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울릉도 식물428 과연 섬자리공인가? 2013. 6. 16. 울릉도 울릉도에는 섬자리공이란 녀석이 서식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태 동안 울릉도에 와서 이 녀석을 대면하면서 육지의 자리공과 아무런 차이점을 느끼지 못하였기에 녀석을 볼때마다 과연 섬자리공이란 존재하는가 하는 대한 의구심이 든다. 아니면 내가 본 이 녀석과 다.. 2013. 6. 24. 섬남성(천남성과)Arisaema takesimense Nakai 2013. 6. 15. 울릉도. 잎의 얼룩무늬가 인상적인 녀석이다.점박이천남성과 형태는 비슷하나 잎에 무늬가 있는 종으로 울릉도에 자생한다. 1. 화수부속체가 불염포밖으로 길게 뻗고, 끝부분은 사상이며 기부에 병이 없다. 엽서는 2/5이다 2. 위경이 엽병보다 훨씬 짧으며, 육수화서는 단성의 꽃으로 되어있고, 정소엽이 측소엽보다 작지 않다. 화분립의 돌기 사이가 평활하다................................................................. ...........................1.무늬천남성 A. thunbergii 2. 위경이 엽병보다 길며, 육수화서는 암꽃과 수꽃으로 되어있거나 오직 수꽃만으로 되어있고, 정소엽이 측소엽보다 훨씬 .. 2013. 6. 24. 두메오리나무(자작나무과)=>덤불오리나무 2013. 6. 15. 울릉도. 어느 약초 사이트에서 두메오리나무가 어디에 좋다는 소문을 내었는지 내 방에도 이 녀석 어디가면 구할 수 있냐고 물어 오는 사람도 있었다. 7~10 : 오리나무 6~8쌍 : 물오리나무, 좀잎산오리나무 8~12쌍 : 덤불오리, 두메오리 13~17쌍 : 사방오리 20~26쌍 : 좀사방오리 2021. 2. 덤불오리나무의 이명으로 처리되었다. 오리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9001 https://qweenbee.tistory.com/8893618 https://qweenbee.tistory.com/8895632 https://qweenbee.tistory.com/8897450 https://qweenbee.tistory.com/889799.. 2013. 6. 23. 마가목(장미과)=>우산마가목 2013. 6. 15. 울릉도. 울릉도에서는 마가목 열매가 엄청 비싸게 수집되고 있단다.열매가 익을 때 쯤에는 조경해 놓은 마가목 열매를 따가기 위하여 부지런히들 돌아다닌다고 한다.울릉도에 자생하는 마가목은 열매가 크고 더 풍성하다는데.... 당마가목은 마가목에 비하여 꽃받침에 잔털이 있고 꽃받침잎은 삼각형이며꽃잎은 둥글고 백색이며 암술대는 3개이고 기부에 털이 있으며소지에 백색의 털이 약간 있으며 동아에 백색털이 밀생한다고 하니. 그 정도밖에 구분할 수 없다. 이 녀석은 꽃, 열매, 화서, 잎의 특징들이 한반도와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분류군들과 불연속 변이를 보임을 확인하여 우산마가목으로 신종 발표가 되었다. 1. 탁엽은 침형이고 일찍 탈락(낙엽성)한다; 열매의 심피는 분리되어 있으나 밑부분이 약.. 2013. 6. 22. 섬피나무(피나무과) 2013. 6. 14. 울릉도. 아직 꽃이 피려면 보름은 있어야 할 것 같다. 성인봉을 올던 중 정상부 가까운 곳에 수령이 오랜 섬피나무가 보호되고 있는 것이 보였다. 속살은 거의 썩고 수피 층 가까이만 남아 있는데도 잎을 무성하게 달고 있는 모습이 놀라웠다. 피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61.. 2013. 6. 22. 머루(포도과) 2013. 6. 14. 울릉도. 울릉도와 제주도에만 서식한다는 머루다. 잎의 결각이 곡선으로 부드럽고 잔 거치가 있다. 왕머루는 전국에서 나며 머루에 비해 잎이 소형이고 3~5각상 원심형이며 머루에 비해 잎 뒤에 갈색 털이거의 없고 머루는 울릉도에 나며 왕머루에 비해 잎이 대형이고 5각상 원.. 2013. 6. 22. 섬쥐똥나무(물푸레나무과) 2013. 6. 14. 울릉도. 쥐똥나무보다 잎이 크고 화서도 확실히 크다. 잎끝이 둥근 쥐똥나무에 비하여 섬쥐똥나무는 잎 끝이 뾰족하고 두텁다. 주맥 위에 부드러운 털이 있었다. 광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2159 광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187 http://blog.daum.net/qweenbee/8894979 htt.. 2013. 6. 22. 왕매발톱나무(매자나무과) Berberis amurensis Rupr. f. latifolia (Nakai) W.T.Lee 2013. 6. 16. 울릉도. 사실 왕매발톱나무의 특징이 육지의 매발톱나무와 다른 점을 모르겠다.울릉도에 사는 건 대부분 별도의 종으로 분류해 두었으니 그런가 보다 한다. 그러다 보니 섬자리공도 자리공과 차이점이 없다는 이야기가 나오고섬현삼은 개현삼의 자생 환경에 따른 변이일 뿐 같은 녀석이라는 견해도 나온다. 왕매발톱나무도 매발톱나무 보다 잎이 더 둥글고 화서가 크다는 특징 밖에는 달리 다른 점을 모르겠다.일반적으로 매발톱나무와 통합하여 보는 견해가 강한 모양이다 톱니가 예리한 침상이고 규칙적이다 매자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65 https://qweenbee.tistory.com/8889288https://qweenbee.ti.. 2013. 6. 21. 넓은잎쥐오줌풀(마타리과) 2013. 6. 14. 울릉도. 이 녀석도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육지의 녀석보다 잎이 엄청 크고 넓다. 울릉도의 식물은 육지의 녀석들보다 대형이라는 말이 실감난다. 쥐오줌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65 http://blog.daum.net/qweenbee/8888130 http://blog.daum.net/qweenbee/8899435 쥐오줌풀 신초 : http://blog.daum.net/q.. 2013. 6. 21. 서양개보리뺑이(국화과) 2013. 6. 16. 울릉도. 이태 전에 이 녀석을 울릉도에서 처음 만나서 이상한 녀석이라 호들갑을 떨었던 귀화식물이다. 울릉도에서는 흔하게 퍼져 있는데 근생엽과 신엽이 개보리뺑이와 유사하다. 총포는 원통형이며 외편은 극히 짧고 내편은 선형으로 6-8개이다. 두상화가 산방상으로 가지 끝.. 2013. 6. 21. 섬괴불나무(인동과) 2013. 6. 16. 울릉도. 동글납작한 섬괴불나무 열매가 참 귀엽다.올해는 어쩌다가 괴불나무 종류 꽃과 열매를 담지 못하였다.제주도와 남도 지역을 몇 번 탐사하느라고 강원도 출사 기회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괴불나무 종류 열매는 완전 하나로 합생하거나 아니면 중간 정도 합생하는 경우가 많은데괴불나무와 이 녀석은 완전 독립하여 열매가 익는다. 괴불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3063https://qweenbee.tistory.com/8897766 https://qweenbee.tistory.com/8904786h.. 2013. 6. 21. 섬초롱꽃(초롱꽃과) 2013. 6. 16. 울릉도. 6월의 울릉도에서 제대로 본 꽃이라고는 욘석과 섬말나리 밖에 없다. 전라도의 어느 지역에서는 섬초롱꽃 화관 속에 영양밥을 넣어서 파는 식당도 있다고 한다. 아주 기발한 아이디어 같다. 초롱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7090 http://blog.daum.net/qweenbee/8899477 http://blog.daum.. 2013. 6. 21.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