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신종 미기록종 연구논문57

? 명아주과 명아주속 2024. 9. 11. 남도. 아코야~!!참명아주가 아닌 것을 참명아주라고, 여기 해안에 웬 참명아주냐고 호들갑을 떨었다.현지 꽃동무한테 까지 참명아주가 있으니 가 보라고 난리부루스를 떨었네. 이번에 내려가서 개화한 모습을 보고서야 욘석이 참명아주 화서와 다르다는 걸 알고서 그제서야 아차~!! 했다. 참명아주는 줄기와 화서가 매우 가늘고 자잘해서 여리여리한 느낌이 매우 강한 녀석이다.이 녀석은 잎이 참명아주와 비슷하여서 착강을 하긴긴 했지만 화서는 흰명아주와 비슷한데 그렇다고 흰명아주도 아닌 것이라. 도감을 펼쳐 놓고 급하게 확인해 본 결과 명아주속 분류군 중에서 여태까지 청명아주란 녀석을 놓치고 있었다.헌데 청명아주 학명으로 이미지 확인을 하니 다른 그림이 나온다.둥근잎명아주 Chenopodium ac.. 2024. 9. 17.
들사마귀풀 유감(닭의장풀과 사마귀풀속)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2024. 5. 30. 2021년 풍산 부모님 묘소 아래 붉게 피는 사마귀풀이 제주도의 미등록 종과 달라 보인다면서 내가 찾은 학명이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이라고 국립수목원외래식물 담당 강ㅇㅅ 연구사 한테 전화를 한 적이 있었다 그 때 돌아은 대답이 제주도사마귀풀이라 불리던 종을 연구 중이며 곧 발표된다고 하더니2023년 식물분류학회지 53권 3호에 안동과 내륙의 것도 제주의 것과 함께  우영사마귀풀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로 발표를 하였다.    그런데 이번 식물분류학회지 54권 1호(2024. 3. 31.)에 안동과 내륙의 녀석을 들사마귀풀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이란 국명으로,  제주의 우.. 2024. 6. 1.
침입외래식물 좀들묵새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2021. 6. 4.  으이구~!!!우리 고향집 마당에 잔디처럼 깔려 있는 녀석이 바로 이 침입외래식물 좀들묵새였었던 것을. 내가 이 녀석 정체를 밝히려고 벼과 도해도감 두 권이나 뒤져도 정체를 모르겠더니.2022년에 미기록 외래식물로 국내 유입이 보고되었으니 도감에 실려 있지 않았던 것이다.좀들묵새를 포함하여 국내에 보고된 들묵새속 식물은 총 4분류군으로 모두 침입외래식물이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 이 중 들묵새와 들묵새아재비는 유럽 원산이지 만 큰묵새와 좀들묵새는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알려져 있다 (Osada, 1993). 상기 분류군들은 모두 유사한 환경에서 자라며, 개화 및 결실기가 5~6월로 동일할 뿐만 아니라, 형태적으로도 하나씩 또는 성글게 모여 자라는 .. 2023. 12. 31.
미기록 외래식물 모래별꽃(Stellaria palida), 들별꽃(S. ruderalis), 애기점나도나물(Cerastium pumilum) 2023. 1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6권 4호. 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 1. 암술이 5개이다·········································································쇠별꽃[Stellaria aquatica (L.) 1. 암술이 3개이다.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무병엽이다. 3. 화판의 열편이 많이 갈라진다································ ····························왕별꽃(S. radians L.) 3. 화판이 2열한다. 4. 잎이 선형이다···· · ········· · ·········· · ····· · ········ · ··········· ·· ····실별.. 2023. 12. 19.
얼치기대가래(가래과 가래속) Potamogeton × anguillanus Koidz. 2017. 6. 11. 잎자루가 없고 잎 끝에 뾰족한 돌기가 없는 걸 보니 대가래는 아닌 것 같고......... 넓은잎말로 보인다는 말에 넓은잎말 표본을 보니 엽저가 매우 넓고 줄기를 감싸는 듯 한데............ 아니면 전혀 다른 가래속 녀석일까? 일단 대가래로 정리해 두고 올해 다시 가서 관찰해 봐야겠다. ************************************************************** 2017년 꽃동무가 들고 온 한 줄기 표본을 촬영해 두고 이름을 찾지 못했던 녀석이다 위에 글처럼 그렇게 숙제로 남겨 놓고서 다시 확인해 보지 못했던 녀석이 2020년 한국지원식물학회지를 통하여 로 발표가 되었다. 이궁~!! 아까비~~!! 대가래도 아니고 넓은잎말도 아니라고 했던.. 2023. 12. 19.
덩굴개별꽃 sp 3(석죽과 개별꽃속) 2023. 4. 12.  50 여 m의 거리를 두고 나타난 다른 형태의 개체 군락이다.꽃잎의 형태는 덩굴개별꽃 처럼 도란형인데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져 있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qweenbee.tistory.com/88.. 2023. 5. 8.
덩굴개별꽃 sp 2 (석죽과 개별꽃속) 2023. 4. 12. 전초의 모습은 덩굴개별꽃과 거의 같지만 꽃잎 형태가 다르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9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1 .. 2023. 5. 8.
덩굴개별꽃 sp 1(석죽과 개별꽃속) 2023. 4. 12.   제 2의 자생지이다. 이 녀석 주변에는 덩굴개별꽃과 태백개별꽃이 함께 살고 있다.덩굴개별꽃은 개화가 시작되는 중이고 태백개별꽃은 꽃이 지고 꽃자루가 길어지면서 아래로 늘어져 있다. 이 곳에는 꽃잎이  2가지 형태로 나타난다.가는피침형으로 길게 뾰족하며 거치가 있거나 없는 형태와 넓은 도란형에 패랭이꽃 처럼 끝이 갈라진 형태이다.두 형태의 꽃은 50m~60m 의 거리를 두고 별도의 군락을 이루고 있다. 혹시나 주변에 있는 태백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이 아닐까 의심해 볼 수 있지만태백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은 보현개별꽃이 있다.   그렇다면 덩굴개별꽃의 꽃잎의 형태 변이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몇 년이 되었지만 여적까지 잘 살고 있는 것을 보면 형태가 고착된 것 같다. 결실이 되는지.. 2023. 5. 7.
사철검은재나무 관련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Symplocos nakaharae complex(Symploc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 morpholog Taxonomic revision of the Symplocos nakaharae complex (Symploc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 morpholog Types of infructescences in Symplocos nakaharae complex. Type I.Carpel fusion of minimal degree occurs and the gap between carpels are obvious (Fig. 5: A). This type of fruit was observed in S. setchuensis (Fig. 2: K), S. lucida subsp. lucida (Fig. 2: D), S. lucida subsp. howii (Fig. 2:.. 2023. 3. 9.
북미골풀 Juncus torreyi Coville 2023. 2. 2-3. 제 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북미원산으로 한국 강원도의 한 해수욕장에서 발견, 뿌리줄기 길고 마디가 비후하다. 구 모양의 화서에 25~100개의 꽃이 달리며 포는 없다. 여름에 살펴봐야겠다 이미지 출처 : 구글에서 이미지 펌 미네소타 야생화 (minnesotawildflowers.info) 2023. 2. 24.
메꽃과 미기록종 Ipomoea heptaphylla Sweet 2023. 2. 2-3. 제 54회 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를 퍼왔다 사진 출처 : 구글 이미지 펌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서 남아메리카 원산의 메꽃과 식물인 Ipomoea heptaphylla Sweet가 발견되어 보고한다. 본 종은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복엽을 가진 특징으로 국내 나팔꽃속(Ipomoea L.) 식물들과 쉽게 구분된다. 이외에도 가늘고 긴 화경은 꼬임이 있고, 소포엽은 비늘모양으로 이른 시기에 탈락하며, 꽃은 주로 1개만 달리는 특징이 있다. 본 종은 인도, 아프리카에서도 자라고, 중국의 동남부 지역에도 유입되어 분포하나, 흔히 관찰되는 종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발견된 I. heptaphylla는 약 10년 전 처음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경작지 .. 2023. 2. 24.
게박쥐나물, 한국산 박쥐나물속(국화과) 1신종 _ 54회 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J교수님으로부터 한국의 게빅쥐나물이 일본과 다르다는 이야기를 들은 게 거의 10년 가까이 되는 것 같다. 이번 식불분류학회학술대회에 새로운 학명 부여와 함께 신종으로 발표될 거라는 포스터가 나왔다. 게박쥐나물, 한국산 박쥐나물속(국화과) 1신종 권민지P, 남기흠, 조형준, 김재영, 정선, 정규영* 국립안동대학교 산림과학과, 안동 한국산 게박쥐나물은 일본 특산으로 알려진 P. adenostyloides로 취급되고 있으나 일본산 게박쥐나물과 총포편 수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부형태적으로 일본산 게박쥐나물과 총포 형태, 총포편 수, 소화 수 및 화관 판통과 판인 길이 비율 등의 형질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nrDNA ITS 구간에 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두 분류군은 유전적으로 구분되었으며, 외부형태.. 2023.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