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골풀·곡정초과108

개수염(곡정초과 곡정초속) Eriocaulon miquelianum Körn. 2022. 10. 7. 남도. 이 곳 습지에 개수염이 산다. 중부지역에서는 큰개수염은 보이는데 개수염은 남쪽에 와서야 만날 수 있다. 비가 뿌리는 날씨라서 물기 때문에 접사 촬영이 선명하지 않다. 개수염 큰개수염 두화 너비 4.3~6.8mm, 꽃잎 3장. 화경 길이 10~20cm, 암꽃의 포 윗부분과 꽃받침 윗가장자리에 털이 밀생한다. 두화 지름 3.8-5.3mm, 화경 길이 15-22mm, 능선 5개 암꽃의 포와 꽃받침 윗부분에 털이 거의 없다 총포편 8~9개, 두화 보다 2~3배 길다 총포편 8-9개, 포편 길이 길이 7~9mm, 3개의 맥 두화 보다 약간~2배 정도 길다 잎 길이 12~19cm, 폭 1.4~2.3mm, 잎맥은 5~10개 잎의 폭이 더 좁고 엽질이 얇다 잎 길이 7.7-13.3cm, .. 2022. 10. 15.
실개수염(곡정초과 곡정초속) Eriocaulon decemflorum var. nipponicum (Maxim.) Nakai 2022. 10. 2. 경남. 큰개수염과 함께 섞여서 자라고 있었다. 두화가 제법 커서 개수염으로 오인할 수 있을 정도인데 총포가 막질인 실개수염이다. 이 녀석을 좀개수염의 두상화서 지름과 줄기 높이를 연속적 변이로 보나서 이명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도 좀개수염의 비추천명으로 처리되어 있다. 큰개수염과 달리 총포가 막질이고두화의 암꽃 수꽃의 포 위쪽에 털이 매우 많다. 좀개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904373 http://blog.daum.net/qweenbee/8904375 실개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903192 http://blog.daum.net/qweenbee/8904374 http://blog.da.. 2022. 10. 7.
큰개수염(곡정초과 곡정초속) Eriocaulon taquetii Lecomte 2022. 9. 2. 경남 습지. 이 녀석 개수염인지 큰개수염인자 확인이 필요하다. 잎이나 화경 길이, 두화와 총포 등이 거의 비슷한데 암꽃 포의 털이 관건이다. 큰개수염의 잎이 더 넓고 잎맥이 더 많은 점도 차이가 나긴 한다. 개수염 큰개수염 두화 너비 4.3~6.8mm, 꽃잎 3장. 화경 길이 10~20cm, 암꽃의 포 윗부분과 꽃받침 윗가장자리에 털이 밀생한다. 두화 지름 3.8-5.3mm, 화경 길이 15-22mm, 능선 5개 암꽃의 포와 꽃받침 윗부분에 털이 거의 없다 총포편 8~9개, 두화 보다 2~3배 길다 총포편 8-9개, 포편 길이 길이 7~9mm, 3개의 맥 두화 보다 약간~2배 정도 길다 잎 길이 12~19cm, 폭 1.4~2.3mm, 잎맥은 5~10개 잎의 폭이 더 좁고 엽질이 얇다.. 2022. 10. 7.
실개수염(곡정초과 곡정초속) 표본 촬영 Eriocaulon decemflorum var. nipponicum (Maxim.) Nakai 2022. 9. 11. 경북. 좀개수염의 변종인 실개수염을 좀개수염에 통합하여 이명으로 처리하기도 한다. 잎은 모여나며 가는 피침형으로 길이 6~13cm, 폭 1.5~2.0mm,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맥은 7~9개다. 꽃줄기는 5~70개가 나오며, 길이 20~38cm, 약간 꼬여 있고 능선은 보통 3~7개, 드물게 10개도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머리모양꽃차례는 반구형으로 길이 4~6mm, 폭 7~10mm다. 수꽃은 8~31개가 꽃차례의 가운데와 가장 바깥쪽에 달리며, 꽃잎과 꽃받침이 각각 2장 또는 3장인 꽃이 함께 난다. 암꽃은 가운데와 바깥쪽 수꽃 사이에 24~78개가 4~5회 돌려나며, 꽃잎과 꽃받침이 2장 또는 3장이고, 8~9월에 익는다. 씨는 타원형으로 길이 0.7~1.0mm다. 우리.. 2022. 9. 16.
실개수염(곡정초과 곡정초속) Eriocaulon decemflorum var. nipponicum (Maxim.) Nakai 2022. 9. 11. 경북. 산정 습지가 태풍이 몰고온 비로 물이 꽉 차 버렸다. 곡정초속 녀석을 보려고 왔는데 한쪽 귀퉁이에 온몸을 물속에 다 담그고 목만 올리고 있다. 좀개수염보다 크기가 조금더 크지만 좀개수염의 변이폭 범주 안에 있는 것으로 보고 좀개수염에 통합하여 보는 견해도 있다. 잎은 모여나며 가는 피침형으로 길이 6~13cm, 폭 1.5~2.0mm,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맥은 7~9개다. 꽃줄기는 5~70개가 나오며, 길이 20~38cm, 약간 꼬여 있고 능선은 보통 3~7개, 드물게 10개도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머리모양꽃차례는 반구형으로 길이 4~6mm, 폭 7~10mm다. 수꽃은 8~31개가 꽃차례의 가운데와 가장 바깥쪽에 달리며, 꽃잎과 꽃받침이 각각 2장 또는 3장인 꽃이.. 2022. 9. 16.
산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multiflora (Ehrh.) Lej. 2022. 4. 28. 경북. 넘어가는 햇살에 산꿩의밥 한 무더기. 암술의 짧은 촉수로 햇살을 더듬는다. 좀꿩의밥아속 좀꿩의밥 잎은 안쪽으로 등글게 말리고 끝은 뾰족하며 경질화되지 않고 소화서축은 길고 가늘어서 구부러져 있으며 종자에는 사상체가 있다 산꿩의밥아속 꿩의밥, 산꿩의밥, 산새밥, 구름꿩의밥, 두메꿩의밥 지하경은 짧거나 거의 발달되지 않으며, 여러 개의 꽃이 모여 두상화를 이루고, 종자의 기부에 소형의 종침이 있다 별꿩의밥아속 별꿩의밥 , 새밥 ,오대산새밥 지하경은 길게 발달하고,꽃이 소화서축 끝에 1개씩 피며, 종자의 상부에 대형의 종침이 휘어져 있다 2022. 4. 20. 꿩의밥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3414 http://blog.daum.net/.. 2022. 5. 13.
새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rufescens Fisch. ex E.Mey. 2021. 6. 2. 평창. 3~5개의 꽃이 산형으로 피는 녀석인데 개체 크기가 작고 화경도 짧아서 전체적으로 소형이다. 땅속줄기가 발달되어 군집으로 서식을 한다 꿩의밥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3414 http://blog.daum.net/qweenbee/8895395 http://blog.daum.net/qweenbee/8900892 http://blog.daum.net/qweenbee/8903612 http://blog.daum.net/qweenbee/8900788 http://blog.daum.net/qweenbee/8902346 http://blog.daum.net/qweenbee/8901979 http://blog.daum.net/qweenbee/890.. 2021. 11. 28.
넓은잎개수염(곡정초과 곡정초속) 새싹 2021. 8. 20. 경기 좀개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904373 http://blog.daum.net/qweenbee/8904375 실개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903192 http://blog.daum.net/qweenbee/8904374 http://blog.daum.net/qweenbee/8904375 http://blog.daum.net/qweenbee/8904410 http://blog.daum.net/qweenbee/8888953 blog.daum.net/qweenbee/8905976 https://qweenbee.tistory.com/8909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93.. 2021. 11. 18.
곡정초(곡정초과 곡정초속) Eriocaulon cinereum R. Br. 2021. 8. 20. 두상화서 ------모두 반구형, 원추형------곡정초 총포가 두상화서보다 길다--------좀개수염, 실개수염,흰개수염,큰개수염,개수염 총포 길이가 짧다-----------검은개수염,곡정초,넓은잎개수염,검정곡정초 화경이 잎보다 짧다--------------넓은잎개수염(잎이 넓다, 잎맥 14-15개) 암꽃의 포---전체적으로 검음-----------곡정초, 검은개수염 중간 위부분만 검음--------검정곡정초 엷은 미색-----------------좀개수염, 실개수염, 넓은꽃잎개수염 위부분에 갈색 약간-----넓은잎개수염 암술머리와 자방의 수-------모두 3개씩, 2개씩, 2개씩-좀개수염, 2개씩, 3개씩 함께 나타남-------실개수염 꽃밥이 흰색을 띠는 녀석이다. 좀개수염.. 2021. 8. 22.
물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gracillimus (Buchenau) V.I.Krecz. & Gontsch. 2021. 5. 23. 서해안. 하천이나 해안 습지에 자란다. 골풀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76 http://blog.daum.net/qweenbee/8904056 http://blog.daum.net/qweenbee/8888322 http://blog.daum.net/qweenbee/8904343 검정납작골풀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77 http://blog.daum.net/qweenbee/8904327 검정납작골풀 꽃 : blog.daum.net/qweenbee/8905444 blog.daum.net/qweenbee/8905445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74 길골풀 : .. 2021. 6. 30.
길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tenuis Willd. 2021. 6. 23. 서해안. 길가와 산지의 응달진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골풀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76 http://blog.daum.net/qweenbee/8904056 http://blog.daum.net/qweenbee/8888322 http://blog.daum.net/qweenbee/8904343 검정납작골풀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77 http://blog.daum.net/qweenbee/8904327 검정납작골풀 꽃 : blog.daum.net/qweenbee/8905444 blog.daum.net/qweenbee/8905445 https://blog.daum.net/qweenbee/89.. 2021. 6. 30.
비녀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krameri Franch. & Sav. 2021. 6. 22. 서해안. 카메라 화면으로 확인했을 땐 수술이 3개인 줄 알았다. 줄기가 원통형이니 날개골풀 쪽은 아닌 비녀골풀쪽인데 수술이 3개인 눈비녀골풀이나 청비녀골풀이 용의선상에 오르지만 좀 애매하여서 갸웃했었다. 사진을 정리하려고 원본을 확대하니 수술 3개는 밖으로 펼쳐있고 그 사이에 3개가 자방 쪽에 바투 붙어 있었던 걸 눈치채지 못하였던 거다 그제사 눈비녀골풀도 청비녀골풀도 아닌 것 같았던 의문이 풀렸다. 수술이 3개인 줄 알고 제외시켰던 비녀골풀이었던 거다. 자방에 바투 붙은 3개는 암술에 가려져서 안 보인다. 골풀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76 http://blog.daum.net/qweenbee/8904056 http://blog.daum... 2021.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