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울릉도 식물428

눈개승마(장미과 눈개승마속)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2013. 6. 16. 나리분지 울릉도에서는이 녀석을 삼나물이라고 부르며 소득작물로 산비탈 밭에서 재배하고 있다멀리 나리분지로 들어 오는 길이 보인다.    2013. 6. 8. 보현산.   승마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6804  https://qweenbee.tistory.com/8894295 https://qweenbee.tistory.com/8896805   https://qweenbee.tistory.com/8898150  https://qweenbee.tistory.com/8906077   https://qweenbee.tistory.com/8909501       https://qweenbee.tistory.com/8909732 승마 열매 : https.. 2013. 7. 9.
붉은가시딸기(곰딸기)(장미과 산딸기속) 2013. 6. 14. 울릉도. 잎의 모양은 멍덕딸기와 비슷하지만 화서가 위로 서고 붉은 가시침이 많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 산딸기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93 https://qweenbee.tistory.com.. 2013. 7. 5.
줄사철나무(노박덩굴과) 2013. 6. 14. 울릉도. 제주도나 남부 도서 해안 지역에 서식을 하는데 줄기에서 뿌리가 나와서 바위나 나무에 붙어 산다 줄사철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903378 http://blog.daum.net/qweenbee/8890237 http://blog.daum.net/qweenbee/8894027 줄사철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7436 http://blog.daum.net/qweenbee/88.. 2013. 7. 5.
애기쐐기풀(쐐기풀과) 2013. 6. 14. 울릉도. 애기쐐기풀은 흔하게 접하는데 쐐기풀의 실체를 만나본 적이 없다. 애기쐐기풀은 엽병이 잎 길이의 1/3 이상이고 선형의 탁엽이 4개이다 쐐기풀 잎은 결각상 복거치에 탁엽이 반 이상 합쳐지는 넓은 난형이라 한다. 쐐기풀은 어디서 볼 수 있을랑고? 큰쐐기풀 : http://blog... 2013. 7. 5.
좀깨잎나무(쐐기풀과) 2013. 6. 14. 울릉도. 풀거북꼬리이가 싶었는데 잎이 작고 톱니 수가 작은 걸 보니 좀깨잎나무이다. 2013. 7. 5.
등수국(수국과 수국속)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2013. 6. 14. 울릉도. 등수국은 이미 개화 절정기가 지나 버려서 화서 가장자리의 중성화 꽃이 거의 다 떨어져 버렸다.바위수국보다 잎의 거치가 자잘하고 중성화 꽃 모양도 이뻐서 여성적이다.중성화 꽃은 다 떨어져 버리고 한개만 남아 있다             수국 :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3수국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95207 산수국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590https://qweenbee.tistory.com/8894787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2https:/.. 2013. 7. 5.
바위수국(수국과 바위수국속) Schizophragma hydrangeoides Siebold & Zucc. 2013. 6. 16. 울릉도. 제주도와 울릉도 숲에는 덩굴을 올리는 등수국과 바위수국이 자생한다등수국은 중성화 꽃이 4장의 꽃받침잎을 가지고 잎의 거치가 자잘하며 잎 뒷면이 녹색인데바위수국은  중성화 꽃받침잎이 1장이고 잎의 거치가 크고 잎 뒷면이 녹백색을 띤다.개화 시기는 등수국이 조금 더 빨리 핀다.            수국 :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3수국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95207 산수국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590https://qweenbee.tistory.com/8894787   https://.. 2013. 7. 5.
섬국수나무(장미과 조팝나무속)Spiraea insularis (Nakai) H.C.Shin, Y.D.Kim & S.H.Oh 2013. 6. 16. 울릉도. 자생의 섬국수나무를 보고 싶었다.부지깽이나물을 재배하여 운반하기 위해 설치해 놓은 삭도 길을 따라 나뭇가지와 풀 줄기를 잡고 가파르게 올랐다.꽃은 이미 진 후라 기대하지는 않았지만 울릉도 식물을 꿰고 있는 꽃동무 덕분에 자생의 녀석을 본 것에 만족 한다. 우거진 숲 그늘이라서 후래쉬를 터뜨려야 했다.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 2013. 7. 2.
말오줌나무(인동과) 2013. 6. 14. 울릉도. 노란색 열매가 달리는 말오줌나무가 식재되어 있다. 자생종은 아닌 듯한데..신기하다. 말오줌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0 https://qweenbee.tistory.com/8902226 https://qweenbee.tistory.com/890372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67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2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2 말오줌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85 https://qweenbee.tistory.com/8892918 https://qweenbee.. 2013. 7. 1.
검팽나무(느릅나무과)? 2013. 6. 15. 울릉도. 열매는 보이지 않고...풍게나무인지 검팽나무인지...애매하다. 저동 소재지 가운데 보호수로 후박나무와 팽나무가 서 있는데 팽나무가 맞는지 모르겠다. 잎맥의 수로 봐서는 검팽나무나 풍게나무인데.... 팽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6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965 https://qweenbee.tistory.com/8893695 https://qweenbee.tistory.com/889665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42 https://qweenbee.tistory.com/8893743 https://qweenbee.tistory.com/8892200 h.. 2013. 7. 1.
섬황벽나무(운향과) 2013. 6. 15. 울릉도. 흠~! 키가 무척 높은 교목이라 꽃을 보긴 요원하겠다. 황벽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5765 http://blog.daum.net/qweenbee/8893074 http://blog.daum.net/qweenbee/8893645 황벽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3014 http://blog.daum.net/qweenbee/8894346 http://blog.daum.net/qweenbee/8894617 http://blog.dau.. 2013. 7. 1.
돌소리쟁이(마디풀과소리쟁이속) Rumex obtusifolius L. 2013. 6. 14. 울릉도. 돌소리쟁이는 잎이 매우 크고 잎자루도 긴 편이다.회피편 가장자리 가시모양 톱니도 몇개가 있지만 금소리쟁이나 좀소리쟁이에 비할 바는 안 된다.3개의 회피편 가운데 있는 동그란 유체 중 하나의 크기가 현저하게 부풀어 있는 점도 특징이다.              2013.  5. 25.완도에서 담은 녀석인데 대황 종류가 아닐까 의심하고 있는데...일단 돌소리쟁이로 정리한다     소리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1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1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39소리쟁이 열매 : https://qweenbee.tistor.. 2013.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