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9. 23. 낙동강변.
쑥부쟁이는 약간 습한 기운이 있는 곳을 좋아한다.
개쑥부쟁이나 가새쑥부쟁이는 흔하게 보이지만 야생의 쑥부쟁이는 제주도에서만 보았다.
쑥부쟁이의 서식지 분포에 대한 정보를 보면 남부지방으로 되어 있다.
그러니 중부 이북에서 쑥부쟁이라 올린 걸 보면 거의 대부분 가새쑥부쟁이를 잘못 올려 두고 있다.
이 곳의 쑥부쟁이도 자생이 아니고 야생화 공원을 조성하면서 심어놓은 것이다.
낙동강 고수부지에 백조들이 있다기에 백조를 보러 갔다가 자료로 요모 조모 담아 왔는데
쑥부쟁이 열매에 관모를 제대로 실펴 본 적이 없었는데 가새쑥부쟁이 보다도 관모가 더 짧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쑥부쟁이 | 가새쑥부쟁이 | 가는쑥부쟁이 | 개쑥부쟁이 | 단양쑥부쟁이 | |
관모 길이 | 0.5mm | 0.5-1mm | 불완전하며 1/4-1/2mm | 2.5-3mm 붉은빛이 돈다 | 4mm정도 붉은빛이 돈다 |
설상화와 총포 | 총포는 녹색이고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이며, 포조각이 3렬로 배열한다. |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5-6mm, 지름 9-11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끝이 뾰족한 피침형으로 내편보다 약간 짧다. 설상화는 길이 18mm, 나비 2.5mm이다. |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4mm, 지름 7-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 피침형으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다. 설상화는 길이 11mm, 나비 2.5mm이다. |
포는 3줄로 배열되며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화관은 길이 21-24mm, 나비 2.5-4mm이며 담자색이다. |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8-10mm, 나비 16-20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다소 있다. 설상화관은 2줄로 달리고 길이 2cm, 나비 3mm정도이다. |
총포는 녹색이고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이며, 포조각이 3렬로 배열한다.
|
|
|
|
쑥부쟁이 종류 중에서 관모가 가장 짧다. |
관모의 길이는 약 0.5mm이다. |
총포는 녹색이고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이며, 포조각이 3렬로 배열한다.
잎은 호생하고 난상 장타원형이며 길이는 8~10cm, 나비는 3cm내외이다.
끝은 뾰족하며 밑은 좁아져 엽병처럼 된다. 표면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거친 거치가 있고 위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847 http://blog.daum.net/qweenbee/8889268
http://blog.daum.net/qweenbee/8888954 http://blog.daum.net/qweenbee/8890474
가새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63 http://blog.daum.net/qweenbee/8890772
http://blog.daum.net/qweenbee/8888836 http://blog.daum.net/qweenbee/8892769
개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64 http://blog.daum.net/qweenbee/8886932
http://blog.daum.net/qweenbee/8891226 http://blog.daum.net/qweenbee/8892737
http://blog.daum.net/qweenbee/8887078 http://blog.daum.net/qweenbee/8892766
단양쑥부쟁이: http://blog.daum.net/qweenbee/8889269 http://blog.daum.net/qweenbee/8889270
http://blog.daum.net/qweenbee/8887106
단양이가 아닌 : http://blog.daum.net/qweenbee/8887079
갯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213 http://blog.daum.net/qweenbee/8890859
http://blog.daum.net/qweenbee/8887168
왕갯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7411
까실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771 http://blog.daum.net/qweenbee/8888748
http://blog.daum.net/qweenbee/8886758 http://blog.daum.net/qweenbee/8891581
흰색 까실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31
섬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6915 http://blog.daum.net/qweenbee/8152198
http://blog.daum.net/qweenbee/8891070 http://blog.daum.net/qweenbee/8892583
http://blog.daum.net/qweenbee/8892833
미국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1582 http://blog.daum.net/qweenbee/8888998
http://blog.daum.net/qweenbee/8886757
쑥부쟁이/가새쑥부쟁이/개쑥부쟁이/단양쑥부쟁이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90856
쑥부쟁이와 개쑥부쟁이 비교 : : http://blog.daum.net/qweenbee/8887231
개쑥부쟁이/쑥부쟁이/버드쟁이나물(가새쑥부쟁이)/가새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6895
쑥부쟁이/개쑥부쟁이/가새쑥부쟁이 살피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88954
섬쑥부쟁이/까실쑥부쟁이/갯쑥부쟁이/미국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6925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끼꿩의비름(돌나물과) (0) | 2011.09.29 |
---|---|
구절초(국화과) (0) | 2011.09.28 |
왕고들빼기(국화과 상추속) (0) | 2011.09.27 |
이고들빼기(국화과) (0) | 2011.09.27 |
두메부추(백합과) (0) | 2011.09.27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