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13.
오래 전 마악 제주도 식물을 보러 다니기 시작하던 2010년
현무암 바위에 붙어 있던 작은 잎을 가진 목본을 처음 보고 신기해 했더니
함께 하던 제주의 꽃동무가 애기모람인데 왕모람으로 잘못 부르고 있다고 설명해 주었었다.
그런데 이영노도감이나 이창복도감의 도감의 기재문이나 국가기관 사이트를 확인해 보니
모람보다 잎이 작고 열매가 더 큰 모람속 녀석을 왕모람으로 국명이 기재되어 있었다. 모람에 비하여 열매가 더 커서(15~17mm) 왕모람으로 부른다고 설명되어 있고, 애기모람은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어서 내 블방에도 모두 왕모람으로 정리를 해 두었더랬다.
2010년에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도 국명이 왕모람으로 애기모람은 이명으로 되어 있었고
학명은 Ficus oxyphylla Miq. ex Zoll. 로 기록이 되어 있었다.
헌데 왕모람의 국명이 애기모람으로 바뀌어 정리가 되었다는 내용을 전해 듣고서 문제는 국명이 아니라 학명이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가 하는 게 중요하여 여러 곳의 학명을 확인해 보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과 생물자원관의 사이트에는 그 사이 국명을 애기모람 Ficus thunbergii Maxim. 으로 정리가 되어 있었다.
아마도 이전에 오동정으로 학명을 잘못 적용한 게 아니었었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
왕모람 | 애기모람 |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립수목원) 2010년 |
Ficus oxyphylla Miq. ex Zoll. | 왕모람의 이명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립수목원) | 없음 | Ficus thunbergii Maxim. |
한반도생물다양성(국립생물자원관) | Ficus pumila L. | Ficus thunbergii Maxim. |
국가표준식물목록 | Ficus pumila L.(왕모람, 좀모람) | Ficus thunbergii Maxim. |
이영노 도감 | Ficus pumila Linne(사진은 애기모람) | 없음 |
이창복 도감 | Ficus stipulata Thunb.(사진은 애기모람) | 없음 |
이우철 도감 | Ficus thunbergii Maxim. | 왕모람의 이명 |
현재 정리된 왕모람 Ficus pumila L. 로 검색을 해 보니
우리가 부르던 왕모람과는 잎과 열매가 더 크고 열매 모양도 중국배 처럼 원뿔형 비슷한 게 완연히 다르다.
동남아지역에서는 왕모람을 과일이나 요리 재료, 차 등으로 식용을 한하며 재배를 한다고 한다
(아래 사진은 외국 자료를 퍼왔다.)
국립생물자원관의 한반도생물다양성에는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다.
상록 덩굴나무로 바위나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란다. 무성지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마주나며, 무성지와 유성지의 것이 모양과 크기가 다르다. 유성지의 잎은 난상 심장형, 난상 타원형, 장란형으로 길이 5-12cm, 너비 2-5cm이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생기는 암수 꽃주머니 안에 달리는데, 각각의 주머니 안에 많은 암꽃과 수꽃이 있다. 열매는 수과이며, 열매주머니 속에 많이 들어 있다. 열매주머니는 암꽃주머니가 발달한 것으로 황록색 또는 연한 붉은색이며, 서양배 모양, 구형, 원통형으로 길이 4-8cm, 너비 3-5cm이고, 어렸을 때는 노란색 짧은 털이 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지 않는다. 과거에 왕모람(애기모람)의 학명으로 잘못 사용했을 뿐이다. 애기모람의 바른 학명은Ficus thunbergii Maxim.이다 |
내 추측대로 제주도와 남부해안 도서지역에 자생하는 열매 지름이 15~17mm의 잎 작은 모람속을 왕모람 Ficus pumila L.이라 부르며 학명을 잘못 적용했던 것이다
이 녀석을 처음 만났을 때 왕모람이 아니라 애기모람 Ficus thunbergii Maxim.이라고 했던 꽃동무의 말이 맞았다.
2022. 4. 14일에 만난 왕모람 화낭을 추가 한다.
아래는 여태 왕모람 Ficus pumila L으로 잘못 불려왔던 애기모람 Ficus thunbergii Maxim.이다
애기모람 어린 개체 무성지 잎
애기모람 성체의 유성지 잎
아래는 모람 (Ficus oxyphylla Miq. ex Zoll.)이다
애기모람 보다 열매는 더 작고 잎이 더 크고 혁질로 표면에 광택이 있다.
모람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2714 https://qweenbee.tistory.com/8894952
https://qweenbee.tistory.com/8892143 https://qweenbee.tistory.com/88930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940 https://qweenbee.tistory.com/8900262
https://qweenbee.tistory.com/8909883
모람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24 https://qweenbee.tistory.com/8903226
https://qweenbee.tistory.com/8909989
모람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4 https://qweenbee.tistory.com/8894940
애기모람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594 https://qweenbee.tistory.com/8894595
https://qweenbee.tistory.com/8895139 https://qweenbee.tistory.com/8896575
애기모람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912 https://qweenbee.tistory.com/8895104
애기모람 : https://qweenbee.tistory.com/8887438 https://qweenbee.tistory.com/8901747
https://qweenbee.tistory.com/8901755 https://qweenbee.tistory.com/88911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988
애기모람/모람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48 https://qweenbee.tistory.com/8891123
왕모람 화낭: https://qweenbee.tistory.com/8908680 https://qweenbee.tistory.com/8910093
왕모람 화낭 해부 : https://qweenbee.tistory.com/8908684
왕모람과 애기모람의 혼란 : https://qweenbee.tistory.com/8907972
왕모람 : https://qweenbee.tistory.com/8909987
왕모람 신엽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42
천선과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97 https://qweenbee.tistory.com/8887169
https://qweenbee.tistory.com/8901756 https://qweenbee.tistory.com/8907760
천선과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94941
좁은잎천선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56 https://qweenbee.tistory.com/8887766
https://qweenbee.tistory.com/8894786 https://qweenbee.tistory.com/8901754
좁은잎천선과/천선과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79
무화과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81 https://qweenbee.tistory.com/8890953
https://qweenbee.tistory.com/8907759
무화과나무 화낭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02
모람/애기모람/왕모람 비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997
'들꽃공부방 > 식물공부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표준식물목록 외래식물 추가 및 수정 (0) | 2022.02.21 |
---|---|
좀전동싸리/주름전동싸리/전동싸리 논문 발췌 (0) | 2021.12.14 |
민구와말의 논란 끝(현삼과 구와말속) Limnophila indica (L.) Druce (0) | 2020.10.10 |
왜 다르지? (0) | 2020.06.05 |
선괭이눈 무성지의 변화 (0) | 201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