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783

두메닥나무 탐사기 2010. 4. 18. 강원도. 너무 먼 길이었다. 지난 가을부터 이 녀석 보자고 벼르기를 8 개월. 필 때 쯤 깨우쳐 달라는 ㅅ님의 대답에 기대를 걸고 3월 부터 두메닥나무를 노래 불렀다. 드뎌~! 오늘 ㅅ님, 이**님, ㅍㅆ님과 원주 새말IC에서 합류하여 두 시간 가까운 거리를 달려 정선군 최북쪽 산자락 계곡에 도착.. 2010. 4. 19.
(개)키버들/(당)키버들?? 암꽃 수꽃 2010. 4. 17. 영양. 올 봄에는 버드나무 종류를 많이 들여다 보았는데 꽃의 모양이 참 다양하다. 이 녀석의 꽃은 가늘면서 길고 휘어져 있다. 암꽃 같은데 꽃술이 붉다. 키버들 종류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꽃동무님께서 포 색깔이 전체가 검은색이라서 개키버들쪽을 추천해 주시니 힘을 얻어.. 2010. 4. 18.
꿩의바람(미나리아재비과) 2010. 4. 17. 영양. 이곳 꿩의바람은 키가 작고 왜소하다. 메말라서 그런가? 손님이 찾아 들었길래 카메라를 들이대는데 날아가지도 않는다. 무척 예민한 녀석이라 다른 곳에서는 날개를 움직이면서 꿀을 빨던데 이 곳의 녀석들은 느긋한 성격인가 보다. 2010. 4. 17.
얼레지(백합과) 2010. 4. 17. 영양. 올해 첨 만난 얼레지 먼길 달려 갓는데 몇 포기 없는 곳이라 다 져버리고 딱 한포기 활짝 펴서 바람 자락에 춤을 추고 있었다. 얼레지는 몇잎은 2장으로 마주보는 것처럼 달리는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나 주름이 지기도 하며, 잎에 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4월경 잎 사이에서 나온 꽃자루.. 2010. 4. 17.
민둥뫼제비꽃 2010. 4. 17. 영양. 자그마한 땅꼬마 처럼 바닥에 바짝 붙어서 피어 있다. 너무 작아서 그냥 지나칠려다가 들여다 보니 민중뫼제비 같다. 근데 제비꽃은 너무 종류가 많아서 머리 아프다. 2010. 4. 17.
산개나리(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2010. 4. 17. ㅁㅇ 삼거리. 길 옆 벼랑에 잎이 둥그스름 넓으니 만리화로 보이는 녀석이 산다. 그런데 꽃은 영락 없는 개나리다. 잎이 아니면 개나리라고 우겨도 할 말이 없겠다. 작년에 이 녀석을 보았을 때 잎을 담지 못하였다. 애기송이풀 담으러 올 때 잎을 담아야겠다. 5월에 찾아가서 잎이 넓은 난형으로 뒷면에 털이 밀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개나리로 봐야 하나? 산개나리로 수정한다. 특이하게도 이 벼랑에 만리화가 몇 그루 자생한다. 아래로 내려다 보는 물을 보니 후덜덜... 2010. 05. 05. 다시 찾은 벼랑에는 꽃은 다 지고 너브데 한 잎이 나 있었다. 잎 뒷면에 잔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미선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15 https:/.. 2010. 4. 17.
꼬리까치밥나무(범의귀과) 2010. 4. 17. 이 곳을 일찍 찾으려 했는데 일정이 바뀌는 바람에 늦게 찾았더니만...5시가 넘어 그늘이지고 어두워 졌다. 에거~! 아쉬운대로 몇 장 담았지만 다시 와야겠다. 달래 수꽃, 삿갓우산이끼, 좀고사리로 추정되는 녀석도 담아야 하고 누른괭이눈 수술 꽃밥도 다시 담아야하니까. 꼬리까치밥나무 .. 2010. 4. 17.
애기중의무릇(백합과) 2010. 4. 17. 영양. 얼레지를 보러 한 시간 반이나 달렸는데... 몇 송이 되지 않는 얼레지는 다 져버리고 애기중의무릇만 가득 피어 있었다. 그래도 오가는 길 봄 햇살에 막 기운 내고 있는 초록 잎새의 정겨운 손짓이 시장기도 잊게 한다. 애기중의무릇 : https://qweenbee.tistory.com/8891490 https://qweenbee.tistory.com/8889650 https://qweenbee.tistory.com/88876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378 https://qweenbee.tistory.com/8897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018 https://qweenbee.tistory.com/.. 2010. 4. 17.
주목(주목과) 수꽃 2010. 4. 16. 댐 부근 주목은 암수딴그루다. 열매가 달리는 나무가 따로 있다. 학교 마당의 나무는 수그루라서 꽃은 많이 피는데 정작 빨간 열매는 구경조차 하지 못한다. 작년 초겨울 댐 부근에 조경된 주목나무에서 열매를 담았었는데 퇴근하면서 암꽃을 담으러 갔다. 헌데 어느 나무가 암.. 2010. 4. 17.
백목련(목련과) 2010. 4. 15. 백목련 꽃이 탐스럽게도 피었다. 이 녀석은 중국 원산으로 정원에서 피는 대부분의 꽃이 백목련이다. 한국의 토종 <목련>은 제주에 자생한다고 하는데 꽃잎 기부가 붉은 색이 있고, 꽃잎 조각이 6~9장이며 꽃받침은 3장이나 매우 작다. <백목련>은 꽃잎 조각이 6장 꽃받침.. 2010. 4. 16.
장수만리화(물푸레나무과) 2010.4. 13. 구미. 장수만리화라고 이름이 붙어 있다. 꽃은 영락 없는 개나리를 닮았는데 암술 주두가 3개로 갈라져 있고 수술도 3개다. 꽃은 4월에 피며 많이 달리며 길이 6mm의 소화경이 있고 꽃받침 열편은 넓은 난형이며 밝은 황색이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다. 가지는 회색 또는 암회색이고 피목이 산재한다. 만리화와 달리 소지 기부에 융모가 있으며 잎은 대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거나 거의 없고 엽병은 길이 8-12mm이다. 만리화와 달리 잎에 윤채가 없다.어떤 종이든 어린 잎은 보소소한 털이 있기 마련이다. 가을의 잎 미선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 2010. 4. 16.
산괴불주머니(양귀비과 현호색속) 2010.4.15. 흔해 빠진 녀석이라고 곁을 주지 않았다. 덩치도 큰 녀석이라 곱다거나 귀엽다는 느낌이 들지 않으니 별로 호감을 얻지 못했던 거다. 지 생긴 모양이 그러하니 눌 탓하랴마는 그래도 모양 낸다고 한껏 노랗게 치장을 했는데, 제 딴에는 무척 섭섭했을 거다. 지 노력이 가상하니 한 번 쯤은 담아주어야 저도 꽃 피운 보람 있지 않겠나. 현호색과에 속하는 2년초다. 줄기 속은 비어 있고 뿌리는 밑으로 곧게 뻗는다. 잎은 어긋나며 깃털처럼 갈라져 있다. 꽃은 이른 봄부터 이른 여름에 걸쳐 노랗게 줄기 끝에 무리져 피는데, 열매는 크기가 2~3㎝쯤 되는 삭과(蒴果)로 콩꼬투리처럼 움푹 패어 있으며 씨는 검정색이다. 괴불주머니 종류로 염주괴불주머니, 갯괴불주머니, 선괴불주머니, 눈괴불주머니, 자주괴불주.. 2010. 4. 16.
개암나무 암꽃의 변화 2010. 4. 13. 이 녀석은 구미자연학습원에서 담은 건데 패찰에 기냥 라고 되어 있었다. 개암나무 암꽃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궁금하야 살펴보니 암꽃의 인편 사이에서 어린 잎이 돋아 나고 있었다. 이 녀석은 잎눈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꽃과 잎이 함께 있는 혼아로 암꽃을 싸고 있는 비늘 안에 어린 잎이 숨어 있어서 암꽃이 핀 후 어린 잎과 줄기가 성장을 하는 것이었다. 동아의 인편 사이에 있던 잎이 부쩍 자라고 있다. 참개암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24 http://blog.daum.net/qweenbee/8889542 http://blog.daum.net/qweenbee/8893264 http://blog.daum.net/qweenbee/88881.. 2010. 4. 16.
가지청사초 2010. 4. 15. 사초류 머리 아프다. 그늘사초 같기도 하고 가지청사초 같기도 하고... 이미지를 확인해 보니 가지청사초 쪽에 가깝다. 최종 확인은 다시해 봐야 겠다. 2010. 4. 16.
달래(백합과) 2010. 4. 15. 달래 꽃이 피었다. 옆에 인기를 끄는 깽깽이가 있으니 누가 눈여겨 봐 주랴만그래도 앙징스러운 모습으로 제 할 소임을 다하고 있다. 세 갈래 암술이 보이는데 제대로 담지 못하였다.          산마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3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3산마늘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8344 극동동산마늘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9305              https://qweenbee.tistory.com/8907955극동동산마늘 싹 :.. 2010.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