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423

몽골식물 - 붉은범의귀아재비(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Micranthes hieracifolia (Waldst. & Kit. ex Willd.) Haw. 2025. 6. 25. 2023년에 흡수굴에서 급하게 몇 장 찍은 녀석이라 이번에도 다시 보고싶던 녀석이었다. 역시 습지를 헤메며 탐사하는데 일행이 이게 뭐내고 물어오는데 바로 붉은범의귀아재비 이 녀석이었다.어찌나 반갑던지 정신 없이 찍어 대었다. 북극에 있는 다산과학기지에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북극의 식물 연구물 중에서이 녀석을 붉은범의귀아재비로 명명해 두었다. (북극 툰드라에 피는 꽃) 바위취 :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8바위취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1942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9 바위떡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6 h.. 2025. 7. 12.
몽골식물 - 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sibirica (L.f.) Pers 2025. 6. 21. 몽골 테를지. 테를지공원 숲을 탐사하는데 작은 꽃에 시선이 갔다.꽃이 작아서 무슨과인지 얼핏 짐작을 못했는데화면을 보다가 양귀비과 현호색속 같다는 생각을 했다. 꽃의 형태는 괴불주머니절 쪽으로 보이는데, 전초도 무척 작았다.일본 대설산 탐사 때도 숙소 주변 산자락을 뒤지다가 일본 고유종인 멸종위기종 괴불주머니절 녀석을 촬영한 적이 있어서 이 녀석도 은근 기대가 되었다.도감을 검색을 해 보니 Corydalis sibirica 에 근접하긴 하는데 이 녀석은 상하 외화판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거치가 있는 특징이 있다.중국식물지에서 노란색, 백색의 화색을 가진 이미지가 많이 검색이 된다. 중국식물지의 세밀화 삽화와 일치한다.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 2025. 7. 12.
몽골식물 - 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 2022. 7. 2. 몽골, 테를지. 거가 매우 짧은 괴불주머니 식구 녀석이다.정체를 밝히지 못하여 쳐박아 두었던 녀석이다. 몽골식물 도감과 큐박물관의 이미지로는 Corydalis sibirica 의 사진과 일치하는데중국식물지의 세밀화의 열매와 포엽 모습은 이 녀석과 다르다. 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9 선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6선괴불주머니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4728 https://qwe.. 2025. 7. 12.
몽골식물 - 북극송이풀 (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oederi Vahl 2025. 6. 24. 몽골 흡수굴.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넓게 분포한다.김찬수박사는 알타이식물 탐사기에서 이 녀석을 "북극송이풀"이라 명명하였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 2025. 7. 12.
몽골식물 -털복주머니란(난초과 복주머니란속) Cypripedium guttatum Sw. 2025. 6. 24. 몽골 흡수굴. 몽골의 산지나 초원으로 난 거미줄 같은 길을 용케도 찾아가는 몽골 기사들의 눈 네비게이션은 참으로 감탄할 만하다.작은 개울이나 습지, 호수변의 길은 울렁 울렁 곡예를 하듯이 빠져나가야 해서 운전을 하지 않는 내 발에 저절로 힘이 들어갈 정도로 긴장을 한다.목적하던 흡수굴의 산 아래까지 가다가 험한 길 때문에 결국 털복주머니란 보기를 포기하고 되돌아 나오던 중.차를 앞세워 먼저 보내고 걸어가면서 탐사를 해보자는 내 의견에 따라 수변을 탐사하였다..몇 걸음 앞서서 바삐 뒤지던 고 대장이 한 무더기 털복주머니란을 찾아 놓고서 빨리 와라 소리친다.워낙 험한 길에 울렁 울렁 롤링이 심하여서 가다가 포기하고 되돌아 나오던 길이라털복주머니에 대한 미련이 가득하던 차에 눈 앞에 큰.. 2025. 7. 11.
몽골식물 - 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Anemonastrum crinitum (Juz.) Holub 2025. 6. 22-25. 몽골 테를지와 흡수굴의 숲 여기 저기서 가장 흔하게 만나는 녀석이다.Anemonastrum crinitum은 국가표준식물목록의 바람꽃 Anemone crinita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는 녀석이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바람꽃(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 https://qweenbee.tistory.com/8910842 https://qweenbee.tistory... 2025. 7. 11.
백두산식물-숲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Anemone umbrosa C.A.Mey. 2025. 6. 8. 중국 장안진. 숲바람꽃은 이미 시기가 늦어서 거의 다 시들고 있었는데다가.자꾸만 오라고 불러서 몇 컷 밖에 촬영할 수가 없었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바람꽃(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 https://qweenbee.tistory.com/8910842 https://qweenbee.tistory.com/8911716 https://qweenbee.tistory.com/8910.. 2025. 7. 11.
몽골식물-바이칼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Anemone baicalensis Turcz. 2025. 6. 24. 몽골. 흡수굴로 이동하는 중에 고도가 높은 산마루를 넘게 되었다. 길을 잘못 들어서 처음 넘게 되다는 고개인데 내리막 금경사길에 긴장을 하고 있는데 살길 급한 비탈이 꽃밭이다. 황급히 스톱은 외쳐서 차를 세웠는데 여기서 꽃을 한송이씩 달고 있는 바람꽃을 만났다.도감과 외국 자료를 확인하니 바이칼바람꽃이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바람꽃(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 https://q.. 2025. 7. 11.
세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Anemone stolonifera Maxim. 2025. 5. 10. 제주. 1100고지라서 아직 어린 모습으로 피기 시작하고 있다. 이 곳도 예취기로 풀베기를 하는 바람에 봄꽃들이 제대로 개화할 틈 없이 수난을 당한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바람꽃(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 https://qweenbee.tistory.com/8910842 https://qweenbee.tistory.com/8911716 https://qweenbee.t.. 2025. 7. 10.
제주도식물 -갯잔디(벼과 잔디속) Zoysia sinica Hance 2025. 5. 6. 제주 성산. 잔디 : blog.daum.net/qweenbee/8906493 blog.daum.net/qweenbee/8894139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78 https://blog.daum.net/qweenbee/8909150 푸른잔디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97 https://blog.daum.net/qweenbee/8909148 금잔디 : blog.daum.net/qweenbee/8906544남방잔디 왕잔디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653 https://blog.daum.net/qweenbee/8909149.. 2025. 7. 10.
제주도식물- 좀매자기 Bolboschoenus planiculmis (F.Schmidt) T.V.Egorova 2025. 5. 9. 제주성산. 매자기 : 큰매자기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73 https://qweenbee.tistory.com/8912162 좀매자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7929 http://blog.daum.net/qweenbee/8887999 http://blog.daum.net/qweenbee/8903979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72 https://qweenbee.tistory.com/8912159좀매자기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649 중매자기 : 2025. 7. 10.
푸른갯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setchuensis var. effusoides Buchenau 2025. 5. 골풀에 비하여 줄기가 분녹색을 띠고 줄기에 능선이 뚜렷하고 씨방은 1실로 되며, 갯골풀에 비해 수술을 3개이다. 골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6 https://qweenbee.tistory.com/8904056 https://qweenbee.tistory.com/8888322 https://qweenbee.tistory.com/8904343 검정납작골풀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7 https://qweenbee.tistory.com/8904327 https://qweenbee.tistory.com/8910471검정납작골풀 꽃 : https.. 2025. 7. 10.
몽골식물 -으아리속 종덩굴류 (시베리아종덩굴)Clematis sibilica (L.) Mill. 2025. 6. 25. 흡수굴 호수변. 아이보리색의 종덩굴이 차를 멈추게 한다.학명상으로 봐서는 시베리아종덩굴로 불러주면 되겠다. 종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402 https://qweenbee.tistory.com/8892284https://qweenbee.tistory.com/8892406 https://qweenbee.tistory.com/8893989 https://qweenbee.tistory.com/8894086 https://qweenbee.tistory.com/8895967 https://qweenbee.tistory.com/8896301 https://qweenbee.tistory.com/8902983종덩굴 새싹 .. 2025. 7. 9.
베르바스쿰 블라타리아 (현삼과 우단담배풀속) Verbascum blatttaria L. 2025. 7. 8. 경북. 이른 아침부터 덥다.뉴스에서 연일 전히는 폭염소식은 완전 가마솥을 연상시킨다.밤에도 열대야로 에어컨을 끌 수가 없다. 가까운 곳에 살고 있는 우담담배풀속 녀석이 해가 오르면 꽃잎을 접는지라몇 가지 표본도 해야 해서 이른 시각에 집을 나섰다. 매년 늦은 봄 쯤에 봉오리도 맺기 전에 풀베기 작업으로 예취기 칼날에 잘려 나가서 속이 쓰렸는데그제 인천에서 내려 오면서 얼피 노란꽃대가 보이는 듯하여 차를 세웠더니 거의 한 달을 백두에, 몽골에 소청조까지 돌아다니는 사이에 잘린 원줄기 옆에서 잔가지를 풍성하게 올려서 열매까지 달고 있다.작년에 받아 두었던 씨를 주변에 좀 뿌려주어서 그런가 개체 수도 많아진 것 같다. 이 녀석은 국명은 아직 없지만 재배식물 목록에 학명이 올라 있다. 그래.. 2025. 7. 9.
몽골식물-개제비란(난초과 개제비란속) Dactylorhiza viridis (L.) R.M.Bateman & Pridgeon & M.W.Chase 2025. 6. 26. 흡수굴호수변. 2025. 6. 25. 흡수굴호수변. 2025.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