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742

대마도식물 -뿌리땅빈대(대극과 대극속) Euphorbia makinoi Hayata 2025. 10. 8. 대마도. 부두 주변을 탐색하다가 생소한 땅빈대속 녀석을 만났다.전초에 붉은기운이 강하고 잎이 누운땅빈대나 애기땅빈대보다 더 작다. 전초에 털이 전혀 없고 줄기가 바닥에 납작하게 붙어서 사방으로 퍼지고 있는 모습이다. 얼마 전에 땅빈대속에 미기록종이 보고된 녀석이 있는데 전초에 털이 전혀 없고줄기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는 특징이 있는 뿌리땅빈대라는 녀석이 있다. 그 학명으로 확인을 하니 결국 뿌리땅빈대였다. 아직 국내에서도 만나보지 못했던 녀석을 일본에서 만났다. 국내에 유입된 개체의 선체는 백색을 띠고 있는데 이 녀석은 약간 붉은색을 띠고 있다. 이 녀석의 원산지는 중국 남동부, 난세이 쇼토, 필리핀 대만인 아열대 생물 군계에 자생하는데, 일본은 자생이 아니라 유입된 외래종이다. .. 2025. 10. 20.
대마도식물 -애기땅빈대(대극과 대극속) Euphorbia maculata L. 2025. 10. 8. 대마도. 국내의 일반적인 애기땅빈대 모습과는 잎의 모습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오래 전 제주도에서 이상한 녀석이다 라고 개웃거리게 했던 그 녀석과 같다. 결국이 녀석도 열매의 누운털과 줄기의 털로 봐서 환경적 요인에 따른 애기땅빈대의 범주에 속하는 녀석으로.... 땅빈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383 https://qweenbee.tistory.com/88868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244 https://qweenbee.tistory.com/8897823 https://qweenbee.tistory.com/8900009 https://qweenbee.tistory.com/89016.. 2025. 10. 20.
대마도식물 -누운땅빈대(대극과 대극속) Euphorbia prostrata Aiton 2025. 10. 8. 대마도. 배가 일찍 도착하는 아침 식사를 하고도 바람에 차량을 받을 때 까지 두 시간의 여유가 생겼다.해서 히타카츠 항 주변의 식물을 살피기로 했는데 여기서도 누운땅빈대가 엄청 퍼져 있었다. 줄기는 땅 위를 기며, 사방으로 가지가 갈라지고, 붉은색 또는 녹색을 띠며, 흰색 털이 있다. 줄기, 잎 뒷면에 털이 많고 열매에도 털이 있다. 잎 뒷면은 백록색을 띤다. 줄기와 열매에 털이 있다. 땅빈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383 https://qweenbee.tistory.com/88868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244 https://qweenbee.tistory.com/8897823 ht.. 2025. 10. 20.
대마도식물 -검은재나무(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열매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2025. 10. 8. 대마도.긴 추석 연휴 끝머리 4일 동안 대마도를 다녀왔다.제주도에서 보기 힘든 몇종의 식물을 만남으로 무척 기분이 고조되었는데 검은재나무 열매도 그 중 하나였다.제주도에서는 망원렌즈 없이는 꽃을 촬영하기 어려운데대마도에서는 바로 코 앞에서 검은재 나무 열매를 담을 수 있으니 아주 만족스러웠다. 검노린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1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54 h.. 2025. 10. 19.
검은재나무(노린재나무과)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2025. 5. 11. 제주. 계곡부 바위에 올라서니 수고가 20m가 넘는 검은재나무가 하얗게 꽃을 피웠다.150m 렌즈로 당겨본들 새발의 피다. 그래도 꽃릉 피운 걸 본 거 만으로도 만족한다. 원본을 크롭해 봤지만 별무소득이다. 검노린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1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54 https://qweenbee.tistory.com/8895712 https.. 2025. 10. 19.
대마도식물 -사철검은재나무(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열매 Symplocos nakaharae (Hayata) Masam 2025. 10. 8. 대마도. 국내에도 남부지역 섬에서 발견된지 얼마되지 않는다.결실되는 열매가 소수인데다가 너도나도 따가는 바람에 열매를 촬영하지 못하였는데 대마도의 산지 여기 저기에 많은 개체의 나무를 만나서 아주 만족스러웠다. 까맣게 익은 그루도 있고 아직 녹색인 열매도 나타났다.산행은 힘이 들었지만 새로운 식물을 만나는 즐거움에 정상까지 따라갈 수 있었다. 검노린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1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699 https://qwe.. 2025. 10. 19.
섬쥐깨풀(꿀풀과 Mosla japonica (Benth. ex Oliv.) Maxim. f. thymolifera (Makino) T.Yamaz. & Murata 2025. 9. 16. 제주. 서귀포를 출발하여 천백휴게소, 용수리, 김녕해안으로 하여 제주를 완전 한바퀴 돌았다. 육지에서 만나던 섬쥐깨풀이 제주도에도 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직접 만나기는 처음이었다.해안 암반지대 위 한쪽에 아주 작은 무더기로 나타났는데 꽃동무의 안내가 없었으면 찾기 어려웠을 것 같다. 기본종에 비해 키가 작고 줄기에 옆으로 퍼진 백색 털이 있으며, 특히 마디에 밀생한다. 잎 양면에 선점과 더불어 백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밑부분의 것은 길이 5㎜ 정도이지만 위로 갈수록 잎과 더불어 짧아지고 긴 백색 털이 있다. 꽃받침과 꽃자루에도 긴 백색털이 있다. 울산에서 만났던 녀석들 보다 전초가 무척 커서 놀랐다. 산들깨 : https://qweenbe.. 2025. 10. 19.
산들깨(꿀풀과 쥐깨풀속) Mosla japonica (Benth. ex Oliv.) Maxim. 2025. 9. 14. 동네 앞산. 습한 무덤가에 가는잎산들깨랑 함께 살고 있는 이쁜 녀석이다.저지대에서 이 녀석을 만나기는 이 곳 밖에 없어서 녀석의 만남을 참 고맙게 생각한다.다행스럽게도 무덤 가를 약간 비껴난 자리에 살고 있어서 날카로운 예취기의 칼날을 비낄 수가 있어서 안심이 된다. 산기슭에 드물게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가는잎산들깨에 비해 잎이 난형이고 줄기에 털이 보다 많으며, 쥐깨풀에 비해 포가 크고 난형이다.이 녀석을 푸른산들깨로 분류하기도 했던 거 같은데 지금은 산들깨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었다. 산들깨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76 https://qweenbee.tistory.com/8899781 https://qweenbee.tisto.. 2025. 10. 19.
가는잎산들깨(꿀풀과 쥐깨풀속) Mosla chinensis Maxim. 2025. 9. 14. 동네 앞산. 습한 무덤가에 자리잡은 녀석이 마악 꽃을 피우기 시작하고 있었다.잎과 꽃받침의 선점에서 풍기는 향이 멋진 녀석이라 향취재로 개발해도 손색이 없는 녀석이다. 산들깨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76 https://qweenbee.tistory.com/8899781 https://qweenbee.tistory.com/8903167 https://qweenbee.tistory.com/8904417 https://qweenbee.tistory.com/8911433 https://qweenbee.tistory.com/8911508 https://qweenbee.tistory.com/8912478산들깨 신초 : ht.. 2025. 10. 19.
들깨풀(꿀풀과 쥐깨풀속) Mosla scabra (Thunb.) C.Y.Wu & H.W.Li 2025. 9. 14. 동네. 꽃받침, 화서잎줄기쥐깨풀 Mosla dianthera (Buch.-Ham. ex Roxb.) Maxim.위쪽 열편의 톱니가 얕게 갈라지고 둔하다화서에 털이 거의 없다난형, 넓은 난형톱니 크고 4~7쌍털이 없거나 표면에 누운 털화서 아래 마지막 잎의 잎자루가 길다 줄기 능상에 아래를 향한 짧은털, 화서에는 털이 없다들깨풀 Mosla punctulata (J. F. Gmel.) Nakai 위쪽 열편의 톱니가 깊게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다.화서에 퍼진 털이 있다긴 타원형, 좁은 난형톱니 작고 6-13쌍표면과 맥 위에 잔털화서 아래 마지막 잎의 잎자루가 거의 없다줄기와 화서에 잔털이 많다 꽃받침 열편의 콥니가 깊게 갈라지고 긴 타원형의 또는 좁은 난형잎에 톱니가 작고 많다. 화.. 2025. 10. 19.
대마도식물-섬공작고사리 (봉의꼬리과 공작고사리속) 2025. 10. 8. 대마도. 공작이 꼬리 깃을 펼친 듯 이쁜 녀석이다 공작고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3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8https://qweenbee.tistory.com/8902956 https://qweenbee.tistory.com/8907950https://qweenbee.tistory.com/8910702 섬공작고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76 암공작고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00081 https://qweenbee.tistory.com/8900082 https://qweenbee... 2025. 10. 10.
대마도식물 탐사기 1-사철검은재나무/검은재나무/동청목/ 조구등 외 2025. 10. 8. 대마도 첫날. 배를 타기 전 멀미약을 먹고 곯아 떨어졌더니 대마도 히타카츠항에 도착이다.생각보다 작은배 쾌속선은 부산 출발 후 1시간 30분 걸렸다.9시 40분 출항이지만 8시 40분으로 한 시간 당겨졌는데 기상악화가 그 이유였다. 바람이 좀 세고 파고가 좀 높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잠에 빠져서 다음은 기억이 없는게 오히려 다행이었다.작은 항구는 한국 관광객들만 바글거린다. 작은 식당에 들어서 1200엔 우동 한 그릇으로 늦은 아침식사 해결. 배는 일찍 도착했지만 렌트 차량을 받으려면 12시가 되어야 한다. 남는 두 시간은 당연히 항구 주변을 걸으면서 식물 탐사다.눈땅빈대 애기땅빈대. 아주 작은 첨보는 땅빈대가 주류.여기도 양미역취가 항구 마을을 점령하고 있다. 이 곳에는 많은 수의.. 2025. 10. 10.
대마도식물-우산물통이(쐐기풀과 몽울풀속) Elatostema umbellatum (Siebold & Zucc.) Blume 2025. 10. 8. 대마도. 제주도에서 귀하게 만나던 우산물통이를 가네다성 가는 길에 만났다. 섬공작고사리를 보러 차를 세웠는데 내가 발견한 것이었다. 제주도에서 보던 녀석을 만나니 어찌나 반갑던지. 물통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7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1https://qweenbee.tistory.com/8894040 https://qweenbee.tistory.com/8898076https://qweenbee.tistory.com/8898335 https://qweenbee.tistory.com/8899782https://qweenbee.tistory.com/8901436 h.. 2025. 10. 10.
작은잎물통이(쐐기풀과 물통이속) Pilea microphylla (L.) Liebm. 2025. 9. 25. 집 주변 보도블럭 틈에 퍼지고 있다는 작은잎물통이마침 사지포 조사 때문에 함께 모일일이 있어서 한 포기 얻었는데먼지같은 씨가 사방으로 마구 퍼지고 있다. 암꽃과 열매(붉은색) 물통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7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1https://qweenbee.tistory.com/8894040 https://qweenbee.tistory.com/8898076https://qweenbee.tistory.com/8898335 https://qweenbee.tistory.com/8899782https://qweenbee.tistory.com/8901436 htt.. 2025. 10. 10.
참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iria L. 2025. 10. 6. 동네 앞산. 꽃차례가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띠고 작은이삭이 불규칙적으로 달리며,이삭이 전체가 약간 아래로 처지고, 인편 끝의 까락이 매우 짧고 뭉툭하며 젖혀지지 않는다. 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3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0 흰(서울)방동사니 : h.. 2025.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