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울릉도 식물428

왕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 2016. 5. 7. 울릉도. 나리분지 숲은 많은 것을 품고 있다. 5월 한낮의 햇살에 왕둥굴레도 커다란 잎을 흔들고 있었다. 울릉도에만 자생하는 녀석이다 왕둥굴레 : http://blog.daum.net/qweenbee/8897500 http://blog.daum.net/qweenbee/8897507 http://blog.daum.net/qweenbee/8899250 왕둥굴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24.. 2016. 5. 19.
큰두루미꽃(백합과 두루미꽃속) 2016. 5. 7. 울릉도. 나리분지 주변 숲 바닥은 온통 이 녀석 차지였다. 두루미꽃에 비하여 전초가 크고 털이 없으며 잎이 보통 3개이다 두루미꽃에 비하여 암술대가 짧고 3갈래러 갈라진다. 꽃차례의 꽃도 아주 풍성하다. 두루미꽃 큰두루미꽃 두루미꽃 큰두루미꽃 큰두루미꽃 : http://blog.daum... 2016. 5. 19.
고추냉이(배추과 고추냉이속) 2016. 5. 7. 울릉도. 주름제비란 10여 촉을 중심으로 다들 앉아 쏴에 집중하고 있는 사이 분지 가장자리와 산자락이 만나는 음습한 곳을 뒤졌다. 혹시나 고추냉이(겨자냉이)가 있나 싶어서. 작년에도 개체는 찾았지만 꽃이 다 져버린 상태였는데 북사면 아래 쪽이라 혹시나 늦둥이가 있을까 했는데 저만치서 꽃동무 한 분이 부르는 소리가 가깝다. 고추냉이(겨자냉이)를 찾았단다. 탐사를 마치고 숲을 빠져 나오다가 겨자냉이 무리를 우연하게 발견하였다. 아마도 숲 안에 자생의 조건에서 자랄 수 있도록 심어 놓고 관리를 받고 있는 듯 하였다. 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 2016. 5. 17.
주름제비란 2016. 5. 7. 울릉도. 초록의 숲에 우뚝 촛대를 세원 놓은 듯 길 밝혀 준 주름제비란 작년 그 자리 여전하게 서 있다. 5월의 울릉도 숲은 주름제비란의 천국이었다. 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358 구름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87 https://qweenbee.tistory.com/8898020 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87 https://qweenbee.tistory.com/8886277 https://qweenbee.tistory.com/8904806 하늘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305 https://qwee.. 2016. 5. 17.
후박나무(녹나무과 후박나무속)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2016. 5. 6. 울릉도. 상록수인 후박나무는 울릉도에서도 해안 절벽 주변에 많이 자생하고 있는데 도동항 주변에 흔하게 보인다.오래 전 울릉도에서는 후박나무 껍질을 이용하여 후박엿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그 후박엿이 호박엿으로 불려졌는데 그 바람에 후박나무가 수난을 당하게 되지 후박나무 껍질 이용을 금지하게 되었고그 이후 호박으로 진짜 호박엿을 만들었다고 한다. 온라인 상에 일본목련을 후박나무라 하여 잘못 기록된 걸 볼 수가 있는데안동에 있는 경북산림과학박물관 안에 심어 놓은 일본목련나무에도 후박나무란 이름표를 잘못 붙여 놓고 있다.             생달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67  https://qweenbee.tistory.com/8893761.. 2016. 5. 12.
섬광대수염(꿀풀과 광대수염속) 2016. 5. 6. 울릉도. 학포리에서 대절한 택시를 버리고 태화까지 산길을 걸었다. 아침에 도동 뒷산에서 만났던 섬광대수염 한 무리가 다시 반겨준다. 광대수염보다 아래쪽 줄기가 무척 굵고 털이 없다. 광대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887805 http://blog.daum.net/qweenbee/8893910 http://blog.daum.net/qween.. 2016. 5. 12.
갯괴불주머니(현호색과 현호색속) 2016. 5. 6. 울릉도. 울릉도에서 보이는 녀석들은 열매를 확인하지 않고도 대부분 갯괴불주머니일 듯하다. 열매 속 종자가 2줄로 배열하여 열매 너비가 더 넓고 열매 모양이 울퉁불퉁하다. 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9 선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6 선괴불주머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728 https://qweenbee.tistory.com/8900167 선괴불주머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 2016. 5. 12.
달맞이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2016. 5. 6. 울릉도. 이 녀석은 통구미 거북바위 옆 도로변 축대 위에서 퍼져 있는 녀석인데 원예종으로 들여온 녀석이 일탈하여 야생화 된 것 같다. 암수딴포기로 꽃받침 통부가 수꽃이 홀쪽하고 암꽃은 통통한 단지 모양이다.' 아래는 수꽃이다. 암꽃이다. 끈끈이장구채 : http://blog.daum.net/qw.. 2016. 5. 11.
마주잎꾸지나무(뽕나무과) 2016. 5. 6. 울릉도.. 꾸지나무나 닥나무의 암술은 붉은색을 띠는데 비하여마주잎꾸지나무는 암꽃이 크고 암술이 연노랑색에 가까운 연두색이다. 잎도 꾸지나무보다 더 크다.잎이 마주난다고 마주잎꾸지나무라 이름을 얻었지만 사실 이 녀석의 잎은 마주나기, 버금마주나기, 어긋나기가 다 나타난다.열매가 익은 때는 붉은 벌레들이 굼실거리는 모습을 하여서 좀 징그럽다. 암꽃이다.      수꽃이다.             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37    https://qweenbee.tistory.com/8899426           https://qweenbee.tistory.com/8907343닥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 2016. 5. 11.
섬시호(산형과 시호속) 2016. 5. 6. 울릉도. 이 녀석도 울릉도 특산식물로 복원지나 식물원에서는 쉽게 볼 수 있지만 자생의 모습은 만나기 어렵다. 어느 골짜기에 자생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지만 26명의 대 인원이 함께 찾아 갈 곳이 아니니 그냥 자생식물원에서 보는 걸로 넘어갈 수 밖에 없다. 참시호 : http://blog.daum.net/qweenbee/8890440 http://blog.daum.net/qweenbee/8898704 (몽골) http://blog.daum.net/qweenbee/8898757 (몽골) 시호 : http://blog.daum.net/qweenbee/8888629 http://blog.daum.net/qweenbee/8892668 http://blog.daum.net/qweenbee/88.. 2016. 5. 11.
섬괴불나무(인동과 괴불나무속) 2016. 5. 6. 울릉도. 잎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은데 특히 딧면에 털이 밀생하고 샘점이 있다. 꽃자루가 길고 어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괴불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56 http://blog.daum.net/qweenbee/8893063 http://blog.daum.net/qweenbee/8897766 괴불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 2016. 5. 11.
푸조나무(느릅나무과 팽나무속) 2016. 5. 6. 울릉도. 얼핏 보고 산뽕나무라 했던 녀석이 사진 정리하느라고 보니 푸조나무였다. 팽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6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965 https://qweenbee.tistory.com/8893695 https://qweenbee.tistory.com/889665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42 https://qweenbee.tistory.com/8893743 https://qweenbee.tistory.com/88922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084 https://qweenbee.tistory.com/8902716.. 2016.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