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73

애기중의무릇(백합과) 2009. 4. 14. ㅊㄹ산. 봄 가뭄이 심하여 겨우 딱 한포기 애기중의무릇을 담았다. 중의무릇보다 꽃이 작고 포엽도 작아서 역시 <애기>라고 불릴만 하다. 잎은 1개만이 근생하며 길이 10-20cm, 폭 2mm(중의무릇은 폭 5-9mm)로서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약간 안쪽으로 말린다. 꽃은 4-5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 2009. 12. 27.
이상한 달래 그 후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역시 가느다란 화경에 연한 분홍빛으로 3~4송이가 피었다. 자방은 보이지 않고 노란 수술 노란 꽃밥만 보였다.혹시나 달래의 수꽃이 아닐까 하여 여기 저기 확인을 해 보아도 달래의 암꽃과 수꽃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길이 없었는데... 의 달래에 대한 기재문을 보면>>고 되어 있다.  암꽃과 수꽃에 대한 내용은 없고 다만 >> 라고만 되어 있다. 결국 어디선가 달래의 암꽃과 수꽃을 비교한 자료를 보았다. 이 이상한 녀석은 달래의 수꽃으로 확인하였다.달래는 암수 딴포기였던 거다. 에혀~! 달래 신종을 발견했다고 좋아라 했었는데...  요 녀석이 바로 이상한 달래 미기록종이 아닐까 하고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관찰했던 달래 수꽃이다. 크롭한 사진을 보면 자방이 없고 노란 수술만 보인다. 가느다.. 2009. 12. 27.
달래(백합과) 수꽃 작년 봄, 꽃이 여러 개 피는 달래를 발견하였다.한두 개체도 아니고 주변의 모든 개체가 이렇게 여러개의 꽃을 달고 있었다. 일반적인 달래보다 꽃 송이가 많고 노란 꽃밥만 보여서 이상타 생각하고 비슷한 것이 있나 싶어서 검색을 해 보았지만 같은 녀석을 발견할 수 가 없었다. 해서 새로운 종이 아닐까 했던 녀석이다.결국 이 녀석은 새로운 종도 이상한 달래도 아니었고 달래 수꽃이었다. 2008. 4. ㅊㄹ산.          산마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3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3산마늘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8344 극동동산마늘 꽃 : https://qweenbee.tis.. 2009. 12. 27.
미국부용 (아욱과) 종가집의 덕스런 안주인처럼 꽃송이가 넉넉한 품이 여유가 있다.           수박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544https://qweenbee.tistory.com/8890730    http://blog.daum.net/qweenbee/8896525https://qweenbee.tistory.com/8896525    https://qweenbee.tistory.com/8898108수박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6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6609                  https://qweenbee.. 2009. 12. 26.
큰땅빈대(대극과) 2009. 8. 25. 단양. 땅빈대란 땅에 빈대처럼 붙어 있다고 붙여진 이름인데 이 녀석은 이름만 큰땅빈대지 뻣뻣하게 서 있는 녀석이다. 꽃이 작지만 맨눈으로 들여다 볼 수 있을 정도의 크기 열매도 땅빈대 중에는 크고 털이 없다. 땅빈대 : http://blog.daum.net/qweenbee/8890561 http://blog.daum.net/qweenbee/8888383 http://blog.da.. 2009. 12. 26.
개맥문동(백합과 맥문동속) 2009. 7. 4. 봉정사. 봄이면 연보라 색현호색이 꽃밭을 이루는 봉정사 축대. 개맥문동도 한 자리 차지하여 꽃을 피우려 하고 있다. 2009. 7. 18. 봉정사. 2009. 12. 22. 학교. 향나무 아래 개맥문동이 까만 열매를 달고 겨울을 나고 있다. 소엽맥문동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363 https://qweenbee.tistory.com/8889353 https://qweenbee.tistory.com/8894903 https://qweenbee.tistory.com/8898669 https://qweenbee.tistory.com/8902005 https://qweenbee.t.. 2009. 12. 26.
서양톱풀(국화과 톱풀속) 신초 2009. 5. 17. 앞산 습한 그늘진 곳 바닥에 깔려 있다시피 자라고 있던 녀석이다. 다람쥐꼬리나 석송류와 비슷해서 그쪽을 찾아도 모르겠고....양치식물은 아니겠지? ㅎㅎㅎ.......서양톱풀이었다. 톱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6068 http://blog.daum.net/qweenbee/8897123 http://blog.daum.net/qweenbee/8903021 http:.. 2009. 12. 26.
땅비싸리(콩과 땅비싸리속)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2009. 5. 17. 어디서 담았는지 기억이 없다. 자료가 없길래 올린다.왜 땅비싸리일가? 키가 작으니 땅이란 접두사를 얻었을 게고,그냥 땅싸리라고 해도 될터인데. 땅비싸리는 뭘까? 예전에 이 녀석으로 비자루를 만들어썼나?     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9      https://qweenbee.tistory.com/889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390싸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39 참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0    https://qweenbee.tistory.com/8887305https://qweenbee.tist.. 2009. 12. 26.
중의무릇(백합과) 스님들과 무슨 관련이 있다고 중의무릇이란 이름을 얻었을까? 기부에서 난 잎은 1개이고 길이 15-30cm, 폭 5-9mm로서 어느 정도 육질이며 약간 안쪽으로 말리고 밑부분이 화경(花莖)을 감싼다. 화경(花莖)은 높이 15-25cm이고 엽병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으며 끝에 3-1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화경 상단.. 2009. 12. 26.
애기괭이눈(범의귀과) 2009. 3. 29. 오밀조밀 애기괭이눈도 봄볕에 눈뜨고 있다. 2009. 12. 26.
깽깽이풀(매자나무과) 2009. 3. 29. 깨앵~깨앵~깽깽이의 노래가 들리기 시작한다. 꽃술이 놓란 깽깽이풀은 두어 해 전부터 찾는 사람 많더니 해마다 포기들이 사라지고 있다. 있는 그대로 보고 즐기려는 마음만 가진다면 수백명이 찾아온들 탓하지 않으련만 깽깽이 몇 개체 조금씩 꽃잎 열기 시작한다. 아직은 이른 듯. 2009. 12. 26.
동강고랭이(사초과) 2009. 3. 14. 동강할미꽃이 있는 석회암 절벽에는 동강고랭이(정선황새풀)이 강바람에 수염을 허옇게 늘여뜨리고 노란 꽃을 피우고 있다. 노란꽃밥이 수꽃이다. 암꽃이다 2009. 1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