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수목류4125 느릅나무(느릅나무과) 2010. 4. 20. 동강에서 담아온 비술나무와 느릅나무 꽃을 비교하기 위하여 퇴근과 동시에 가까운 계곡으로 30분을 달렸다. 느릅나무도 꽃밥이 검은 자주색으로 지고 있었고 자주색 수꽃 꽃밥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던 자방이 뾰족하게 암술머리를 내밀면서 벌써 열매 모양을 잡아가고 있었다.. 2010. 4. 20. 두메닥나무(팥꽃나무과) 2 2010. 4. 18. 정선. 강원도 높은 지대 산 자락에만 자생하는 녀석으로 이른 봄 초본류가 싹이 돋기도 전 생강나무보다도 더 빨리 꽃을 피우는 녀석이다. 향기도 서향처럼 향이 진하기도 하거니와 빨간 열매도 한 인물한다는데... 꽃도 이렇게 먼길 달려서 만났는데 열매까지나 기대하긴 무리겠지? (크롭한 것) 팥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5305 https://qweenbee.tistory.com/8896767 https://qweenbee.tistory.com/8898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6 https://qweenbee.tistory.com/8905050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10. 4. 20. 두메닥나무(팥꽃나무과)1 2010. 4. 18. 정선. 두메닥나무에 대한 자세한 관찰은 탐사기에 올려져 있으니 보이는 대로 담아온 두메닥나무 자료만 실컷 올려 본다. 이 녀석을 처음 만난 감동의 여운에 아직도 설렌다. 총상화서는 전년지 끝의 엽액에 발달하고 2~5개의 꽃이 달린다. 꽃은암수딴그루로서 봄에 황색으로 피는데 암꽃이 다소 작으며 ,꽃받침은 황색이고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첨두이며 꽃받침통은 녹색이다. 수술은 8개이다. 팥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5305 https://qweenbee.tistory.com/8896767 https://qweenbee.tistory.com/8898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6 https://qweenbe.. 2010. 4. 20. 비술나무(느릅나무과) 2010. 4. 18. 정선. 크~~ ! 이 녀석이 비술나무다. 동네 산 골짝에 있는 나무를 비술나무가 아닐까 하여 꽃 피기를 기다리며 문지방이 닳도록 찾아 다녔던 녀석은 느릅나무였다. 비술나무는 꽃밥이 암자색이라 느릅나무의 붉은자주색과 차이가 난다. 그런데 이미 꽃밥이 다 시들고 있어서 막 .. 2010. 4. 19. (개)키버들/(당)키버들?? 암꽃 수꽃 2010. 4. 17. 영양. 올 봄에는 버드나무 종류를 많이 들여다 보았는데 꽃의 모양이 참 다양하다. 이 녀석의 꽃은 가늘면서 길고 휘어져 있다. 암꽃 같은데 꽃술이 붉다. 키버들 종류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꽃동무님께서 포 색깔이 전체가 검은색이라서 개키버들쪽을 추천해 주시니 힘을 얻어.. 2010. 4. 18. 산개나리(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2010. 4. 17. ㅁㅇ 삼거리. 길 옆 벼랑에 잎이 둥그스름 넓으니 만리화로 보이는 녀석이 산다. 그런데 꽃은 영락 없는 개나리다. 잎이 아니면 개나리라고 우겨도 할 말이 없겠다. 작년에 이 녀석을 보았을 때 잎을 담지 못하였다. 애기송이풀 담으러 올 때 잎을 담아야겠다. 5월에 찾아가서 잎이 넓은 난형으로 뒷면에 털이 밀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개나리로 봐야 하나? 산개나리로 수정한다. 특이하게도 이 벼랑에 만리화가 몇 그루 자생한다. 아래로 내려다 보는 물을 보니 후덜덜... 2010. 05. 05. 다시 찾은 벼랑에는 꽃은 다 지고 너브데 한 잎이 나 있었다. 잎 뒷면에 잔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미선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15 https:/.. 2010. 4. 17. 꼬리까치밥나무(범의귀과) 2010. 4. 17. 이 곳을 일찍 찾으려 했는데 일정이 바뀌는 바람에 늦게 찾았더니만...5시가 넘어 그늘이지고 어두워 졌다. 에거~! 아쉬운대로 몇 장 담았지만 다시 와야겠다. 달래 수꽃, 삿갓우산이끼, 좀고사리로 추정되는 녀석도 담아야 하고 누른괭이눈 수술 꽃밥도 다시 담아야하니까. 꼬리까치밥나무 .. 2010. 4. 17. 주목(주목과) 수꽃 2010. 4. 16. 댐 부근 주목은 암수딴그루다. 열매가 달리는 나무가 따로 있다. 학교 마당의 나무는 수그루라서 꽃은 많이 피는데 정작 빨간 열매는 구경조차 하지 못한다. 작년 초겨울 댐 부근에 조경된 주목나무에서 열매를 담았었는데 퇴근하면서 암꽃을 담으러 갔다. 헌데 어느 나무가 암.. 2010. 4. 17. 백목련(목련과) 2010. 4. 15. 백목련 꽃이 탐스럽게도 피었다. 이 녀석은 중국 원산으로 정원에서 피는 대부분의 꽃이 백목련이다. 한국의 토종 <목련>은 제주에 자생한다고 하는데 꽃잎 기부가 붉은 색이 있고, 꽃잎 조각이 6~9장이며 꽃받침은 3장이나 매우 작다. <백목련>은 꽃잎 조각이 6장 꽃받침.. 2010. 4. 16. 장수만리화(물푸레나무과) 2010.4. 13. 구미. 장수만리화라고 이름이 붙어 있다. 꽃은 영락 없는 개나리를 닮았는데 암술 주두가 3개로 갈라져 있고 수술도 3개다. 꽃은 4월에 피며 많이 달리며 길이 6mm의 소화경이 있고 꽃받침 열편은 넓은 난형이며 밝은 황색이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다. 가지는 회색 또는 암회색이고 피목이 산재한다. 만리화와 달리 소지 기부에 융모가 있으며 잎은 대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거나 거의 없고 엽병은 길이 8-12mm이다. 만리화와 달리 잎에 윤채가 없다.어떤 종이든 어린 잎은 보소소한 털이 있기 마련이다. 가을의 잎 미선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 2010. 4. 16. 개암나무 암꽃의 변화 2010. 4. 13. 이 녀석은 구미자연학습원에서 담은 건데 패찰에 기냥 라고 되어 있었다. 개암나무 암꽃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궁금하야 살펴보니 암꽃의 인편 사이에서 어린 잎이 돋아 나고 있었다. 이 녀석은 잎눈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꽃과 잎이 함께 있는 혼아로 암꽃을 싸고 있는 비늘 안에 어린 잎이 숨어 있어서 암꽃이 핀 후 어린 잎과 줄기가 성장을 하는 것이었다. 동아의 인편 사이에 있던 잎이 부쩍 자라고 있다. 참개암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24 http://blog.daum.net/qweenbee/8889542 http://blog.daum.net/qweenbee/8893264 http://blog.daum.net/qweenbee/88881.. 2010. 4. 16. 까마귀밥나무(범의귀과) 2010. 4. 13. 범의귀과 까마귀밥나무 꽃은 양성화로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 달린다. 수꽃은 꽃자루가 길고 꽃받침통이 술잔 모양이며, 꽃받침잎은 노란색이고 난상 타원형이다. 수꽃은 한개의 헛암술과 5개의 수술, 암꽃은 한개의 암술과 5개의 헛수술이 있다. 암꽃은 수정이 되면 자방이 금방 커진다고 한다. 이 녀석은 수꽃 같은데...열매가 달리는 나무의 꽃을 담아서 비교해 봐야겠다. 까마귀밥나무는 암수딴그루로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길이 5∼10cm로 3∼5개로 갈라지고 뭉툭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과 엽병에는 털이 난다. 까마귀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40 https://qweenbee.tistory.com/8887662 https:.. 2010. 4. 14. 이전 1 ··· 309 310 311 312 313 314 315 ··· 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