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73

물박달나무(자작나무과) 2009. 7. 14. 석개재. 자작나무과 녀석들도 참 애매하다. 여름에 담아 놓고 개박달나무로 생각하고 담아 두었던 녀석인데 최종 확인하니 물박달나무다. 아래로 늘어진 가지의 열매를 개박달나무의 수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원판을 자세히 살펴보니 이제 막 성글어 가는 열매로 가을이 되면 위로 고개를 쳐들게 된다. 아마 가지가 아래로 쳐지는 바람에 아래로 늘어진 열매처럼 보였을 뿐이다. 벗겨지는 수피 껍질을 봐도 영락없는 물박달나무다. 사스래나무 거제수나무 자작나무 박달나무 개박달나무 물박달나무 잎: 어긋나기 어긋나기 어긋나기 어긋나기 어긋나기 어긋나기 세모난 달걀형, 끝이 길고 뾰족, 심장저 잎자루 : 5~35mm 난상 타원형,끝이 좁고 길게 뾰족, 원저, 아심장저,세복거치 엽병 8-15mm 삼각상 난.. 2009. 12. 30.
종가시나무(참나무과) 2009. 12. 29. 대구수목원 남부지방이나 제주도에 자생하는 참나무과 상록수이다.각두는 반구형이고 지름 6-9mm로서 상수리에 보이는 편린이 없고 5-6개의 동심원층(同心圓層)이 있으며rlf쭉한 도토리가 달리는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10-11월에 익는다. 가시나무참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개가시나무졸가시나무  어긋나기, 피침형 어긋나기, 피침형 어긋나기, 긴타원형긴달걀형 어긋나기 도란형, 광타원형 어긋나기, 도피침형 어긋나기, 도피침형 잔톱니뒷면 회백색, 털 없음측맥 11~15쌍 상반부에 날카로운 톱니, 뒷면 백색, 밀모측맥 10~12쌍 가장자리 밋밋, 윗부분에 톱니가 있는 경우도 있음 뒷면 연녹색측맥 9~13쌍 상반부 안으로 굽은 톱니, 뒷면 회백색 상반부 날카로운 톱니,뒷면 황갈색 밀.. 2009. 12. 30.
무시기? =>Stewartia 속 열매 2009. 12. 29. 대구수목원. A C~! 패찰 좀 붙여주믄 안 잡아 먹~지. 무슨 퀴즈 코너도 아니고, 기냥 심어만 놓으믄 우리같은 아마추어들은 워쩌란 말시? 삭과 열매를 보믄. 목화나 무궁화, 닥풀 같은 아욱과는 분명한 거 같은디, 요런 열매가 달린 교목을 당최 본 적이 없는지라... 아욱과를 뒤져.. 2009. 12. 30.
호랑가시나무/구골나무/목서 비교 대구수목원에 있는 나무를 비교한 거다. 호랑가시나무(감탕나무과) 잎 : 호생(어긋나기), 열매 : 붉은색 구골나무(물푸레나무과) 잎: 대생(마주나기), 열매: 검은색(쥐똥나무 비슷) 목서(물푸레나무과) 잎 : 대생, 열매 : 암자색 구골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14 http://blog.daum.net/qween.. 2009. 12. 30.
아왜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동아 Viburnum odoratissimum Ker Gawl. ex Rümpler var. awabuki (K.Koch) Zabel ex Rümpler 2009. 12. 29. 대구수목원.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상록성 나무다. 이름이 참 재미있다.가만히 있는데 옆에서 자꾸만 찝적거리면 아, 왜? 하고 짜증을 낸다. 아왜나무 이름이 그런데서 연유한 건 아닐테고. ㅎ잎은 마주나고 간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없거나 물결형 톱니가 있다.잎 앞면에 광택이 있고 잎자루에 붉은 빛이 돈다.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의 흰색 꽃이 모여 핀다.  열매는 붉게 익어서 완전히 익으면 검게 된다.   어린가지에는 엽흔이 애벌레 주름을 만들고 있다.    잎 뒷면에는 갈색 기운이 도는 별모양의 융모가 보인다. 열매는 다 떨어지고 주저리 흔적만 남아 있다   수피에는 세로로 터진 피목이 보이나 대체로 평활하다.수피를 담으면서 알아낸 사실인데 남부지방의 상록수 수종의 수피는.. 2009. 12. 30.
목서(물푸레나무과) 2009. 12. 29. 대구수목원. 팻말에는 구골목서나무라고 되어 있다. 구골목서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없는 이름이다. 물푸레나무과 목서 속을 보면 목서, 금목서, 박달목서, 구골나무만 있다. 헌데 여기 저기 검색을 해보면 구골목서라는 이름으로 많이 올려진 자료가 있다. 구골목서가 구골.. 2009. 12. 30.
구골나무(물푸레나무과) 2009. 12. 29. 호랑가시나무는 감탕나무과인데, 구골나무는 물푸레나무과다. 호랑가시나무 옆에 구골나무가 있어서 쉽게 비교할 수 있었다. 아마 따로 각각 관찰하였다면 좀 헤맸을 지도 모른다. 호랑가시나무 잎의 결각이 더 뚜렷하고 잎이 더 크며, 수피는 호랑가시나무가 매끈한데 비하.. 2009. 12. 30.
호랑가시나무(감탕나무과) 2009. 12. 29. 대구수목원. 감탕나무과 호랑가시나무란다. 열매를 신물이 나도록 담았다. 잎이 혁질이라더니 실제로 잎을 만져보니 얼마나 딱딱하던지 나무판을 만지는 느낌이었다. <국생종>의 가재문을 보면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윤채가 있고 타원상 육각형이며 각점이 가시로 되고 .. 2009. 12. 29.
대구수목원에서(호랑가시나무,장구밤나무,이나무,삼나무,종가시나무,솔송나 2009. 12. 29. 대구수목원, 한 번은 꼭 가 봐야지 했던 곳이다. 수목이나 야생초는 자연 상태에서 만날 때 그 느낌이 배가 되기는 하나. 수목원은 수목원대로의 소득이 있다. 수목원에서는 쉬 만날 수 없는 나무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에 출타할 일이 취소되는 바람에 시간이 났다. 혹시나 시간이 나.. 2009. 12. 29.
미국자리공(자리공과) 2009. 9. 7. 채화정 못 가에 미국자리공이 검은 열매를 포도송이처럼 매달고 서 있다. 붉은 줄기와 꽃이 신기했을까 ? 누군가 뽑지 않고 세워 둔 모양이다. 이 녀석은 토종 자리공보다 더 흔하게 눈에 띈다. 줄기도 굵도 열매도 엄청 달리는 게 한번 자리 잡으면 순식간에 번진다. 아마 내년에는 이 녀석 뽑.. 2009. 12. 28.
괭이밥(괭이밥과) 2009.09.07 붉은괭이밥이란 이름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없다. 그런데 다들 그렇게 부른다.괭이밥은 꽃잎이 노랗지만 붉은괭이밥은 전초에 자색 기운이 강하고 화관 안쪽에 붉은 테가 있다.그래서 붉은괭이밥이라 그러는 모양이다. 일반 괭이밥도 겨울이나 이른 봄에 보면 추위를 견디느라고줄기와 잎이 붉게 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기후에 적응 하기 위하여 색이 변하는 것 같다. 괭이밥 종류들의 하트형 잎을 씹으면 새큼한 맛이 난다. 며느리밑씻개나 며느리배꼽의 잎도 신맛이 강하다어릴 적 신맛이 나는 이피리를 일없이 따서 먹기도 했는데 신 것을 고 하여 시금치나물이라 불렀었다.             괭이밥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4    https://qweenbee... 2009. 12. 28.
애기황새냉이(십자화과) 2009. 2. 14. 집앞. 너무 일찍 나와서 추위에 질렸나? 담 아래 따뜻한 볕을 받고 꽃을 피우려다가 꽃샘 추위에 잔뜩 움츠린 냉이속 녀석 황새냉이라 생각했더니 애기황새냉이의 전형적인 겨울형이라고 한다. 황새냉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0827 큰황새냉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08 http://blog.daum.net/qweenbee/8902433 http://blog.daum.net/qweenbee/8903858 http://blog.daum.net/qweenbee/8905016 blog.daum.net/qweenbee/8905497 애기황새냉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536.. 2009.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