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12.
개회된 모습을 제대로 본 적이 없어서 올해는 시기를 놓지지 않으려고 벼르고 있었다.
지금 쯤 피지 않았을까 싶어서 이른 아침부터 1km 넘는 둘레길을 걸었다.
오늘 들러야 할 곳이 몇 군데 되어서 일찍부터 서둘렀는데
초입의 감태나무 상태는 마악 동아가 인피를 뚫고 새순을 내밀고 있는 중이라....




아직도 이파리를 떠나보내지 못한 이 녀석은 떨켜의 구실이 신통하지 않단다.

아직은 이르겠구나 하며 동아 싹을 촬영하는데
웃기는 것은 동아가 터지고 있는 새순 기부에 암술대를 내밀고 있는 꽃이
인피 사이에 끼어서 낑낑 거리며 안간힘을 쓰고 있지 않은가?

그 녀석 세상 밖으로 나오느라고 고생이 많다.

혹시나 더 성질 급한 녀석 있지 않을까 싶어서
개화 절정인 잔털벚나무와 벚나무를 촬영하며 계속 전진을 했더니
잔 가지가 많이 발생한 한 녀석이 새순 기부에 거의 모두 꽃을 내밀었다.


아직 개화 초기라서 화피편이 거의 벌어지지 않아서 선체도 화피편에 싸여서 잘 보이지 않는다.
하기사 워낙 꽃이 작으니 화피편이 벌어져도 헛수술은 보기 어렵다.


감태나무와 뇌성목의 꽃이 암꽃이라는 녀석은 분명한데,
수꽃의 역할을 하는 수꽃의 정체는 우리 나라에서는 확인된 바가 없다.


자방을 가진 이 암꽃은 3개의 수술 양쪽으로 2개씩 3쌍의 선체가 있고, 그 바깥쪽으로 6개의 수술이 있는데
이 9개의 수술은 꽃밥을 가지지 않아서 꽃가루를 생산하지 못하는 헛수술이다.
사진에 보이는 수술대 끝에 꽃밥주머니가 없다.


그러면 꽃가루를 날려주는 수술을 가진 수꽃이 분명 있어야 하는데 어디서도 그 꽃은 발견되지 않았으니
가루받이 없이 열매가 성숙하는 그런 경우가 되어 버린 것이다.
정자 없이 임신이 될 수도 있을까?
암꽃은 어디서도 수꽃 꽃가루를 받을 수 없으니 스스로 이를 해결하는 능력을 만든 것일까?
4~5일 후 다시 한 번 더 들러서 수술의 모습이 확인이 될 수 있도록 촬영해 봐야겠다




















비목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51 https://qweenbee.tistory.com/888985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51 https://qweenbee.tistory.com/8897344
https://qweenbee.tistory.com/8907072 https://qweenbee.tistory.com/8910344
비목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22 https://qweenbee.tistory.com/888668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330
비목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95033 https://qweenbee.tistory.com/8903553
https://qweenbee.tistory.com/8906406 https://qweenbee.tistory.com/8910115
감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9093 https://qweenbee.tistory.com/8902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8667 https://qweenbee.tistory.com/8910286
감태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8326 https://qweenbee.tistory.com/8887099
https://qweenbee.tistory.com/8886898 https://qweenbee.tistory.com/8889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1046 https://qweenbee.tistory.com/8894758
https://qweenbee.tistory.com/8906351 https://qweenbee.tistory.com/8898455
감태나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57
감태나무 새순 : https://qweenbee.tistory.com/8898613
감태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85 https://qweenbee.tistory.com/8905070
https://qweenbee.tistory.com/8906351
뇌성목 : https://qweenbee.tistory.com/8907352
털조장나무 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3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85
https://qweenbee.tistory.com/8895312 https://qweenbee.tistory.com/8902151
https://qweenbee.tistory.com/8902152 https://qweenbee.tistory.com/8903731
https://qweenbee.tistory.com/8906816
털조장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915
털조장나무 동아: https://qweenbee.tistory.com/8906403 https://qweenbee.tistory.com/8906404
https://qweenbee.tistory.com/8906817
생강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28 https://qweenbee.tistory.com/8887627
https://qweenbee.tistory.com/88877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354
https://qweenbee.tistory.com/8900676 https://qweenbee.tistory.com/8900677
https://qweenbee.tistory.com/8903590 https://qweenbee.tistory.com/8905219
https://qweenbee.tistory.com/89067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776
https://qweenbee.tistory.com/8908526 https://qweenbee.tistory.com/8908527
https://qweenbee.tistory.com/8910123
생강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554 https://qweenbee.tistory.com/8894916
생강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95045 https://qweenbee.tistory.com/8898953
https://qweenbee.tistory.com/8898953
산수유 : https://qweenbee.tistory.com/8898999 https://qweenbee.tistory.com/8887534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2 https://qweenbee.tistory.com/8893214
https://qweenbee.tistory.com/8903591 https://qweenbee.tistory.com/8906596
https://qweenbee.tistory.com/8906732 https://qweenbee.tistory.com/890852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58 https://qweenbee.tistory.com/8911807
산수유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872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352
생강나무/산수유 비교 : https://qweenbee.tistory.com/8887637
'들꽃자료실 > 수목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살구나무(장미과벚나무속) 2 (0) | 2022.04.16 |
---|---|
개살구나무(장미과 벚나무속) 1 (0) | 2022.04.15 |
두메닥나무(팥꽃나무과 백서향속) Daphne pseudomezereum A.Gray var. koreana (Nakai) Hamaya (0) | 2022.04.13 |
잔털벚나무(장미과 벚나무속) (0) | 2022.04.13 |
개살구나무(장미과 벚나무속) (0) | 2022.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