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울릉도 식물428 왕매발톱나무(매자나무과) Berberis amurensis Rupr. f. latifolia (Nakai) W.T.Lee 2015. 5. 4. 울릉도. 해안 절벽에는 온통 왕매발톱나무 꽃으로 노랗게 장식이 되어 있다.높은 곳에 자리 잡고 있으니 접근이 쉽지가 않다.가던 길을 되돌아 와서 철책을 넘어서 겨우 접근하여 원하던 왕매발톱나무 꽃을 취할 수 있었다. 매발톱나무에 비하여 대형으로 잎이 둥글어서 품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넓게 매발톱나무에 통합하여 보는 견해도 있다제주도에 분포하는 섬매발톱나무는 가시가 매발톱나무보다 가시가 더 길고 화서가 소형인 점에서 매발톱나무의 변종으로 분류하지만왕매발톱나무와 함께 이 또한 매발톱나무에 통합하여 보는 시각도 있다 매자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65 https://qweenbee.tistory... 2015. 5. 14. 머루(포도과) 2015. 5. 4. 울릉도. 울릉도와 제주도에 분포하는 머루이다. 육지에는 왕머루와 개머루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가새잎개머루, 까마귀머루, 새머루는 주로 남부지역에 자생한다. 왕머루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6335 http://blog.daum.net/qweenbee/8890174 http://blog.daum.net/qweenbee/8894005 왕머루 열매 :.. 2015. 5. 13. 큰개미자리(석죽과 개미자리속) Sagina maxima A.Gray 2015. 5. 4. 울릉도 매년 담는 녀석이지만 울릉도라 다시 한 번 담아 준다. 5개의 암술 화경과 줄기의 선모 개미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79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9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473https://qweenbee.tistory.com/8886917 https://qweenbee.tistory.com/8895814https://qweenbee.tistory.com/8896178 https://qweenbee.tistory.com/8896370.. 2015. 5. 13. 달맞이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2015. 5. 4. 울릉도. 박수현 샘에 의하여 귀화식물로 확인된 녀석이다. 암수딴포기로 꽃받침통이 항아리처럼 동그랗게 부풀어 있는 모습이 특징이다. 아래는 길다란 암술을 뻗고 있는 암꽃이고 욘석은 수꽃이다 끈끈이장구채 : http://blog.daum.net/qweenbee/8888581 http://blog.daum.net/qweenbee/8888471 http://.. 2015. 5. 13. 감탕나무(감탕나무과) 2015. 5. 4. 울릉도. 옴마~!! 남쪽에서 보고싶어 하던 감탕나무 꽃을 울릉도에서 보다니 개화기를 맞추지 못하여 열매 자료만 잔뜩 올려 놓았는데 감탕나무 꽃이 핀 모습이 얼마나 반가웠는지. 암수딴그루이다. 개화기가 3~5월이라 이미 늦은 시기여서 어린 열매가 맺혀 있다. 그래도 수꽃은 .. 2015. 5. 13. 섬개회나무(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2015. 5. 4. 울릉도. 밤새 내린 비로 아직 물기를 채 말리지 않은 모습으로 이른 아침에 방문한 육지 아짐을 맞이한다. 그래도 비가 그쳐주어서 얼마나 다행한지 모르겠다. 울릉도라서 <섬>이란 접두어를 달고는 있다. 꽃은 개회나무처럼 전년지에 달리는데 개회나무에 비하여는 화관 열.. 2015. 5. 12. 전호(산형과 전호속) 2015. 5. 4. 울릉도. 5월 초순의 울릉도는 전호 꽃으로 숲 아래가 온통 하얗다. 총포는 없고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는 5-12개의 소총포가 있다. 줄기와 엽축, 잎자루에 털이 없이 매끈하다 사상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7 https://qweenbee.tistory.com/8891731 https://qweenbee.tistory.com/889413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529 https://qweenbee.tistory.com/8900445 https://qweenbee.tistory.com/8900446 https://qweenbee.tisto.. 2015. 5. 12. 유럽전호(산형과 전호속) 2015. 5. 3. 울릉도. 어쩍지 낯이 익지 않은 모습이라 그랬다. 화서의 모양만으로 개사상자의 개화 초기의 모습이라 생각하고서는 울릉도라서 엄청 일찍 피는구나 그랬지. 그래서 개사상자라 정리를 해 두었더니 유럽전호라는 의견이 들어 왔다. 아하! 아직 대면하지 못한 녀석인데 꼭 만나보고 싶었던 녀석을 이렇게 만나는 구나. 담아 온 사진을 다시 살펴보니 이 녀석은 꽃자루 꽃대, 줄기가 매끈한 것을.....잎의 열편도 둔하고 엽축과 엽병에도 백색의 퍼진 털이 많다. 열매의 수와 큰꽃차례와 작은꽃차례의 꽃의 수만으로 개사상자일 거 같다 정리를 했었는데 개사상자는 큰꽃차례와 작은꽃차례 꽃자루에 복모가 덮여 있고 줄기에도 복모가 있다는 걸 간과하였다. 해서 이 녀석은 유럽전호로 수정하여 정리한다. 또 한 종류.. 2015. 5. 12. 섬댕강나무(인동과) 2015. 5. 4. 울릉도. 거센 바람으로 자생지에서는 녀석을 만나지 못하고 심겨져 있는 녀석으로 위로를 한다육지의 털댕강나무에 비하여 잎양면과 꽃받침에 털이 없다 줄댕강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75 https://qweenbee.tistory.com/8890076https://qweenbee.tistory.com/88918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6 https://qweenbee.tistory.com/8893843 https://qweenbee.tistory.com/8897670https://qweenbee.tistory.com.. 2015. 5. 12. 섬꼬리풀(현삼과 개불알풀속) 2015. 5. 4. 울릉도. 이른 아침부터 성인봉에 올랐던 일행들이 오후 늦은 시각에 내려왔다. 일행 중 한 사람이 폰을 분실한 일로 시간이 많이 지체되어 2시가 넘어서야 하산을 하고 숙소에서 뒤늦은 점심을 해결하였다. 다행하게도 폰은 찾았지만 산 아래서 기다리던 다른 일행들이 심한 바.. 2015. 5. 12. 섬잣나무(소나무과) 2015. 5. 4. 울릉도. 섬잣나무라며 대구수목원에 심겨져 있는 녀석들은 일본에서 도입해서 심겨진 녀석으로 섬잣나무와 다른 녀석이다 울릉도에서 섬잣나무를 제대로 살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목원에 이름표를 달고 있는 그 잎이 짧은 일본오엽송을 섬잣나무로 입력이 되어 버렸었다... 2015. 5. 12. 섬잣나무(소나무과) 열매 2015. 5. 4. 울릉도. 열매가 꽤 크다. 일본 오엽송보다 훨씬 더 크다. 소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71 곰솔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2948 http://blog.daum.net/qweenbee/8895024 http://blog.daum.net/qweenbee/8895325 http://blog.daum.net/qweenbee/8895475 http://blog.daum.net/qweenbee/8897632 반송 : http://blog.daum.net/qween.. 2015. 5. 12.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