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9. 12. 제주.
이 녀석은 해변취라는 이명도 가지고 있다.
이 녀석 담을 때 이름을 듣고도 분취 종류인 줄 알고 분취 동네만 뒤졌으니
인상 착의가 비슷한 게 나타나지 않을 수 밖에. 인자 깜빡거리는 수준보다도 더 증세가 넘어선 것 같다.
거의 지고 있는 시기라서 마침 늦둥이 한 개체가 있어서 꽃을 담을 수 있었다.
초입에서 한 녀석을 만났을 때 안쪽으로 들어가면 더 많이 피었을 거라며 그냥 지나칠려다가
"만났을 때 담아라" 라는 내 꽃담사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 담았더니 결국 그 원칙이 효과를 보았다.
개화 시기가 지나버려서 안쪽으로는 모두 시든 녀석들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셋째날 3시의 뱅기 시간에 대느라 빡빡한 시간에도 조천 쪽 습지와 이 ㄷ봉까지 함께 해 준 꽃동무가 고맙다.
제주에 내려가면 늘 신세를 지니 그 고마움 꼭 갚을 기회가 있기를....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8.5-12.5mm, 지름 5-8m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총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건막질의 부속체가 있고 끝이 둥글다. 외편은 난형으로서 보다 작다.
화관은 자줏빛이 돌고 길이 10~14mm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두화는 많고 산방상으로 달린다.
열매 수과는 길이 3.5-4mm, 지름 1mm정도로서 끝이 편평하며 밑부분이 좁고 다소 사각형이며 털이 없다.
자주빛을 띠고 줄무늬와 흑자색 점이 있으며 관모는 2줄로 배열되어 바깥줄의 것은 짧고 거칠며
안쪽줄의 것은 길이 7-9mm의 긴 깃꼴로 9-10월에 익는다.
줄기에는 미역 줄기처럼 구불거리는 날개가 있다.
근생엽은 흔히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엽병이 길며 엽신은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20-35cm로서 흔히 우상으로 얕게 갈라지고 측열편은 7-8쌍이며 긴 타원형으로서 다시 우상으로 얕게 갈라지고
선(腺)과 잔털이 있으며 경생엽은 점차 작아지며 엽병도 점점 짧아지다가 없어진다.
빗살서덜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90823 http://blog.daum.net/qweenbee/8890825
http://blog.daum.net/qweenbee/8889010 http://blog.daum.net/qweenbee/8889062
http://blog.daum.net/qweenbee/8890768 http://blog.daum.net/qweenbee/8892731
각시서덜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92617
서덜취 :http://blog.daum.net/qweenbee/8892243 http://blog.daum.net/qweenbee/8886516
각시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92634 http://blog.daum.net/qweenbee/8888880
http://blog.daum.net/qweenbee/8886816 http://blog.daum.net/qweenbee/8886550
큰각시취: http://blog.daum.net/qweenbee/8888951
**은분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92801 http://blog.daum.net/qweenbee/8892895
분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88877 http://blog.daum.net/qweenbee/8886476
http://blog.daum.net/qweenbee/8892616
북분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90762 http://blog.daum.net/qweenbee/8892615
http://blog.daum.net/qweenbee/8892644
버들분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88898 http://blog.daum.net/qweenbee/8886854
http://blog.daum.net/qweenbee/8890906 http://blog.daum.net/qweenbee/8892469
http://blog.daum.net/qweenbee/8892703
버들분취와 산비장이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86855
당분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91980 http://blog.daum.net/qweenbee/8892433
http://blog.daum.net/qweenbee/8886516
사창분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33
두메분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90580 http://blog.daum.net/qweenbee/8890579
자병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40
태백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88745
추분취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677 http://blog.daum.net/qweenbee/8890678
추분취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212
당분취/분취/서덜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86516
'지역별식물 > 제주도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마귀풀(닭의장풀과 사마귀풀속) (0) | 2010.09.17 |
---|---|
흰개수염(곡정초과)=>실개수염 (0) | 2010.09.17 |
물달개비(물옥잠과 물옥잠속) (0) | 2010.09.16 |
땅꽈리(가지과 꽈리속) Physalis angulata L. (0) | 2010.09.16 |
애기땅꽈리(가지과 꽈리속) Physalis minima L. (0) | 2010.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