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울릉도 식물428

섬자리공(자리공과) 2015. 5. 4. 울릉도. 자리공과 다를 바가 별로 없는 녀석이라 이 녀석에 대한 논란이 분분하다 자리공 : http://blog.daum.net/qweenbee/8890417 http://blog.daum.net/qweenbee/8891996 http://blog.daum.net/qweenbee/8893805 http://blog.daum.net/qweenbee/8897798 자리공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901990 (섬)자리공 : http://blog.daum.net.. 2015. 5. 22.
섬버들(버드나무과) 열매 Salix caprea L. var. ishidoyana (Nakai) M.Kim 2015. 5. 16. 울릉도. 호랑버들과 떡버들의 중간 형태로 울릉도에 자라는 녀석인데 호랑버들과 별다를 차이가 없어서 호랑버들과 동일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버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1512 https://qweenbee.tistory.com/88933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6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8 https://qweenbee.tistory.com/8897312 https://qweenbee.tistory.com/8899041 ht.. 2015. 5. 22.
섬국수나무(장미과 조팝나무속) 열매 Spiraea insularis (Nakai) H.C.Shin, Y.D.Kim & S.H.Oh 2015. 5. 4. 울릉도. 재작년 울릉도 자생지에서 어렵게 만난 적이 있었는데 자생의 모습을 만나기 쉽지 않을 정도라 한다.자생식물원에 있는 녀석은 벌써 꽃이 다 져버렸다.네이쳐와 대부분 도감에서는 이 녀석이 산국수나무속으로 나와 있다.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ps://qweenbee.tistory.com/8902595https://qweenbee.ti.. 2015. 5. 22.
섬단풍(단풍나무과) 2015. 5. 4. 울릉도. 잎 11~13 갈래로 엄청 많이 갈라지는데 당단풍나무에 통합하여 보는 견해도 있다 단풍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726 http://blog.daum.net/qweenbee/8885925 단풍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141 http://blog.daum.net/qweenbee/8894813 http://blog.daum.net/qweenbee/8887251 http://blog.daum.ne.. 2015. 5. 18.
우산마가목(장미과 마가목속) Sorbus ulleungensis Chin.S. Chang 2015. 5. 4. 울릉도.  울릉도의 개체의 경우에는 꽃, 열매, 화서, 잎의 특징들이 한반도와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분류군들과 불연속 변이를 보임을 확인하여, 울릉도 개체의 신종 기재와 특징은 별개의 연구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2013. 박수경 , 길희영 , 김휘 , 장진성 의 논문 '한반도내 당마가목의 실체와 근연종과의 관계-전형질분석을 중심으로' )1. 탁엽은 침형이고 일찍 탈락(낙엽성)한다; 열매의 심피는 분리되어 있으나 밑부분이 약간 합생함; 소엽 뒷면에 털이 거의 없다; 동아는 붉은 색이며 털이 거의 없거나 정단부분에 일부 존재(한반도 개체는 검은색도 존재); 소엽수는 9-11개    3. 꽃 직경은 8-11 mm; 열매의 크기는 6.4-7.9 mm; 소엽수는 9-13개; 암술대 3-4.. 2015. 5. 18.
섬황벽나무(운향과) 2015. 5. 4. 울릉도. 섬황벽나무라 별도로 분류되어 있지만 육지의 황벽나무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황벽나무는 화서에 털이 있고, 잎 뒷면 맥 위에 긴 털이 있는 것은 털황벽이라 한다. 화태황벽나무는 코르크층이 얇고 가장자리의 털이 적으며 화서에 거의 털이 없는데 아마도 .. 2015. 5. 14.
식나무(녹나무과) 꽃과 열매 Aucuba japonica Thunb. 2015. 5. 4. 울릉도. 울릉도 숲에도 식나무가 드문드문 보이는데 자생 상태에서 꽃과 열매는 보지 못하였다.울릉자생식물원에서 거의 다 시들어 가는 꽃과 함께 아직도 달려 있는 붉은 열매를 담았다.                              생달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67  https://qweenbee.tistory.com/8893761                 https://qweenbee.tistory.com/8895793         생달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77  https://qweenbee.tistory.com/8889349https://qweenbee.tistory.co.. 2015. 5. 14.
참식나무(녹나무과) 새순 2015. 5. 4. 울릉도. 참식나무 새순을  멀리서 보면 가지 끝에 마치 꽃이 핀 듯 한 모습을 하여 착각을 하게 한다.       생달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67  https://qweenbee.tistory.com/8893761                 https://qweenbee.tistory.com/8895793         생달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77  https://qweenbee.tistory.com/8889349https://qweenbee.tistory.com/8894614   https://qweenbee.tistory.com/8898385   https://qweenbe.. 2015. 5. 14.
마주잎꾸지나무(뽕나무과 닥나무속) 수꽃 2015. 5. 4. 울릉도. 내륙보다는 동해안지역이나, 섬 지역에서 주로 만난다.꾸지나무보다 잎이 더 크고 두터운 느낌을 주는데 잎이 마주난다고 해서 달리 분류되어 있다.          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37    https://qweenbee.tistory.com/8899426           https://qweenbee.tistory.com/8907343닥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94     hhttps://qweenbee.tistory.com/8892095          https://qweenbee.tistory.com/8890242    https://qweenbee.tistory.. 2015. 5. 14.
마주잎꾸지나무(뽕나무과) 암꽃 2015. 5. 4. 울릉도. 꾸지나무보다 잎이 더 크고 마주나기라 마주잎꾸지나무라 하는데 울릉도와 제주도에 분포한다마주잎꾸지나무는 암꽃의 암술이 크게 붉지 않다.                       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37    https://qweenbee.tistory.com/8899426           https://qweenbee.tistory.com/8907343닥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94     hhttps://qweenbee.tistory.com/8892095          https://qweenbee.tistory.com/8890242    https://qweenbee.. 2015. 5. 14.
향나무(측백나무과 향나무속) 2015. 5. 4. 울릉도. 향나무는 정원수로 많이 식재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삼척이나 영월, 울른도, 의성 등지의 암석지대에서 자생한다 울릉도 도동항 절벽 위에 당당하게 자라고 있는 향나무는 키가 작고 줄기가 뒤틀린 모습이 많다. 편백 : http://blog.daum.net/qweenbee/8896969 http://blog.daum.net/.. 2015. 5. 14.
섬나무딸기(장미과 산딸기속) 2015. 5. 4. 울릉도. 울릉도에만 자생하는 산딸기속 녀석이다. 산딸기에 비하여 줄기에 가시가 없고(아주 드물게 있기도) 잎 뒷면 맥 위와 잎자루에 잔털이 밀생하는데 매우 작은 가시가 드문 드문 있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 산딸기 열매 : https://.. 201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