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울릉도 식물428 왕둥굴레(백합과) 2015. 5. 3. 울릉도. 나리분지에서부터 성인봉으로 본격적인 등산을 하기 시작하는 지점까지 갔다가 뒤돌아섰다. 다음 일정이 있기 때문이었는데 겨자냉이를 찾아 봤지만 이미 꽃이 거의 다 져버린 시기하 증명용 샷 몇 장만 날릴 수 밖에 없었다. 산나물 재배하는 밭 가에서만 보던 왕둥굴.. 2015. 5. 7. 윤판나물아재비(백합과) 2015. 5. 3. 울릉도. 큰두루미꽃과 함께 숲 바닥을 가득 메우고 있던 녀석이다. 이 녀석을 이렇게 지천으로 두고도 제주도에서 겨우 한 번 끝물을 담은 적 밖에 없었다. 6월에 왔을 때 열매가 달린 모습을 봤긴 했지만 그 때는 웬 큰애기나리가 이렇게 많지? 하고 지나쳐 버렸더랬다. ㅎ. 이른 .. 2015. 5. 7. 큰두루미꽃(백합과) 2015. 5. 3. 울릉도. 성인봉으로 오르는 5월 초순 숲 바닥은 온통 큰두루미꽃으로 푸른 자리를 깔아 놓았다 이태 전 6월 중순에는 열매만 가득했었는데 이번에 꽃자리 가득한 장관을 담을 수가 있었다 두루미꽃에 비하여 전초가 크고 털이 없으며 잎이 보통 3개이다 큰두루미꽃 : http://blog.daum.. 2015. 5. 7. 개종용(열당과 개종용속) 3 2015. 5. 3. 울릉도. 제철에 피어 있는 녀석에 홀려서 얼마나 많이 담았던지..... 오리나무더부살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1309 백양더부살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7988 http://blog.daum.net/qweenbee/8889924 http://blog.daum.net/qweenbee/8893713 가지더부살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6141 http://blog.daum.n.. 2015. 5. 7. 개종용(열당과 개종용속) 2 2015. 5. 3. 울릉도. 이 녀석은 노란색보다 자색이 더 강하다. 숲 아래 낙엽을 밀어 올리며 무리지어 올라오는 모습이 장관이었다. 오리나무더부살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1309 백양더부살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7988 http://blog.daum.net/qweenbee/8889924 http://blog.daum.net/qweenbee/8893713 가지더.. 2015. 5. 6. 개종용(열당과 개종용속) 1 2015. 5. 3. 울릉도. 이태 전 6월에 이곳에서 열매 달린 녀석 몇 개체 겨우 만났던 녀석을 이제사 제대로 인사 나누어 본다. 이렇게 노랗게 밝은 녀석도 있고 자색 빛이 더 도는 녀석도 있었는데 보고싶어 하던 녀석을 원 없이 만나니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녀석들을 바라본다. 약간 적자색을 .. 2015. 5. 6. 선갈퀴(꼭두서니과 선갈퀴속) 2015. 5. 3. 울릉도. 화관을 가지고 있는 선갈퀴속으로 꽃이 크고 돌려나는 6~8장의 잎과 어울려서숲 바닥에 별을 뿌려 놓은 듯 이쁘다. 선갈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5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1 https://qweenbee.tistory.com/8899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490https://qweenbee.tistory.com/8902309 https://qweenbee.tistory.com/8908190선갈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 2015. 5. 6. 왕둥굴레(백합과) 2015. 5. 3. 울릉도. 2일 저녁 배로 들어와서 나리분지에 도착하여 짐을 푸니 밤 12시가 다 되었다. 간단하게 일정을 의논하고 잠자리에 들어서 5시에 일찍 잠을 깨었다. 아침식사 예약이 8시라 그 사이 주변을 돌아 볼 요량이었기 때문이다. 오락 가락 빗방울이 떨어져서 걱정이 되었지만 우.. 2015. 5. 6. 너도밤나무(참나무과) 2013. 6. 14. 울릉도. 울릉도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나무 꽃이 피는 시기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아니면 해걸이를 하는 겐지 올해는 열매 구경을 할 수가 없다. 작년에 담은 열매이다. 열매 겉에 각두가 있는 점은 참나무과 열매 특징을 보여주는데 열매 자루가 길고 세갈래로 갈라지며 삼각뿔 모양의 3개의 열매가 들어 있다. 잎은 난형,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6-12cm로서 표면에 백색 털이 있거나 없으며 뒷면은 중륵 기부에만 털이 있고 황록색이며 가장자리는 엽맥 끝이 오므라져서 파상 또는 얕은 치아상의 톱니로 되고 9-13쌍의 측맥이 있으며 엽병에 털이 있다. 높이가 20m에 달하는 교목으로 곧게 자라며 원추형의 수형을 이루고 수피는 회.. 2013. 7. 19. 밀나물(백합과) 2013. 6. 13. 울릉도. 선밀나물에 비하여 줄기가 길게 덩굴성으로 벋어나가는 녀석이다. 어린 순을 나물로 채취를 하는 바람에 줄기가 똑 부러진 녀석들이 보인다. 6/ 16. 울릉도. 청미래덩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047 https://qweenbee.tistory.com/88955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659 https://qweenbee.tistory.com/8907099 https://qweenbee.tistory.com/8908739 청미래덩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886 https://qwee.. 2013. 7. 11. 섬노루귀(미나리아재비과) 2013. 6. 15. 울릉도. 4월 초순이었으면 꽃을 볼 수 있을텐데 열매만 가득하다. 섬노루귀 여름 잎은 엄청 크다. 노루귀 청 : https://qweenbee.tistory.com/8891412 https://qweenbee.tistory.com/8891413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1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5 https://qweenbee.tistory.com/88953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023 https://qweenbee.tistory.com/8902120 https://qweenbee.tistory.c.. 2013. 7. 11. 가는살갈퀴(콩과 나비나물속) 2013. 6. 13. 울릉도. 울릉도 첫날. 일행들과 함께 관광지 투어 일정에 따라 다녔다. 주로 바위와 해안 현애 등의 풍광을 조망할 수 있는 곳과 관광상품 가게에 차를 세워 주었다. 봉고 버스가 설 때마다 다들 우루루 내려서 인증 샷을 담거나 상품을 사는데도 나는 주변 풀밭을 뒤지기에 여념이 없었다. 돌 축대 사이 가는살갈퀴가 발그레 곱게도 꽃을 피웠다. 나래완두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4 https://qweenbee.tistory.com/8907095 나래완두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31 https://qweenbee.tistory.com.. 2013. 7. 10.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