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9. 29.
여러 차례 쑥부쟁이 비교 자료를 만들어 두었지만 신통치 않은 사진 솜씨라서 화질이 영 불편하였다.
해서 이제 쪼매 나아진 사진으로 다시 정리해 본다.
쑥부쟁이 중에서 가장 흔하면서도 구분이 잘 안되는 4가지 종류를 중심으로 정리해 볼 요량이다.
아래 표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쑥부쟁이 |
가새쑥부쟁이 |
가는쑥부쟁이 |
갯쑥부쟁이 |
단양쑥부쟁이 | |
관모 길이 | 0.5mm | 0.5-1mm | 불완전하며 1/4-1/2mm | 2.5-3mm 붉은빛이 돈다 | 4mm정도 붉은빛이 돈다 |
설상화와 총포 |
총포는 녹색이고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이며, 포조각이 3렬로 배열한다. |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5-6mm, 지름 9-11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으며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다.
설상화는 길이 18mm, 나비 2.5mm이다. |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4mm, 지름 7-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 피침형으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다.
설상화는 길이 11mm, 나비 2.5mm이다. |
포는 3줄로 배열되며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화관은 길이 21-24mm, 나비 2.5-4mm이며 담자색이다. |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8-10mm, 나비 16-20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다소 있다.
설상화관은 2줄로 달리고 길이 2cm, 나비 3mm정도이다. |
=========================================================================
◈ 먼저 꽃이다.
4종 중에서 단양쑥부쟁이의 설상화가 가장 가늘고 길었다.
물론 가새쑥부쟁이도 단양쑥부쟁이와 비슷하긴 한데 환경에 따라 그 좁고 긴 정도가 차이가 났다.
쑥부쟁이는 설상화가 4종 중에서 가장 작았다.
쑥부쟁이는 남부지방에서 분포하는데 내가 본 것은 제주도에서만 보았다.
그외 안동에서는 야생화 동산을 조성해 둔 곳에서 쑥부쟁이를 본 적이 있다.
쑥부쟁이 |
가새쑥부쟁이 |
갯쑥부쟁이 |
단양쑥부쟁이 |
◈ 두번 째로 총포의 생김새이다.
국화과를 담을 때 총포는 반드시 접사하여 담아 두어야 동정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쑥부쟁이 종류도 총포는 중요한 구분 포인트이다.
총포의 포편이 쑥부쟁이와 가새쑥부쟁이가 끝이 뾰족한 타원상 피침형으로 비슷한 모양이고
개쑥부쟁이와 단양숙부쟁이는 선상피침형으로 비슷하다.
쑥부쟁이 |
가새쑥부쟁이 |
갯쑥부쟁이 |
단양쑥부쟁이 |
◈ 세번째로 수과 열매의 관모이다.
관모는 순수한 우리말로 갓털이라고 하는데 관모의 길이도 쑥부쟁이 속에서는 중요한 구분 포인트이다.
역시 총포 포편이 비슷한 쑥부쟁이와 가새쑥부쟁이의 관모가 매우 짧으며(0.5mm~1mm)
가는쑥부쟁이와 버드쟁이나물도 이와 비슷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개쑥부쟁이와 단양쑥부쟁이는 관모가 갈색을 띠고 부숭부숭하게 길다.
쑥부쟁이
수과로 난형이고 10∼11월에 익는다. 관모의 길이는 약 0.5mm이다. |
가새쑥부쟁이 수과는 길이 3~3.5mm, 나비 2mm정도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0.5-1mm로 붉은빛이 돈다. |
갯쑥부쟁이 수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3mm, 나비 1.5mm로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2.5-3mm이고 붉은빛이 돈다. |
단양쑥부쟁이 수과는 편평한 도란형이고 털이 밀생하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붉은빛이 돈다. |
◈ 네번째로 잎을 살펴 보면
쑥부쟁이와 가새쑥부쟁이는 잎의 결각이 뚜렷하고 가새쑥부쟁이는 결각이 깊게 갈라져서 열편이 가늘다.
개쑥부쟁이와 단양쑥부쟁이는 좁은 피침형으로 톱니가 드물고 엽신이 길다.
쑥부쟁이 난상 장타원형이며 길이는 8~10cm, 나비는 3cm내외이다. 끝은 뾰족하며 밑은 좁아져 엽병처럼 된다. 표면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거친 거치가 있고 위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
가새쑥부쟁이 경생엽은 긴 타원상 피침형, 피침형, 길이 8~10cm, 폭 2.5cm 정도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길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안쪽으로 굽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다
|
갯쑥부쟁이 기부의 잎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5-6cm, 나비 2.5-3.5cm로서 가장자리에 큰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엽병이 길다. 경생엽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며 길이 6-8cm, 나비 1~2cm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양면이 모두 거칠며 윗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
단양쑥부쟁이 엽신이 개쑥부쟁이보다 더 좁고 매우 길며 드물게 톱니가 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5-10cm, 나비 1-3mm로서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위의 자료를 종류별로 다시 모아 보면
<쑥부쟁이>
|
|
|
|
<갯쑥부쟁이>
|
|
|
|
<가새쑥부쟁이>
| |
|
|
<단양쑥부쟁이>
|
|
|
|
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847 http://blog.daum.net/qweenbee/8889268
http://blog.daum.net/qweenbee/8888954 http://blog.daum.net/qweenbee/8890474
http://blog.daum.net/qweenbee/8894546 http://blog.daum.net/qweenbee/8899892
http://blog.daum.net/qweenbee/8900381 http://blog.daum.net/qweenbee/8901609
http://blog.daum.net/qweenbee/8903284 http://blog.daum.net/qweenbee/8903497
쑥부쟁이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3269 http://blog.daum.net/qweenbee/8900480
가는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3986 http://blog.daum.net/qweenbee/8898069
http://blog.daum.net/qweenbee/8898321 http://blog.daum.net/qweenbee/8901429
http://blog.daum.net/qweenbee/8903102 http://blog.daum.net/qweenbee/8904384
http://blog.daum.net/qweenbee/8904214
가새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63 http://blog.daum.net/qweenbee/8890772
http://blog.daum.net/qweenbee/8888836 http://blog.daum.net/qweenbee/8892769
http://blog.daum.net/qweenbee/8894593 http://blog.daum.net/qweenbee/8902954
눈개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9874 http://blog.daum.net/qweenbee/8900257
http://blog.daum.net/qweenbee/8894665 http://blog.daum.net/qweenbee/8901428
http://blog.daum.net/qweenbee/8901608 http://blog.daum.net/qweenbee/8903279
눈개쑥부쟁이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899875
단양쑥부쟁이: http://blog.daum.net/qweenbee/8889269 http://blog.daum.net/qweenbee/8889270
http://blog.daum.net/qweenbee/8887106 http://blog.daum.net/qweenbee/8892832
http://blog.daum.net/qweenbee/8894547 http://blog.daum.net/qweenbee/8901610
단양이가 아닌 : http://blog.daum.net/qweenbee/8887079
단양쑥부쟁이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1666
갯쑥부쟁이(내륙형)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64 http://blog.daum.net/qweenbee/8886932
http://blog.daum.net/qweenbee/8891226 http://blog.daum.net/qweenbee/8892737
http://blog.daum.net/qweenbee/8887078 http://blog.daum.net/qweenbee/8892766
http://blog.daum.net/qweenbee/8896729 http://blog.daum.net/qweenbee/8900130
http://blog.daum.net/qweenbee/8900151 http://blog.daum.net/qweenbee/8901430(중국)
http://blog.daum.net/qweenbee/8903367 http://blog.daum.net/qweenbee/8903377
갯쑥부쟁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6879 http://blog.daum.net/qweenbee/8900418
갯쑥부쟁이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893266 http://blog.daum.net/qweenbee/8901940
갯쑥부쟁이(해안형) : http://blog.daum.net/qweenbee/8898441 http://blog.daum.net/qweenbee/8898442
http://blog.daum.net/qweenbee/8901622 http://blog.daum.net/qweenbee/8901727
http://blog.daum.net/qweenbee/8903513
갯쑥부쟁이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8443 http://blog.daum.net/qweenbee/8903482
섬갯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859 http://blog.daum.net/qweenbee/8900256
http://blog.daum.net/qweenbee/8900358 http://blog.daum.net/qweenbee/8887411
http://blog.daum.net/qweenbee/8901624 http://blog.daum.net/qweenbee/8901726
http://blog.daum.net/qweenbee/8889213 http://blog.daum.net/qweenbee/8904506
섬갯쑥부쟁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900494 http://blog.daum.net/qweenbee/8900495
섬갯쑥부쟁이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903382 http://blog.daum.net/qweenbee/8903482
http://blog.daum.net/qweenbee/8904507
까실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771 http://blog.daum.net/qweenbee/8888748
http://blog.daum.net/qweenbee/8886758 http://blog.daum.net/qweenbee/8900001
http://blog.daum.net/qweenbee/8900152 http://blog.daum.net/qweenbee/8889199
http://blog.daum.net/qweenbee/8892641 http://blog.daum.net/qweenbee/8903129
http://blog.daum.net/qweenbee/8903361 http://blog.daum.net/qweenbee/8892831(흰색)
까실쑥부쟁이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1581 http://blog.daum.net/qweenbee/8893267
http://blog.daum.net/qweenbee/8900650 http://blog.daum.net/qweenbee/8902142
섬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6915 http://blog.daum.net/qweenbee/8152198
http://blog.daum.net/qweenbee/8891070 http://blog.daum.net/qweenbee/8892583
http://blog.daum.net/qweenbee/8892833 http://blog.daum.net/qweenbee/8897116
http://blog.daum.net/qweenbee/8901611 http://blog.daum.net/qweenbee/8901704
http://blog.daum.net/qweenbee/8902996 http://blog.daum.net/qweenbee/8904505
섬쑥부쟁이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901916 http://blog.daum.net/qweenbee/8898606
http://blog.daum.net/qweenbee/8902970
왕갯쑥부장이 추정 : http://blog.daum.net/qweenbee/8901717 http://blog.daum.net/qweenbee/8901723
http://blog.daum.net/qweenbee/8887411
왕갯쑥부장이 관모 : http://blog.daum.net/qweenbee/8901762
추산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1703 http://blog.daum.net/qweenbee/8903390
추산쑥부쟁이 싹 : http://blog.daum.net/qweenbee/8903780
해국/추산쑥부쟁이/섬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1702
미국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8998 http://blog.daum.net/qweenbee/8886757
http://blog.daum.net/qweenbee/8901943
미국쑥부쟁이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1582
쑥부쟁이류(몽골) : http://blog.daum.net/qweenbee/8898750
긴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3424 http://blog.daum.net/qweenbee/8904508
긴쑥부쟁이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903427
쑥부쟁이/가새쑥부쟁이/갯쑥부쟁이/단양쑥부쟁이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90856
쑥부쟁이와 갯쑥부쟁이 비교 : : http://blog.daum.net/qweenbee/8887231
쑥부쟁이/갯쑥부쟁이/가새쑥부쟁이 살피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88954
섬쑥부쟁이/까실쑥부쟁이/갯쑥부쟁이/미국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6925
새싹 비교-가새쑥부쟁이/쑥부쟁이/단양쑥부쟁이/긴쑥부쟁이/갯쑥부쟁이/섬갯쑥부쟁이/눈갯쑥부쟁이/왕갯쑥부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3483
'들꽃공부방 > 풀나무 비교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장나무/보리밥나무/보리수나무 비교 (0) | 2011.11.24 |
---|---|
속속이풀/개갓냉이/좀개갓냉이 (0) | 2011.11.08 |
박달나무/개박달나무/물박달나무/자작나무/사스래나무/거제수나무 비교 (0) | 2011.09.27 |
좀돌팥/새팥 비교 (0) | 2011.09.21 |
좀돌팥/새팥(콩과) 다시 살피기 (0) | 2011.09.09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