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11

몽골식물 -종덩굴속 Clematis sibilica (L.) Mill. 2025. 6. 25. 흡수굴 호수변. 아이보리색의 종덩굴이 차를 멈추게 한다.학명상으로 봐서는 시베리아종덩굴로 불러주면 되겠다. 종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402 https://qweenbee.tistory.com/8892284https://qweenbee.tistory.com/8892406 https://qweenbee.tistory.com/8893989 https://qweenbee.tistory.com/8894086 https://qweenbee.tistory.com/8895967 https://qweenbee.tistory.com/8896301 https://qweenbee.tistory.com/8902983종덩굴 새싹 .. 2025. 7. 9.
베르바스쿰 블라타리아 (현삼과 우단담배풀속) Verbascum blatttaria L. 2025. 7. 8. 경북. 이른 아침부터 덥다.뉴스에서 연일 전히는 폭염소식은 완전 가마솥을 연상시킨다.밤에도 열대야로 에어컨을 끌 수가 없다. 가까운 곳에 살고 있는 우담담배풀속 녀석이 해가 오르면 꽃잎을 접는지라몇 가지 표본도 해야 해서 이른 시각에 집을 나섰다. 매년 늦은 봄 쯤에 봉오리도 맺기 전에 풀베기 작업으로 예취기 칼날에 잘려 나가서 속이 쓰렸는데그제 인천에서 내려 오면서 얼피 노란꽃대가 보이는 듯하여 차를 세웠더니 거의 한 달을 백두에, 몽골에 소청조까지 돌아다니는 사이에 잘린 원줄기 옆에서 잔가지를 풍성하게 올려서 열매까지 달고 있다.작년에 받아 두었던 씨를 주변에 좀 뿌려주어서 그런가 개체 수도 많아진 것 같다. 이 녀석은 국명은 아직 없지만 재배식물 목록에 학명이 올라 있다. 그래.. 2025. 7. 9.
몽골식물-개제비란(난초과 개제비란속) Dactylorhiza viridis (L.) R.M.Bateman & Pridgeon & M.W.Chase 2025. 6. 26. 흡수굴호수변. 2025. 6. 25. 흡수굴호수변. 2025. 7. 9.
몽골식물-산호란(난초과 산호란속) Corallorhiza trifida Châtel. 2025. 6. 26. 흡수굴 주변. 이탄층 가까운 습한 계곡부에서 만난 녀석이다. 산호란 : https://qweenbee.tistory.com/8910888 https://qweenbee.tistory.com/8912155 산호란 씨방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49 2025. 7. 9.
몽골식물- 난초과 제비난초속 Platanthera oligantha 2025. 6. 26. 흡수굴 주변. 2025. 7. 8.
백두산식물 -좀설앵초(앵초과 앵초속) Primula sachalinensis Nakai 2025. 6. 9. 북백두 숲. 완전하게 밝지 않은 시각이라 색조에 푸른기가 많다.그래도 빛을 탓할 상황이 아니니 주어진 조건 대로 촬영할 수 밖에 없다. 백두산의 좀설앵초는 높은 산지 습한 바위지대에 주로 자생하는데주걱상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날개 모양으로 잎자루와 이어진다잎자루와 잎몸 길이 비슷하고 뒷면은 분백색 또는 황백색 가루로 덮여 있다. '한국의 산꽃'에는 학명 적용을 Primula farinosa L. subsp. farinosa 로 기재하고 있다. 주걱상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날개 모양으로 잎자루와 이어진다 잎자루와 잎몸 길이 비슷 뒷면은 분백색 또는 황백색 가루로 덮여 있다 앵초 : https://qweenbee... 2025. 7. 8.
몽골식물- 앵초과 앵초속 Primula nutans Georgi 2025. 6. 22. 몽골 테를지 공원 주변. 숙영을 하는 초지 주변에 앵초속 녀석이 가득하다.2023년에는 거의 진 모습이었는데 개화가 좀 늦도 하고 며칠 이른 시기의 탐사라 개화 적기에 만난 것 같다. 흡수굴과 테를지의 습한 초지에서 흔하게 만나는 두 종의 앵초속 중 한 녀석이다.이 녀석은 잎이 작고 동그란 타원형에 잎자루가 길게 발달하고 꽃자루가 길며 꽃의 수가 더 적다. 앵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511 https://qweenbee.tistory.com/8889820 https://qweenbee.tistory.com/8897462 https://qweenbee.tistory.com/8900943 https://qweenbee.tistor.. 2025. 7. 8.
몽골식물 -앵초과 앵초속 Primula algida Adams 2025. 6. 25. 몽골 하트갈 숙영지. 화서와 엽형이 백두산의 설앵초와 흡사한 녀석이다. 앵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511 https://qweenbee.tistory.com/8889820 https://qweenbee.tistory.com/8897462 https://qweenbee.tistory.com/8900943 https://qweenbee.tistory.com/8910236 https://qweenbee.tistory.com/8895483 설앵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79 https://qweenbee.tistory.com/8888167 https://qweenbee.ti.. 2025. 7. 8.
백두산식물 -노랑만병초(진달래과 진달래속) Rhododendron aureum Georgi 025. 6. 9. 북백두 숲. 새벽 4시 아직 밝지 않은 시각에 살그머니 숙소를 빠져 나온다.북백두로 오르는 산문이 아직 열리지 않은 시각이라 주변에는 새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6시 30분까지는 숙소로 돌아가야 한다. 산문에 근무하는 관리원들이 출근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폭포 쪽 길 양 옆의 숲을 탐사하기에는 적당한 기회라 그 시각을 알뜰하게 이용하는 것이다. 숲 아래에 노랑만병초가 제철을 만났다. 소천지 숲 2025. 7. 8.
몽골식물 - 바디풀(미나리아재비과 바디풀속) Leptopyrum fumarioides (L.) Rchb 2023년 몽골에서 만났던 생소한 녀석 하나를 잡고 정체를 밝히려 끙끙거리다가 바디풀이란 걸 알고 깜짝 놀랐다. 국가표준식물목록과 생물자원관 포털에도 국명과 학명이 올라 있지만 바디풀에 대한 사진이나 기본 정보는 전혀 없다.그래서 도대체 바디풀이란 녀석이 어떤 녀석일까 궁금해 했던 적이 있었는데 비로 이 녀석이 바디풀이었던 것이다. 이번 몽골 식물 탐사에서도 요긴한 생리 현상을 해결하려고 초지에 차를 세웠다가 딱 한번 만났다. 바디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46 https://qweenbee.tistory.com/8911647 https://qweenbee.tistory.com/8912148 2025. 7. 5.
몽골식물 - 피뿌리풀(팥꽃나무과 피뿌리풀속) Stellera chamaejasme L. 2025. 6. 21-28. 몽골. 몽골 흡수굴로 가는 길이나 테를지 주변에서 만나는 피뿌리풀은한국인들에게는 매우 감동적이고 만나보고 싶은 야생화 중 하나이다.오래 전에 제주도에서 한 두포기 감질나게 나타나곤 했지만 지금은 그 마저도 다 납치가 되어 사라져 버렸으니남의 나라에서 만나는 피뿌리풀의 반가움이야 오죽이나 하겠는가 싶다. 몽골의 피뿌리풀 군락은 동북부지역이 더 풍성하고 내몽골이 더 대군락이다.내몽골과 동북부 몽골에서 만났던 대군락애 비하여 다소 빈약하지만 이 정도로도 한국 야생화메니아들은 반색을 한다. 테를지국립공원에서 2025. 6. 22. 저 멀리 우기노르 호수가 가물거리는 거리에 나타났다, 2025. 6. 23. 피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 2025. 7. 4.
몽골식물- 마르타곤백합(백합과 백합속) Lilium martagon L. 2025. 6. 26. 몽골. 이범 탐사에서 세 군데 숲에서 녀석을 만났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97https://qweenbee.tistory.com/8897948 http.. 2025.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