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26.
2017년 언론에 일본 특산식물인 통조화가 완도군의 무인도에 자생하고 있다고 보도가 되었더랬다.
식물원이나 농원에서 식재되어 있고 유통되고 있는 통조화로 발견 사실을 알렸더랬는데,
그 통조화가 2021년 12월 식물분류학회지 51호(4)에 완도술꽃나무란 이름으로 신칭 보고가 되었다.
2018년에 이어 지난 해 3월에도 이번에 논문을 발표한 오박사 일행과 함께 섬을 찾았더랬는데
그 때 통조화를 술꽃나무라 이름을 명명한다는 이야기가 있었더랬다.
화서의 형태가 마치 주렴을 늘어 뜨려진 것처럼 아래로 늘어져 있어서 형태적인 특징을 잘 설명한 듯 하여서
다들 좋다고 하였는데, 논문을 보니 '술"이란 접두어와 발견지인 완도를 함께 넣어서 완도술꽃나무라 신칭하였다.
2021년에 정리 배포된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통조화로 정리되어 있다.
적 요: 전남 완도군 섬지역에서 발견된 Stachyurus praecox Siebold & Zucc.를 우리나라 미기록 식물로 보고 한다. 이 수종은 일본의 난·온대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특산수종으로 알려져 왔다. 꽃은 총상화서에 달리며, 형태적으로는 양성화지만, 기능적으로는 자웅이주로 관찰되었다. 화관은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 꽃 잎과 꽃받침은 각각 4개이다. 국명은 최초 발견지 지역명과 꽃차례 모양이 장식용으로 달리는 여러 가닥의 실을 의미하는 뜻으로 쓰이는 “술”을 고려하여 “완도술꽃나무”로 신칭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재문과 도해, 사진을 제시하였다 |
지난 해 3월 하순에 만났던 완도술꽃나무이다.
길 없는 무인도 숲을 헤치고 가느라 고생이 좀 심하였다.
암꽃양성화이다. 암술이 길어서 꽃잎 끝에서 보이고 수술은 자방의 1/2 길이로 짧다.




운 좋게도 묵은 열매가 달려 있는 걸 찾았다,



씨앗



수꽃양성화이다. 화서가 더 풍성하다


수꽃양성화도 수술이 8개로 수술과 암술의 길이가 거의 비슷한데 결실이 되지 못하고 통째로 떨어진다
![]() |
![]() |




히어리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52 http://blog.daum.net/qweenbee/8889553
http://blog.daum.net/qweenbee/8887658 http://blog.daum.net/qweenbee/8887104
http://blog.daum.net/qweenbee/8893286 http://blog.daum.net/qweenbee/8897220
http://blog.daum.net/qweenbee/8900665 http://blog.daum.net/qweenbee/8902150
blog.daum.net/qweenbee/8906843
히어리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281 http://blog.daum.net/qweenbee/8893748
http://blog.daum.net/qweenbee/8899674
히어리 동아 : http://blog.daum.net/qweenbee/8898937
완도술꽃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902129 http://blog.daum.net/qweenbee/8902148
blog.daum.net/qweenbee/8906842 https://blog.daum.net/qweenbee/8906845
blog.daum.net/qweenbee/8906846 (꽃 해부) https://blog.daum.net/qweenbee/8908122
완도술꽃나무 열매와 종자 : blog.daum.net/qweenbee/8906847
풍년화 : http://blog.daum.net/qweenbee/8887455 http://blog.daum.net/qweenbee/8897220
http://blog.daum.net/qweenbee/8895266 http://blog.daum.net/qweenbee/8897192
http://blog.daum.net/qweenbee/8898930
풍년화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377 blog.daum.net/qweenbee/8906450
풍년화 동아 : http://blog.daum.net/qweenbee/8898938
조록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3427 http://blog.daum.net/qweenbee/8887789
조록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1378 http://blog.daum.net/qweenbee/8889455
http://blog.daum.net/qweenbee/8887445 http://blog.daum.net/qweenbee/8894678
http://blog.daum.net/qweenbee/8894692 http://blog.daum.net/qweenbee/8895168
http://blog.daum.net/qweenbee/8903297
'들꽃공부방 > 신종 미기록종 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수리아재비 Tordylium maximum L. (0) | 2022.04.04 |
---|---|
모래별꽃(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pallida (Dumort.)] Crep. (0) | 2022.02.02 |
소화바늘꽃(바늘꽃과 바늘꽃속) Epilobium parviflorum Schreb. (0) | 2022.01.22 |
다도해산들깨(꿀풀과 쥐깨풀속) Mosla dadoensis K. K. Jeong, M. J. Nam & H. J. Choi 종자 (0) | 2021.12.22 |
다도해산들깨(꿀풀과 쥐깨풀속) 종자 Mosla dadoensis K. K. Jeong, M. J. Nam & H. J. Choi (0) | 2021.11.24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