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울릉도 식물428

솔송나무(소나무과) 2015. 5. 4. 울릉도. 우리 나라에서는 울릉도에서만 자생한다. 아래는 수구화수이다. 암구화수를 찾았지만 어느 정도 자란 열매만 보여서 전년도에 달렸던 열매인 줄 알았더니 벌써 암구화수가 이렇게 자라 버린 거였다. 소나무과는 대부분 열매가 2년만에 성숙하여 종자가 결실하는데 이 .. 2015. 5. 12.
회솔나무(주목과) 수꽃 2015. 5. 4. 울릉도. 울릉도에 사는 주목나무라 생각하면 되겠다. 수피가 벗겨진 회솔나무 모습이다. 주목과 다를 바 없다. 소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71 곰솔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2948 http://blog.daum.net/qweenbee/8895024 http://blog.daum.net/qweenbee/8895325 http://blog.daum.net/qweenbee/8895475 .. 2015. 5. 12.
회솔나무(주목과) 암꽃 2015. 5. 4. 울릉도. 첨에는 이 녀석 동글동글한 수꽃을 보고 주목을 많이 심어 놓았네? 라 생각을 했다. 헌데 회솔나무란 이름표를 달고 있는 걸 보고 아차 했다. 여태 회솔나무를 소나무과로 잘못 생각하고 있어서 당연히 소나무 처럼 꽃을 피울거라 생각을 했었는데 꽃의 모습을 봐서는 주.. 2015. 5. 12.
개자리(콩과 개자리속) 2015. 5. 4. 울릉도. 이튿날은 다들 성인봉으로 올랐지만 정상에서 볼게 별로 없는데다가 일행들과 속도를 맞출 자신이 없어서 나는 도동 주변을 탐사하기로 하였다. 이른 아침 버스를 타고 사동에 내려서 3시간을 보내고 나니 바람이 너무 거세어서 촬영도 어렵고 저 멀리 산자락 숲에 노랗게 회오리쳐 오르는 송화가루를 보니 도시락을 펼칠 엄두도 나지 않는다 다시 숙소로 돌아가기 위해서 버스를 기다리렸다. 기다리는 시간이 무료하여 주변을 살피는데 노란 개자리 군락이 보인다 두어 장 담고 일서서서 버스가 오는가 싶어서 살피기를 반복하는데 옴마~! 어느새 시내버스가 코 앞에 나타났다. 급히 손을 흔들며 신호를 보내는데 멈칫하던 버스가 그냥 가버린다. 흐윽~!! 헌데 뒤따르던 덤프트럭이 서서 가지 않는다. 타라는.. 2015. 5. 11.
섬개야광나무(장미과 개야광나무속)Cotoneaster wilsonii Nakai 2015. 5. 4. 울릉도. 자생의 섬개야광나무가 반갑다.재작년 이 곳을 두 번인가 지났으면서도 찾지 못했던 녀석이다.고개를 들어서 위로 조금만 쳐다 봤더라면 금방 눈에 띄는 위치인데 여태까지 바닥 주변만 살피면서 지났기 때문에 보지 못했던 것이다.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둥근잎개야광 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1982 https://qweenbee.tistory.com/8893703             https://qweenbee.tistory.com/8893707    https://qweenbee.tistory.com/8897752            https://qweenbee.tistory.com/8907257둥근잎개야광 열매: htt.. 2015. 5. 11.
갯괴불주머니(양귀비과 현호색속) 2015. 5. 3. 울릉도. 바닷가나 울릉도, 제주도 섬 지역에서 자생하는 현호색속이다. 열매가 울퉁불퉁하고 띠처럼 넙적하며 암술주두가 V자 형이었다 암술주두 모습 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9 선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6 선괴불주머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728 https://qweenbee.tistory.com/8900167 선괴불주머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595 http.. 2015. 5. 11.
꾸지나무(닥나무과) 2015. 5. 3. 울릉도. 뽕나무과도 대부분 암수 딴그루이다.잎이 작고 꽃도 작아서 닥나무인가 하고 이야기가 있었는데 수꽃이 안 보인다.닥나무는 암수한그루인데 새순 기부에 피는 수꽃이 이미 떨어졌다면 알 수 없지만 이 녀석은 꾸지나무 암그루로 정리한다.                   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37    https://qweenbee.tistory.com/8899426           https://qweenbee.tistory.com/8907343닥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94     hhttps://qweenbee.tistory.com/8892095          https://.. 2015. 5. 9.
말오줌나무(인동과) 2015. 5. 3. 울릉도.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제주도에는 덧나무가. 강원도 지역에는 지렁쿠나무, 딱총나무는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늦은 여른 붉은 열매주저리가 늘어진 모습이 장관이다. 말오줌나무 덧나무 지렁쿠나무 딱총나무 암술머리 붉은색, 노란색, 화서에 털 전혀 없음, 아래로 처짐 암술머리 자주색, 화서에 짧고 뭉뚝한 돌기 암술머리 노란색, 화서에 길고 뾰족한 털 털지렁쿠-자방과 열매에 털 암술머리 노란색(긴혹 자주색-경남 지역) 화서에 길고 뭉뚝한 돌기 5~7개의 소엽, 양면에 털이 없음, 표면 광채, 소엽병 있음. 톱니 안으로 굽음 5~9개 소엽. 소엽병 있음 표면 맥 위, 잎 뒷면 털 있으나 변이가 심함, 톱니 안으로 굽음 5~9개 소엽. 잎 표면 맥 위, 엽축과 잎 뒷면 털 3~7개 소엽, 끝.. 2015. 5. 9.
섬괴불나무(인동과) 2015. 3. 울릉도. 6월에 왔을 때  붉게 매달린 열매가 고와서 넋을 잃고 보던 녀석이다그 꽃을 이제사 담는다.       괴불나무에 비하여 꽃자루가 길고 어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인동과 녀석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이 녀석도 수분이 끝이 나면 이렇게 노랗게 색이 변한다   벌써 어린 열매도 달려 있고                       괴불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3063https://qweenbee.tistory.com/8897766     https://qweenbee.tistory.com/8904786https://qweenbee.tistory.com/89.. 2015. 5. 8.
왕호장근(마디풀과 하수오속) 신초 2015. 5. 3. 울릉도. 역시 울릉도에만 자생하는 녀석이다. 호장근에 비하여 키가 엄청 큰 대형이다 호장근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62 https://qweenbee.tistory.com/8888563 (붉은) http://blog.daum.net/qweenbee/8890886 https://qweenbee.tistory.com/88978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051 https://qweenbee.tistory.com/889984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83 호장근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7887 (붉은) https://qweenbe.. 2015. 5. 8.
큰연영초(백합과) 2015. 5. 3. 울릉도. 석장의 잎을 치마처럼 활짝  펼치고 작은 꽃 송이 하나 품었다.육지의 연영초보다 화경이 더 짧고 화피 편 끝이 뾰족하고  좁으며 꽃밥과 수술대 길이가 같다.             연영초보다 화경이 더 짧고 화피편 끝이 뾰족하고 좁으며 꽃밥과 수술대 길이가 같다   큰연영초 : 화경이  짧고 화피편 끝이 뾰족하고 꽃밥과 수술대 길이 같다 연영초 : 화경이 길고 꽃밥이 수술대보다 길고 화피편(꽃잎) 끝이 둔하다                  연영초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1806     https://qweenbee.tistory.com/8897085https://qweenbee.tistory.com/8897629    https://q.. 2015. 5. 7.
풍게나무(느릅나무과 팽나무속) 2015. 5. 3. 울릉도. 이 녀석 열매자루가 길다. 풍게나무 아니면 검팽나무인데.... 검팽나무는 잎 꼬리가 좁 길게 뾰족하고 잎 양면에 털이 없다. 바람이 흔들어서 잎을 제대로 살피지 못하였다. 그냥 울릉도에 많이 자생하는 풍게나무로 정리한다 팽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6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965 https://qweenbee.tistory.com/8893695 https://qweenbee.tistory.com/889665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42 https://qweenbee.tistory.com/8893743 https://qweenbee.tistory.co.. 2015.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