. 11. 남도. 아코야~!!참명아주가 아닌 것을 참명아주라고, 여기 해안에 웬 참명아주냐고 호들갑을 떨었다.현지 꽃동무한테 까지 참명아주가 있으니 가 보라고 난리부루스를 떨었네. 이번에 내려가서 개화한 모습을 보고서야 욘석이 참명아주 화서와 다르다는 걸 알고서 그제서야 아차~!! 했다. 참명아주는 줄기와 화서가 매우 가늘고 자잘해서 여리여리한 느낌이 매우 강한 녀석이다.이 녀석은 잎이 참명아주와 비슷하여서 착강을 하긴긴 했지만 화서는 흰명아주와 비슷한데 그렇다고 흰명아주도 아닌 것이라. 도감을 펼쳐 놓고 급하게 확인해 본 결과 명아주속 분류군 중에서 여태까지 청명아주란 녀석을 놓치고 있었다.헌데 청명아주 학명으로 이미지 확인을 하니 다른 그림이 나온다.둥근잎명아주 Chenopodium ac.. 2024. 9. 17.
들사마귀풀 유감(닭의장풀과 사마귀풀속)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2024. 5. 30. 2021년 풍산 부모님 묘소 아래 붉게 피는 사마귀풀이 제주도의 미등록 종과 달라 보인다면서 내가 찾은 학명이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이라고 국립수목원외래식물 담당 강ㅇㅅ 연구사 한테 전화를 한 적이 있었다 그 때 돌아은 대답이 제주도사마귀풀이라 불리던 종을 연구 중이며 곧 발표된다고 하더니2023년 식물분류학회지 53권 3호에 안동과 내륙의 것도 제주의 것과 함께  우영사마귀풀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로 발표를 하였다.    그런데 이번 식물분류학회지 54권 1호(2024. 3. 31.)에 안동과 내륙의 녀석을 들사마귀풀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이란 국명으로,  제주의 우.. 2024. 6. 1.
침입외래식물 좀들묵새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2021. 6. 4.  으이구~!!!우리 고향집 마당에 잔디처럼 깔려 있는 녀석이 바로 이 침입외래식물 좀들묵새였었던 것을. 내가 이 녀석 정체를 밝히려고 벼과 도해도감 두 권이나 뒤져도 정체를 모르겠더니.2022년에 미기록 외래식물로 국내 유입이 보고되었으니 도감에 실려 있지 않았던 것이다.좀들묵새를 포함하여 국내에 보고된 들묵새속 식물은 총 4분류군으로 모두 침입외래식물이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 이 중 들묵새와 들묵새아재비는 유럽 원산이지 만 큰묵새와 좀들묵새는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알려져 있다 (Osada, 1993). 상기 분류군들은 모두 유사한 환경에서 자라며, 개화 및 결실기가 5~6월로 동일할 뿐만 아니라, 형태적으로도 하나씩 또는 성글게 모여 자라는 .. 2023. 12. 31.
미기록 외래식물 모래별꽃(Stellaria palida), 들별꽃(S. ruderalis), 애기점나도나물(Cerastium pumilum) 2023. 1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6권 4호. 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 1. 암술이 5개이다·········································································쇠별꽃[Stellaria aquatica (L.) 1. 암술이 3개이다.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무병엽이다. 3. 화판의 열편이 많이 갈라진다································ ····························왕별꽃(S. radians L.) 3. 화판이 2열한다. 4. 잎이 선형이다···· · ········· · ·········· · ····· · ········ · ··········· ·· ····실별.. 2023. 12. 19.
얼치기대가래(가래과 가래속) Potamogeton × anguillanus Koidz. 2017. 6. 11. 잎자루가 없고 잎 끝에 뾰족한 돌기가 없는 걸 보니 대가래는 아닌 것 같고......... 넓은잎말로 보인다는 말에 넓은잎말 표본을 보니 엽저가 매우 넓고 줄기를 감싸는 듯 한데............ 아니면 전혀 다른 가래속 녀석일까? 일단 대가래로 정리해 두고 올해 다시 가서 관찰해 봐야겠다. ************************************************************** 2017년 꽃동무가 들고 온 한 줄기 표본을 촬영해 두고 이름을 찾지 못했던 녀석이다 위에 글처럼 그렇게 숙제로 남겨 놓고서 다시 확인해 보지 못했던 녀석이 2020년 한국지원식물학회지를 통하여 로 발표가 되었다. 이궁~!! 아까비~~!! 대가래도 아니고 넓은잎말도 아니라고 했던.. 2023. 12. 19.
덩굴개별꽃 sp 3(석죽과 개별꽃속) 2023. 4. 12.  50 여 m의 거리를 두고 나타난 다른 형태의 개체 군락이다.꽃잎의 형태는 덩굴개별꽃 처럼 도란형인데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져 있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qweenbee.tistory.com/88.. 2023. 5. 8.
덩굴개별꽃 sp 2 (석죽과 개별꽃속) 2023. 4. 12. 전초의 모습은 덩굴개별꽃과 거의 같지만 꽃잎 형태가 다르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9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1 .. 2023. 5. 8.
덩굴개별꽃 sp 1(석죽과 개별꽃속) 2023. 4. 12.   제 2의 자생지이다. 이 녀석 주변에는 덩굴개별꽃과 태백개별꽃이 함께 살고 있다.덩굴개별꽃은 개화가 시작되는 중이고 태백개별꽃은 꽃이 지고 꽃자루가 길어지면서 아래로 늘어져 있다. 이 곳에는 꽃잎이  2가지 형태로 나타난다.가는피침형으로 길게 뾰족하며 거치가 있거나 없는 형태와 넓은 도란형에 패랭이꽃 처럼 끝이 갈라진 형태이다.두 형태의 꽃은 50m~60m 의 거리를 두고 별도의 군락을 이루고 있다. 혹시나 주변에 있는 태백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이 아닐까 의심해 볼 수 있지만태백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은 보현개별꽃이 있다.   그렇다면 덩굴개별꽃의 꽃잎의 형태 변이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몇 년이 되었지만 여적까지 잘 살고 있는 것을 보면 형태가 고착된 것 같다. 결실이 되는지.. 2023. 5. 7.
사철검은재나무 관련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Symplocos nakaharae complex(Symploc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 morpholog Taxonomic revision of the Symplocos nakaharae complex (Symploc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 morpholog Types of infructescences in Symplocos nakaharae complex. Type I.Carpel fusion of minimal degree occurs and the gap between carpels are obvious (Fig. 5: A). This type of fruit was observed in S. setchuensis (Fig. 2: K), S. lucida subsp. lucida (Fig. 2: D), S. lucida subsp. howii (Fig. 2:.. 2023. 3. 9.
북미골풀 Juncus torreyi Coville 2023. 2. 2-3. 제 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북미원산으로 한국 강원도의 한 해수욕장에서 발견, 뿌리줄기 길고 마디가 비후하다. 구 모양의 화서에 25~100개의 꽃이 달리며 포는 없다. 여름에 살펴봐야겠다 이미지 출처 : 구글에서 이미지 펌 미네소타 야생화 (minnesotawildflowers.info) 2023.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