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582 몽골식물-용담과 용담속 Gentiana riparia Kar. & Kir. 2025. 8. 6. 몽골 차강노르. 몽골식ㅁ물도감을 대조해본 이미지는 Gentiana riparia에 가장 근접하긴 하는데도감의 그림은 줄기가 매우 짧은데 이 녀석은 잎 마디가 더 길다. 2025. 8. 27. 숙은노루오줌(범의귀과 노루오줌속) Astilbe koreana (Kom.) Nakai 2025. 7. 16. 강원도. 높은 산지등산로변에 숙은노루오줌이 많이 보인다.노루오줌에 비하여 화서가 가늘고 비스듬하게 숙이는 점이 특징이다. 숙은노루오줌 : https://qweenbee.tistory.com/8894124 https://qweenbee.tistory.com/8898041https://qweenbee.tistory.com/8899566 https://qweenbee.tistory.com/8905789https://qweenbee.tistory.com/8908099 https://qweenbee.tistory.com/8912325숙은노루오줌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3015숙은노루오줌 새싹 : http://blog.daum.net/qwe.. 2025. 8. 27. 좀포아풀(벼과 포아풀속) Poa compressa L. 2025. 7. 16. 함백 임도변을 오르는 가장자리에 좀포아풀이 가득하다.왕포아풀보다 화서 가지가 짧고 소수가 빽빽하게 붙어 있으며 줄기가 납작하게 눌린 점이 특징이다.포아풀속 녀석 중에서 여름에 개화를 하는 형이다. 줄기가 한쪽으로 납작하다. 2025. 7. 4. 소청도도 왕포아풀처럼 뿌리줄기가 길게 벋는다. 새포아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625 https://qweenbee.tistory.com/8887573 https://qweenbee.tistory.com/8906750 https://qweenbee.tistory.com/8906870 https://qweenbee.tistory.com/8907867 .. 2025. 8. 27. 몽골식물- 용담과 ?? Comastoma polycladum (Diels &; Gilg), TN Ho 2025. 8. 6. 몽골 차강노르. Comastoma tenellum 랑 매우 흡사하여 같은 녀석인가 싶었지만자세하게 관찰하니 같은 속 다른 녀석 Comastoma polycladum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미지가 비슷한 Comastoma falcatum 이란 녀석도 확인이 되는데문제는 둘 다 가지가 발달하지 않는데,내가 본 녀석은 위쪽에서 가지가 많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두 녀석 모두 아닐 가능성이 있다. 우선 Comastoma polycladum 으로 올려놓고 나중에 다시 확인해야 겠다이 종의 원산지는 칭하이에서 내몽골까지이다 구슬붕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75https://qweenb.. 2025. 8. 26. 몽골식물-용담과 Comastoma tenellum (Rottb.)Toyok. 2025. 8. 6. 몽골 차강노르. 용담과의 용담속이 아닌 우리나라에는 없는 속 Comastoma속 녀석이다식물체가 가늘고 연약하며 화관이 좁고 긴 녀석이라 촬영이 용이하지 않아서 두 포기 뽑아 놓고 촬영하였다. 구슬붕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75https://qweenbee.tistory.com/888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86517https://qweenbee.tistory.com/8900902 https://qweenbee.tistory.com/8901027 https://qweenbee.tistory.com/890177.. 2025. 8. 26. 몽골식물 -산용담(용담과 용담속) Gentiana algida Pall. 2025. 8. 6. 몽골 차강노르. 2011년 8월 초순 백두산 북백두에서 서백두까지 등정할 수 있던 시절노호배에서 딱 한 번 본 적이 있는 산용담은 아주 지천으로 만났다. 이번 8월의 몽골에서 기대했덕 것도 바로 용담속과 초오속 식물들을 충분하게 만날 수 있을 것 같아서 였는데예상대로 용담속 녀석을 9종 정도 만난 것 같다.그 중 백두에서 한 번 만났던 산용담이 무척 반가웠는데 3500고지를 오르는 숲 아래서 만나서 정말 반가웠다. 구슬붕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75https://qweenbee.tistory.com/8887422 https://qweenbee.tisto.. 2025. 8. 26. 독말풀(가지과 독말풀속) Datura stramonium L. 2023. 8~9.4. 경북. 여기 저기. 이 녀석은 늦은 저녁 때 꽃잎을 열어서 이른 아침에 접는 성질 때문에 꽃이 제대로 핀 걸 본 적이 없다.독초 식물 촬영하는 일 때문에 이 녀석 촬영하러 찾아다녔는데,덕분에 자료 사진은 꽤 챙겼지만 결국 이 일은 진행이 안 되고 돌아다닌 경비만 날렸다. 가시도꼬마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39 hhttps://qweenbee.tistory.com/8888634https://qweenbee.tistory.com/8886724 https://qweenbee.tistory.com/8905984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9 https://qweenbee.tist.. 2025. 8. 25. 털독말풀(가지과 독말풀속) Datura innoxia Mill. 2023. 8. 30. 경북 흰독말풀이란 녀석을 검색해 보면 이 녀석과 같은 자료가 꽤 나오는데털독말풀과 흰독말풀의 정체가 다른 점이 뭘까? 가시도꼬마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39 hhttps://qweenbee.tistory.com/8888634https://qweenbee.tistory.com/8886724 https://qweenbee.tistory.com/8905984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9 https://qweenbee.tistory.com/8909350가시도꼬마리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54 https://qweenbee.tis.. 2025. 8. 25. 강활(산형과 당귀속) Angelica reflexa B.Y.Lee 2025. 8. 23. 강원도. 구분하기 쉽지 않은 산형과의 계절이다. 잎자루 관절의 꺾임이 특징인 강활도 꽃을 풍성하게 피웠다. 바디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61 https://qweenbee.tistory.com/8886506https://qweenbee.tistory.com/8886352 https://qweenbee.tistory.com/8886480https://qweenbee.tistory.com/8892539 https://qweenbee.tistory.com/890314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46 https://qweenbee.tistory.com/8905902 https.. 2025. 8. 25. 바디나물(흰꽃)(산형과 바디나물속) Angelica decursiva (Miq.) Franch. & Sav. 2025. 8. 23. 강원도. 왜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6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5https://qweenbee.tistory.com/8893121왜당귀 새싹 :https://qweenbee.tistory.com/8905754 참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05 https://qweenbee.tistory.com/8890746https://qweenbee.tistory.com/8895145 https://qweenbee.tistory.com/8896601https://qweenbee.tistory.com/8901975 https://qweenbee.. 2025. 8. 25. 잔잎바디(산형과 당귀속) Angelica czernaevia (Fisch. & C.A.Mey.) Kitag. 2025. 8. 23. 강원도. 처음 지나는 길은 속도를내지 못한다. 주변의 풀들을 살피느라고. 영월을 가는대 이 녀석이 높은 고갯길로 안내한다. 지름길이긴 한데 고개가 높고 험해서 께름찍하긴한데어라? 몇 년 사이에 터널이 뚫려서 그개를 오르지 않고도 금방 통과를 하였다. 목적지까지 애마가 가는대로 길을 맡기니 처음 지나는 느낌이라 주변을 살피는에 길섶 산자락에 잔잎바디가 한창이다. 산형과의 계절이다 바디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61 https://qweenbee.tistory.com/8886506https://qweenbee.tistory.com/8886352 https://qweenbee.tistory.com/8886480https:.. 2025. 8. 25. 아마풀(팥꽃나무과 아마풀속) Diarthron linifolium Turcz. 2025. 8. 23. 강원도. 길 선택을 잘못 하는 바람에 50km를 더 달려 되돌아 가야 했다. ㅠㅠ강원도 석회암 지대의 산소 주변에는 이 녀석이 꽤 흔하게 보인다.꽃이 느무느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보기 쉽지 않다. 아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395 https://qweenbee.tistory.com/8890636https://qweenbee.tistory.com/8892420 https://qweenbee.tistory.com/8894148https://qweenbee.tistory.com/8890396 https://qweenbee.tistory.com/8894735https://qweenbee.tistory.com/8896255 http.. 2025. 8. 24. 이전 1 2 3 4 ··· 2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