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신종 미기록종 연구논문39

Taxonomic revision of the Symplocos nakaharae complex(Symploc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 morpholog Taxonomic revision of the Symplocos nakaharae complex (Symploc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 morpholog Types of infructescences in Symplocos nakaharae complex. Type I.Carpel fusion of minimal degree occurs and the gap between carpels are obvious (Fig. 5: A). This type of fruit was observed in S. setchuensis (Fig. 2: K), S. lucida subsp. lucida (Fig. 2: D), S. lucida subsp. howii (Fig. 2:.. 2023. 3. 9.
북미골풀 Juncus torreyi Coville 2023. 2. 2-3. 제 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북미원산으로 한국 강원도의 한 해수욕장에서 발견, 뿌리줄기 길고 마디가 비후하다. 구 모양의 화서에 25~100개의 꽃이 달리며 포는 없다. 여름에 살펴봐야겠다 이미지 출처 : 구글에서 이미지 펌 미네소타 야생화 (minnesotawildflowers.info) 2023. 2. 24.
메꽃과 미기록종 Ipomoea heptaphylla Sweet 2023. 2. 2-3. 제 54회 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를 퍼왔다 사진 출처 : 구글 이미지 펌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서 남아메리카 원산의 메꽃과 식물인 Ipomoea heptaphylla Sweet가 발견되어 보고한다. 본 종은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복엽을 가진 특징으로 국내 나팔꽃속(Ipomoea L.) 식물들과 쉽게 구분된다. 이외에도 가늘고 긴 화경은 꼬임이 있고, 소포엽은 비늘모양으로 이른 시기에 탈락하며, 꽃은 주로 1개만 달리는 특징이 있다. 본 종은 인도, 아프리카에서도 자라고, 중국의 동남부 지역에도 유입되어 분포하나, 흔히 관찰되는 종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발견된 I. heptaphylla는 약 10년 전 처음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경작지 .. 2023. 2. 24.
게박쥐나물, 한국산 박쥐나물속(국화과) 1신종 _ 54회 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J교수님으로부터 한국의 게빅쥐나물이 일본과 다르다는 이야기를 들은 게 거의 10년 가까이 되는 것 같다. 이번 식불분류학회학술대회에 새로운 학명 부여와 함께 신종으로 발표될 거라는 포스터가 나왔다. 게박쥐나물, 한국산 박쥐나물속(국화과) 1신종 권민지P, 남기흠, 조형준, 김재영, 정선, 정규영* 국립안동대학교 산림과학과, 안동 한국산 게박쥐나물은 일본 특산으로 알려진 P. adenostyloides로 취급되고 있으나 일본산 게박쥐나물과 총포편 수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부형태적으로 일본산 게박쥐나물과 총포 형태, 총포편 수, 소화 수 및 화관 판통과 판인 길이 비율 등의 형질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nrDNA ITS 구간에 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두 분류군은 유전적으로 구분되었으며, 외부형태.. 2023. 1. 30.
미기록 외래식물 브라질검정말 Egeria densa Planch. (Hydrocharitaceae) _ 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무더운 여름에 가까운 군위 위천에 가야 할 일이 생겼다. 국제적으로 악성잡초로 세계침입종에 등록되어 있다고 하니 하천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이 있어서 우려가 될 것 같다. 미기록 외래식물 Egeria densa Planch. (Hydrocharitaceae) 나혜련p1, 최영민2, 조웅래2, 현진오1 1㈜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하남; 2한국파라택소노미스트회, 하남 경북 군위군과 부산 강서구에서 남아메리카 원산의 Egeria densa Planch.의 분포가 확인되어 보고한다. 본 종은 자라풀과(Hydrocharitaceae)에 속하는 침수성 수생식물로 국내 자생하는 검정말(Hydrilla verticillata (L. f.) Royle)과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줄기가 굵고 엽연의 거치가 미약하며 꽃이 대.. 2023. 1. 30.
미기록 자생식물: 영덕취 Klaseopsis chinensis (S. Moore) L. Martins (국화과) _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가까운 경북 영덕에 꽤 많은 개체들이 발견된 것 같다. 이 녀석도 만나 봐야할 버켓 리스트에 올려둔다. 이미지를 검색해도 중국 일부지역에서만 자생하는 중국특산이라 그런지 검색이 안된다. 미기록 자생식물: 영덕취 Klaseopsis chinensis (S. Moore) L. Martins (국화과) 강경숙1P, 이만규2, 정종덕1, 현진오1 1㈜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2(사)한국교사식물연구회 우리나라 미기록 자생식물 영덕취(국명 신칭) Klaseopsis chinensis (S. Moore) L. Martins를 경상북도 영덕군 산지에서 발견하여 보고한다. 해발 600미터 산지 능선부 숲속에 큰 무리를 지어 자라고 있다. 이 분류군은 그동안 중국 특산종으로 알려져 온 식물로 중국 광둥성, 구이저우성, 후베.. 2023. 1. 30.
사철검은재나무(Symplocos nakaharae (Hayata) Masam.)의 분류학적 실체 및 국내 분포 _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사철검은재나무라.........목록으로만 있던 녀석이 하나 나타났다. 상록의 검은재나무와 비슷하지만 잎 가장자리가 말린다고 한다. 초록은 볼 수 있는데 온라인포스터의 창이 열리지 않아서 PDF 파일을 볼 수가 없다. 학술대회가 끝이나면 볼 수 있을라나? 구글에서 가져온 일본 자료이다 표준식물목록의 학명 사철검은재나무: Symplocos lucida (Thunb.) Siebold & Zucc. 검은재나무 :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사철검은재나무(Symplocos nakaharae (Hayata) Masam.)의 분류학적 실체 및 국내 분포 최영민1, 한병우p2, 조웅래1, 현진오2 1한국파라택소노미스트회, 하남; 2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하남 60년 전 문헌으로만.. 2023. 1. 30.
서양전동싸리(콩과 전동싸리속) Melilotus dentatus (Waldst. & Kit.) Desf. 서양전동싸리(Melilotus dentatus (Waldst. & Kit.) Desf.) ​ ​줄기는 직립, 20-50 (-80) cm, 턱잎은 피침 형에서 좁은 삼각형, 6-12 mm, 2 개 또는 3 개의 치아상 또는 심열 절개 측맥 15-20 쌍으로 평행하고 잎가장자리에서 갈라지며, 열매는 난형~난상 타원형으로 4-5 × 2-2.5 mm 망상맥 씨앗은 1 또는 2개, 올리브 그린색 구형으로 약 1.5mm. 구글에서 펌한 중국자료세밀화이다. 1-4 흰전동싸리, 5-6 주름전동싸리 7-8 서양전동싸리 9-12 좀전동싸리 싸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4389 http://blog.daum.net/qweenbee/8896251 http://blog.daum.net/q.. 2023. 1. 30.
소화바늘꽃 Epilobium parviflorum 분포지와 새로운 국명 갯바늘꽃 제안 : 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쩝이다. 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에서 2021년 6월에 전남의 신안군 섬 묵논과 밭 주변에서 확인했던 Epilobium parviflorum Schreb.이 국명 으로 제안된 포스터가 등록된 걸 확인했다. 2021년 그 해 7월에 국립수목원 연구사와 함께 현장을 확인하고 표본을 채집하여 갔는데 소화바늘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7 Epilobium parviflorum 에필로비움 파르비플로럼=>소화바늘꽃 2021. 6. 30. 소화바늘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7 https://blog.daum.net/qweenbee/8907652 https://blog.daum.net/qweenbee/8908078 https:.. 2023. 1. 27.
사막갓(배추과) Brassica tournefortii(Coincya tournefortii) 2022. 10. 10. 드뎌 몇 년을 끌던 논문이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발표가 되었다. 이 녀석을 처음 발견한 때가 2018년이니 5년만에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국내 침입외래식물 사막갓(Brassica tournefortii; Brassicaceae)의 보고 및 잠재 분포 예측 강은수1 ·김한결2 ·남명자3 ·최미정4 ·손동찬1 * 1 국립수목원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2 국립수목원광릉숲보전센터, 3 한반도식물연구회, 4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품종심사과 적 요: 침입외래식물인 Brassica tournefortii Gouan이 전북 군산시, 고창군, 제주도 제주시에서 발견되었다. 본 종 은 식물체 기부에 강모가 밀생하고, 줄기가 기부와 말단에서 분지하며, 열매는 성숙시 일부분만 열개되고, 종자는 수분이 있을.. 2022. 10. 12.
미기록종 -긴포마편초(마편초과 마편초속) Verbena bracteata Cav. ex Lag. & Rodr. 2022. 10. 이번 9월 호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발표된 미기록식물이다. New record of an alien plant, Verbena bracteata (Verbenaceae) in Korea Jung-Hyun KIM, Sang Deog SHIM, Kyu Tae CHO, Hyun Sik KIM, Chang Woo HYUN, Jin Hee PARK Korean J. Pl. Taxon. 2022;52(3):196-200.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11110/kjpt.2022.52.3.196 꽃동무가 발견한 이 녀석도 몇 년이 걸려서 이제사 발표가 되었다. 긴포꽃질경이처럼 포가 길어서 긴포마편초란 이름을 얻었다. 현장에.. 2022. 10. 12.
가칭 제주사마귀풀 (닭의장풀과 사마귀풀속)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2021. 8. 4. 몇 년 전 부모님 산소 아래서 고깔닭의장풀과 이 녀석을 만나고 어이가 없었더랬다 제주도에서나 만나던 녀석이 내륙 깊은 야산 골짜기 경작지 주변에 나타났으니 말이다. 여태껏 야생화 동호인들 사이에서 제주사마귀풀이라(가칭) 불려오던 녀석은 흰색 꽃을 피우고 수술 기부의 털이 흰색인데 이 녀석은 화색이 자색을 띠고 꽃밥주머니는 흑청색, 수술 대에 짙은 자색의 퍼진 털을 가지고 있다. 사마귀풀에 비하여 총상꽃차례에 작은 꽃이 많이(2~10개) 달리고 꽃차례자루가 길고 가지를 많이 친다. 수술이 3개인 사마귀풀에 비하여 수술이 2개이고 꽃밥이 짧으며 아래로 휘어져 있다. 수술대의 자색 털은 일정 간격으로 돌기(마디)같은 게 나 있다. 제대로 살펴 보고 정리하려다가 표준식물목록에서 학명을 찾으.. 2022.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