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내몽골식물62 내몽골식물 -하늘나리(백합과 백합속)Lilium concolor var. pulchellum (Fisch.) Baker 2024. 6. 24. 내몽골. 숲이 있는 초지에서 제법 많이 나타났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97https://qweenbee.tistory.com/8897948 http.. 2025. 2. 17. 내몽골식물 -미국붉나무(옻나무과) Rhus typhina L. 2024. 6. 27. 내몽골 옥룡사호. 호수를 사이에 두고 사구 언덕을 자라보는 숙소는 휴양시설로는 아주 퍼펙트한 위치라. 다시 한번 오고 싶을 정도로 멋진 곳이 었다.이른 아침 숙소 주변 호수를 돌면서 탐사를 하는데 개옻나무를 닮은 관목이 붉게 열매를 달고 있다.우리나라에 재배식물 목록에 들어 있는 미국붉나무 Rhus typhina 로 확인이 된다. 검양옻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7910검양옻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597 https://qweenbee.tistory.com/8894600https://qweenbee.tistory.c.. 2025. 2. 9. 내몽골식물 - 지채속 두 종 triglochin ? 2024. 6. 23. 내이멍구 울란바통 인근 하천을 뒤지다가 물지채와 함께 만난 또 다른 두 종의 지채속 녀석이다. 개체 1. triglochin striata?? 왼쪽은 물지채, 오른쪽은??화경이 있고 한 자리에서 2~3개씩 모여서 꽃이 달린다 왼쪽 물지채, 오른쪽은 ? 개체2. 이 녀석은 화경이 매우 짧아서 화축에 달라붙어 있는 녀석이 또 있다. 지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0https://qweenbee.tistory.com/88917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4https://qweenbee.tistory.com/8894434 h.. 2025. 2. 7. 내몽골식물 -민망초(국화과 개망초속) Erigeron acris L. 2024. 6. 23. 내몽골 울란바통 바위산 탐사. 2017년 백두산 탐사 때 우슬린 도로변에서 처음 만나서 엄청 기뻐했던 녀석이다.그 후 몽골에서도 드물게 만났는데 내몽골에서도 드문드문 보였다. 전세계적으로 폭 넓게 분포하고 있는데 아직 국내에서는 발견되었단 소식 못 들었다. 망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740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09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8 https://qweenbee.tistory.com/8896356https://qweenbee.tistory.com/8905868 https://qweenbee.tistory.com/8901.. 2025. 2. 1. 내몽골식물 - 넓은잎제비꽃 폐쇄화 열매 Viola mirabilis L. 2024. 6. 23. 울란바통 라마산. 초지를 탐사가 거의 끝날 무렵,숲 가장자리 나무 아래서 잎 넓은 제비꽃 한 무리를 만났다. 국내 강원도 석회암 지역에서 만난 적 있는 넓은잎제비꽃과 많이 닮았다.열매의 포와 잎을 세밀하게 확인한 결과 넓은잎제비꽃으로 동정하여 정리한다. 학명으로 분포지를 확인해 보니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유라시아 대륙에 폭 넓게 분포하고 있다. 넓은잎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88 https://qweenbee.tistory.com/8891642 https://qweenbee.tistory.com/8889934 https://qweenbee.tistory.com/8893517 https://qweenbee.tistory.c.. 2025. 1. 31. 내몽골식물-좁은잎갯활량나물(콩과 갯활량나물속)Thermopsis lanceolata 2024. 6. 25. 내몽골. 몽골의 초지에서 만났던 이 녀석을 내몽골의 습한 초지에서도 군락으로 만났다.국내에서는 양양의 해안에 유일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그 곳도개체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어서 거의 사라지지 않을까 싶다. 산새콩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15 https://qweenbee.tistory.com/8891746https://qweenbee.tistory.com/8891747 https://qweenbee.tistory.com/8895660https://qweenbee.tistory.com/8891938 https://qweenbee.tistory.com/88993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661산.. 2025. 1. 27. 내몽골식물 -큰솔나리(백합과 백합속) Lilium pumilum Redouté 2024. 6. 22. 내몽골 탐사 첫날. 바람의 언덕. 황사바람 날리는 언덕 위에 한 두포기가 독립적으로 서 있었는데, 그 것도 반갑다고 카메라가 집중되었다.뒷날 큰솔나리 산사태를 만날 줄도 모르고.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 2025. 1. 25. 내몽골식물 -명아주과 호모초속 Corispermum 2024. 6. 22. 내몽골 탐사 첫날. 안개가 자욱한 줄 알았던 대기는 그 유명한 몽골 사막의 황사인 줄 뒤늦게서야 알았다.새벽부터 일찍 일어나서 설친 우리 일행은 멋진 해돋이를 촬영하려고 바람의 언덕을 올랐지만 해는 황사바람 뒤에서 숨어 버렸고 해돋이 자체에 별 관심이 없던 나는 몇 종의 풀들을 담으면서 더딘 걸음으로 따라다녔다.국내에서도 더러 내륙에서 만나는 솔장다리 비슷한 호모초속 어린 싹들과 지난 해의 삭정이가 눈길을 잡는다. 열매 흔적은 호모초속인데.... 2025. 1. 25. 내몽골식물 - 좁은잎사위질빵(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 Clematis hexapetala Pall. 2024. 6. 22-23. 내몽골 울란바통 라마산. 몽골과 내몽골에서는 제법 쉽게 볼 수 있는데 국내에서는 서해 쪽 해안가 한 곳에 유일하게 살고 있는 녀석이다. 할미밀망 : https://qweenbee.tistory.com/8891394 https://qweenbee.tistory.com/8893576 https://qweenbee.tistory.com/8893576 https://qweenbee.tistory.com/8896143https://qweenbee.tistory.com/8895704 https://qweenbee.tistory.com/8896143https://qweenbee.tistory.com/8897611 https://qweenbee.tistory.co.. 2025. 1. 20. 내몽골식물- 노랑개자리(콩과 개자리속) Medicago ruthenica (L.) Trautv. 2024. 6. 23. 내몽골 울랑바통. 몽골과 내몽골의 초지에는 심심찮게 나타난다.우리나라에는 제주도 오름 몇 군데에는 제법 퍼져 있는 녀석이다.아마도 피뿌리풀과 함께 몽골 침입 때 말들에 의하여 따라 들어오게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디. 개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17 https://qweenbee.tistory.com/8895285 https://qweenbee.tistory.com/8895419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6 https://qweenbee.tistory.com/8902415 https://qweenbee.tistory.com/8903800 .. 2025. 1. 20. 내몽골식물 - 피뿌리풀(팥꽃나무과 피뿌리풀속) Stellera chamaejasme L. 2024. 6. 22. 내몽골 울란바통. 2022년과 2023년 몽골에서 워낙 많은 피뿌리풀을 봤기에 내몽골에서의 피뿌리풀 군락은 감동이 크게 일지는 않았다.피뿌리풀 보다는 오히려 작은 풀떼기들을 뒤지느라 더 시간을 할애하였다.그래도 기본은 해야 했기에 제법 많이 촬영은 했다. 듣는 피뿌리풀 삐칠라. ㅎ 피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68 https://qweenbee.tistory.com/8889963피뿌리풀(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15 https://qweenbee.tistory.com/8898888 https:/.. 2025. 1. 19. 내몽골식물 - 긴개싱아일까? 마디풀과 싱아속,Aconogonon ajanense (Regel & Tiling) H.Hara 2024. 6. 23. 내몽골 울란바통 싱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4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4https://qweenbee.tistory.com/8888601 https://qweenbee.tistory.com/8893757https://qweenbee.tistory.com/8896379 https://qweenbee.tistory.com/8896556https://qweenbee.tistory.com/88996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294https://qweenbee.tistory.com/8904261싱아 신초 : https://qweenbee.. 2025. 1. 18.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