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울릉도 식물428 섬바디(산형과) 2013. 6. 13. 울릉도. 독도행이 둘째 날로 미루어지면서 첫날 일정은 울릉도 투어이다. 중간 중간에 버스가 멈춰서면 주어진 시간에 모두들 바위덩어리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느라 부산한데 나는 짧은 시간에도 카메라를 들고 주변 풀들을 살피느라 정신이 없다. 6월의 울릉도는 섬바디 나물로 해안가 산자락이 온통 하얗다. 총포는 없고 소총포는 여러 개인데 소총포의 길이가 소화경 길이와 비슷하다 바디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61 https://qweenbee.tistory.com/8886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352 https://qweenbee.tistory.com/8886480 https://qweenbee.tistor.. 2013. 7. 1. 말오줌나무(인동과) 2013. 6. 14. 울릉도. 울릉도와 한산도 비진도에만 자생한다는 녀석인데 울릉도 이외 지역에서의 실제 서식하는 모습은 아직 확인이 안 된 모양이다. 붉은 열매 주저리가 길게 아래로 늘어지는 모습이 장관이다. 인동과 딱총나무속으로 제주도에 자생하는 덧나무, 강원도에 분포하는 지렁쿠나무, 육지에 전국적으로 서식하는 딱총나무가 있다. 남부지역에 서식하는 말오줌때는 이 녀석과 이름만 비슷한 고추나무과 말오줌때속이다. 검색표 1. 꽃차례는 반원형이며 식물체에 털이 없다...............................................................넓은잎딱총나무 1. 꽃차례는 넓은 난형 또는 원추형이다. 2. 잎과 꽃차례에 털이 없다. 3. 톱니는 안으로 고부라진다. 4. 꽃차.. 2013. 7. 1. 난티나무(느릅나무과) 2013. 6. 14. 울릉도. 잎 끝부분이 결각이 져 있는 모습이 꼭 도깨비같은 형상이라 재미 있다. 결각이 없는 경우도 있어서 잘 살펴 봐야 한다. 벌써 열매는 다 떨어져 버렸다. 바닥에 떨어진 난티나무 열매가 느릅나무과임을 알 수 있다. 시무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8099 http://blog.daum.. 2013. 7. 1. 우산고로쇠/섬단풍나무 2013. 6. 14. 울릉도. <우산고로쇠> 우산고로쇠나무다. 올해는 열매를 보기 어려웠다. <섬단풍나무> 단풍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726 http://blog.daum.net/qweenbee/8885925 단풍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141 http://blog.daum.net/qweenbee/8894813 http://blog.daum.net/qweenbee/8887251 당단풍.. 2013. 7. 1. 솔송나무(소나무과) 2013. 6. 14. 울릉도. 회솔나무인 줄 알았더니 잎 끝이 갈라진 솔송나무였던 것을 소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71 곰솔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2948 http://blog.daum.net/qweenbee/8895024 반송 : http://blog.daum.net/qweenbee/8887277 리기다소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72 개잎갈나무 : http.. 2013. 6. 30. 섬기린초(돌나물과) 2013. 6. 14. 16. 울릉도. 바위 절벽에 서식하는 녀석과 환경이 좋은 땅에 서식하는 녀석의 잎 모양이 다르게 나타난다.바위벽에 사는 녀석의 잎 길이는 짧고 넓은 마름모형에 가까운 모양이다 울릉자생식물원에 식재되어 있는 녀석은 영양이 충분해서 그런지 잎 길이가 좀 길다. 섬기린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5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53https://qweenbee.tistory.com/8902933 https://qweenbee.tistory.com/8909849섬기린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4 https://qwe.. 2013. 6. 30. 초종용(열당과) 2013. 6. 16. 울릉도. 해안에 제법 많이 있었다는데 도로 확장 등으로 개체가 거의 안 보인다고 걱정을 한다. 오리나무더부살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1309 백양더부살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7988 http://blog.daum.net/qweenbee/8889924 http://blog.daum.net/qweenbee/8893713 가지더부살이 : http://blog.daum.n.. 2013. 6. 30. 섬나무딸기(장미과) 열매 2013. 6. 15. 울릉도. 산딸기와 비슷하지만 높이가 1~4m로 크고 전초에 가시가 없고(드물게 있기도 하지만) 꽃과 장상으로 갈라진 잎이 큰 대형이다. 줄기는 굵고 붉은색을 띠며 가시가 없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 산딸기 열매 : https://qween.. 2013. 6. 29. 큰연영초(백합과) 2013. 6. 15. 울릉도. 울릉도 숲에 서식하는 이 녀석은 큰 연영초라고들 한다. 큰연영초는 연영초에 비하여 화경이 짧고(2~3cm), 화피편 끝이 뾰족하고 좁으며, 꽃밥은(6~7mm) 수술대의 길이가 같거나 약간 길다. 연영초는 화경이 보다 길고(4~6cm) 화피편 끝이 둔하고, 꽃밥이(9~12mm) 수술대(3~5mm)보.. 2013. 6. 29. 극동(울릉)산마늘(백합과 부추속) Allium ochotense Prokh. 2013. 6. 15. 울릉도. 나리분지에서 9시 출발, 오후 2시 30분 성인봉 정상 도착하여 하산이 거의 종료되어 갈 때 쯤출렁다리에서 내려다 본 절벽 위의 산마늘 꽃이 바쁜 걸음을 잡는다. 울릉도에서는 명이나물이라 하여 울릉 주민의 주요 소득원 중 하나인데예전에는 지천으로 깔려 있는 산마늘을 아무나 채취해서 팔았지만 지금은 재배를 주로 하며봄철 기간을 정해서 야생의 산마늘 채취 허락을 받은 울릉도 주민만 채취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예전에는 산마늘 채취 시기에는 택시를 탈 수가 없었다고 한다택시 기사들이 택시를 세워 놓고 산마늘을 뜯으러 산으로 들어가 버리기 때문이었단다.그 만큼 산마늘 수입이 높았다는 것인데 지금은 현저하게 서식지가 줄어들었다고 한다 절임나물로 가공한 산마늘은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 2013. 6. 28. 큰바늘꽃(바늘꽃과) Epilobium hirsutum L. 2013. 6. 16. 울릉도. 육지에서도 큰바늘꽃을 보러 가려면 먼 길을 이동해야 한다.헌데 울릉도에는 큰바늘꽃 분포가 꽤 너른 모양이다. 이렇게 도로변 사면에 풀들과 어울려 살고 있다.꽃이 피면 온통 붉으레 할 풍광이 상상이 된다. 바늘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50 https://qweenbee.tistory.com/8892351https://qweenbee.tistory.com/8894631 https://qweenbee.tistory.com/8898255https://qweenbee.tistory.com/8890744 https://qweenbee.tistory.com/8894538https://qweenbee.tistory.. 2013. 6. 27. 섬광대수염(꿀풀과) 2013. 6. 14. 울릉도. 광대수염에 비하여 꽃이 크고 광택이 나며 잎은 다소 심장형으로 꽃이 순백색이고 열편에 짧은 부속체가 있는 점이 특징이다 헌데 내가 보기에는 잎은 육지의 광대나물과 별반 다를 게 없는 듯하다. 광대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887805 http://blog.daum.net/qweenbee/8893910 h.. 2013. 6. 25.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