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596

호비수리(콩과 비수리속) Lespedeza davurica (Laxm.) Schindl. 2025. 8. 23. 꽃받침 열편이 바늘처럼 가늘고 열매보다 훨씬 긴 게 특징이다. 비수리 :https://qweenbee.tistory.com/8890791 https://qweenbee.tistory.com/8886378https://qweenbee.tistory.com/8906292 https://qweenbee.tistory.com/8900355https://qweenbee.tistory.com/89046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292https://qweenbee.tistory.com/8907845 비수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154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5. 9. 5.
날개카나리새풀(벼과 카나리새풀) 소수 2021. 6. 7. 남도의 섬. 바로 직전 해에 발표가 되었던 걸 모르고 미기록인 줄 알고 아주 신이 났던 녀석이다. 카나리새풀 :애기카나리새풀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47날개카나리새풀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46 https://qweenbee.tistory.com/8912340 갈풀 : https://blog.daum.net/qweenbee/8907361 https://blog.daum.net/qweenbee/8906468 https://blog.daum.net/qweenbee/8897830 https://blog.daum.net/qweenbee/8907362 .. 2025. 9. 5.
몽골식물-좀골담초(콩과 골담초속) Caragana microphylla Lam. 2023. 7. 2. 마지막숙영지 참골담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3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6https://qweenbee.tistory.com/8899582 https://qweenbee.tistory.com/8902644 https://qweenbee.tistory.com/890807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83참골담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 2025. 9. 3.
몽골식물 -애기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bufonius L. 2025. 8. 4. 몽골. 테를지국립공원 주변 습지와 3번째 숙영지 주변 작은 하천에서 만난 녀석이다.국내에도 석호와 대구의 습지에서 드물게 보이는 녀석이라 더 반갑다. 2025. 8. 3. 테를지습원에서 2025. 9. 2.
백두산식물 -녹연변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 Asarumyeonbyeonense var. viridiluteolum (Y. Lee) M. Kim & S. So 2024. 5. 12. 중국 송강하. 백두산 위에 눈이 내려서 북백두 산문이 개방되지 않았다.산문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 관광객이 산문밖에 몰리는 바람에 몇 안되는 식당이 북새통이라. 대기로 인하여 점심식사가 늦어지는데 우리들은 탱큐이다.그 시각에 주변 숲을 어정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곳에서 봤던 연두색 족도리풀의 정체를 밝히지 않고 팽개쳐 두었다가 이제사 정리한다.2010.12 식물분류학회지에 소순구외 3인이 발표했던 연변족도리풀이었던 것이다.백두산 주변에서 족도리풀속의 1신종인 연변족도리풀(Asarum yeonbyeonense M. Kim & S. So)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연변족도리풀은 엽병에 털이 있고 꽃받침 열편이 뒤로 젖혀져 서울족도리풀이나 만주족도리풀과 매우 유사하나, 꽃받침 .. 2025. 9. 1.
몽골식물 -가시까치밥나무(까치밥나무과 까치밥나무속) Ribes diacanthum Pall. 2023. 6. 26. 몽골. 첫날 숙소 주변에 울타리용으로 심겨져 있던 녀석이다.이 녀석의 엽형이 삽화그립 1,2와 같고 마주나는 가시가 있는 것으로 가시까치밥나무로 최종 동정한다. 까마귀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40 https://qweenbee.tistory.com/8887662https://qweenbee.tistory.com/8891622 https://qweenbee.tistory.com/8895336https://qweenbee.tistory.com/8895595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9 https://qweenbee.tistory.com/8897391 https://qwe.. 2025. 9. 1.
큰조롱(협죽도과 백미꽃속) 열매 Cynanchum wilfordii (Maxim.) Maxim. ex Hook.f. 2025. 8. 28. 소청도. 섬 전체에 이 녀석이 엄청 흔하게 보여서 깜짝 놀랐다.민박집 이웃 물탱크에도 녀석이 기어 올랐다. 흑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4214https://qweenbee.tistory.com/8888505흑박주가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235 https://qweenbee.tistory.com/8894479 https://qweenbee.tistory.com/8901498 덩굴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26 https://qweenbee... 2025. 8. 31.
넓은잎큰조롱(협죽도과 백미꽃속)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2025. 8. 28. 서해섬. 약재로 재배하던 녀석이 일탈하여 야생화 되어 자라고 있다.한약재명으로 중국명 이엽우피소라 불리던 녀석이었는데2010년 경 이 녀석을 큰조롱이라고 속여서 농가에 보급하여 재배하게 되었고그걸 제약회사에 납품이 되이 큰 문제가 생겼던 적이 있다. 흑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4214https://qweenbee.tistory.com/8888505흑박주가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235 https://qweenbee.tistory.com/8894479 https://qweenbee.tistory.. 2025. 8. 31.
곽향(꿀풀과 곽향속) Teucrium veronicoides Maxim. 2025. 8. 29. 서해섬. 오랸만이다. 아그야. 분명 기존 조사 목록에는 곽향이 기록되어 있는데2차 조사 때까지도 눈에 띄지 않아서 도데체 어디서 보일까 궁금했었는데7월 개화 시기에 이 곳을 차를 타고 지나 버렸던 이유로 미처 보지 못했던 것이다. 1, 2차 때에는 숙소에서 가장 먼 곳까지 민박집 차량으로 이동하여 되돌아 걸어오면서 조사를 하였더랬는데3차에는 전 구간을 시작부터 걸어다니기로 생각을 했다. 3차에는 기간이 2박 3일로 조가 시간이 짧기는 하지만2차례의 조사 때 거의 목표량을 도달했기에 서두르거나 조급해 하지 않고 여유있게 조사하려 생각을 했었다. 1일 차는 섬 도착 후 오후 시간에만 살폈는데 채집할 종이 많아서 80 종이 넘어서 생각보다 많은 양에 깜짝 놀랐다.2일 차는 조사 범위.. 2025. 8. 30.
금방망이(국화과 금방망이속) Senecio nemorensis L. 2025. 8. 28-29. 서해 섬. 6월부터 섬지역 식물상 조사를 하면서 숲에 금방망이가 산재해 있는 것을 보고설레는 마음으로 개화를 기대했는데 숲 아래라서 그런지 생각보다 눈길이 갈 만큼의 이쁜 군락은 보여주지 않았다.그래도 이렇게 편안하게 금방망이를 만날 수 있어서 섬식물상 조사의 호사를 누리게 된다. 금방ㅁ망이의 국내 자생은 서애의 섬 몇 군데와 한라산이다. 백두산에도 자생하고 는 있지만 중국을 통해서 가야만 만나볼 수있다.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준위협(NT)종에 등록이 되어 있다. 금방망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1https://qweenbee.tistory.. 2025. 8. 30.
긴뚝갈(마타리과 마타리속) Patrinia monandra C.B.Clarke 2025. 8. 28. 서해 섬. 6월에 섬지역식물상을 조사 할 때 잎만 보고 마타리나 뚝갈이라 생각했던 녀석들이 모두 긴뚝갈이었다. 섬 전체에 매우 많은 군락을 이루는 듯이 많은 개체들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었다.아무튼 이렇게 많은 긴뚝갈을 한꺼번에 본 적은 없었던 것 같다.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종이다. 뚝갈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8267 https://qweenbee.tistory.com/8898913https://qweenbee.tistory.com/8903343 https://qweenbee.tistory.com/8903229뚝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7022뚝갈.. 2025. 8. 30.
몽골식물-분홍바늘꽃(바늘꽃과 바늘꽃속)Chamerion angustifolium (L.) Holub 2025. 8. 3.-6. 몽골 산지 여기저기 분홍바늘꽃이 한창이다. 바늘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50 https://qweenbee.tistory.com/8892351https://qweenbee.tistory.com/8894631 https://qweenbee.tistory.com/8898255https://qweenbee.tistory.com/8890744 https://qweenbee.tistory.com/8894538https://qweenbee.tistory.com/8901453 돌바늘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9716https.. 2025. 8. 29.
몽골식물-용담과 Gentianella amarella subsp. acuta (Michx.) J.M.Gillett 2025. 8. 6. 몽골 차강노르. 자주쓴풀처럼 꽃이 다닥다닥붙어 있어서 쓴풀속인가 했더니 속이 다르다. 원산지 범위는 시베리아에서 중국 북부, 아북극 아메리카에서 멕시코 북부로 세계적으로 폭 넓게 분포하고 있다. 구슬붕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75https://qweenbee.tistory.com/888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86517https://qweenbee.tistory.com/8900902 https://qweenbee.tistory.com/8901027 https://qweenbee.tistory.com/8901776.. 2025. 8. 28.
몽골식물-용담과 용담속 Gentiana macrophylla Pall. 2025. 8. 3. 6월에 줄기를 올린 모습을 보고 와서 궁금했던 녀석이 꽃을 피웠다.화관이 활짝 벌어지면 좋으련만 이른아침시간이라서 제대로 펼친 모습을 보지 못하여 아쉽다. 구슬붕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75https://qweenbee.tistory.com/888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86517https://qweenbee.tistory.com/8900902 https://qweenbee.tistory.com/8901027 https://qweenbee.tistory.com/8901776 https://qweenbee.ti.. 2025. 8. 27.
몽골식물-용담과 용담속 Gentiana riparia Kar. & Kir. 2025. 8. 6. 몽골 차강노르. 몽골식ㅁ물도감을 대조해본 이미지는 Gentiana riparia에 가장 근접하긴 하는데도감의 그림은 줄기가 매우 짧은데 이 녀석은 잎 마디가 더 길다. 구슬붕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75https://qweenbee.tistory.com/888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86517https://qweenbee.tistory.com/8900902 https://qweenbee.tistory.com/8901027 https://qweenbee.tistory.com/8901776 https://qween.. 2025.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