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공부방505 **여뀌(마디물과 여뀌속) 2013. 9. 1. 강원도. 장대여뀌 무리 속에 슬쩍 끼여 있어서 같은 녀석으로 생각하고 담다가 보니 잎과 화서가 장대랑은 다르다. 잎의 모습이 개여뀌랑 비슷한데...화서가 가늘고 잎도 좁다. 가는개여뀌란 녀석이 있는데 ...아직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줄기와 엽초(탁엽)에 털이 없고 엽초 위.. 2013. 9. 23. 다북떡쑥(국화과)의 이가화를 확인하다 Anaphalis sinica Hance 2013. 7. 18. 경북. 이태 전 이 녀석을 보고 와서는 암수딴포기란 내용을 접하게 되었다.헌데 사전에 이가화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세하게 관찰하지 못하여 그 사실을 확인할 수가 없었다.도감을 확인 해 보면 다북떡쑥속인 구름떡쑥과 산떡쑥 모두 이가화인데 떡쑥속 녀석들은 이가화가 한 녀석도 없었다. 해서 이번에는 암꽃(자성두화)과 수꽃(웅성두화)를 확실하게 살펴야겠다고 생각을 하고나뭇가지를 꺾어서 휘두르면서 모기와 전쟁을 치루면서 어느 꽃님의 선산에 올랐다. 얼마를 오르자 맨눈으로도 두상화가 흰 수술만 보이는 개체와 노란색 꽃대롱이 몇 개 박혀 있는 개체가 확인이 된다.아래는 흰 암술만 있는 자성두화 즉 암꽃이 피는 개체이다. 노란 대롱꽃이 보이지 않는 이 녀석을 첨에는 혹시 아직 꽃.. 2013. 7. 22. 가지꼭두서니(꼭두서니과)?? 2013. 6. 1. 제주. 바닷가라서 그런가 잎자루가 짧고 잎이 유난히 작다. 진도에서 봤던 녀석과 같은 녀석이다. 갈퀴꼭두서니와는 엽병과 잎 모양에서 차이가 난다. 갈퀴꼭두서니의 잎은 원줄기에서는 6-10개씩 윤생하지만 그 중 절반은 탁엽이며 가지에서는 4-6개씩 윤생하고 긴 타원상 난형.. 2013. 7. 19. 병물개암나무(자작나무과)=>참개암나무로 통합 2013. 7. 13. 전남. 으.....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흥건하다. 장맛비가 오지 않는 것은 다행이지만 더워도 너~~무 덥다!! 숲 속으로 한 발짝만 들어가도 까만 모기 떼에게 강제 헌혈을 당할 각오를 해야 하고. 이 녀석들은 얼마나 지독한 녀석들인지 풀줄기를 휘둘러도 달라붙은 녀석이 배 째라~~ 그런다. 열매를 싸고 있는 포의 길이가 유독 짧아서 병개암나무가 아닐까 하고 신나게 담아 왔는데.... 병개암나무는 열매를 단지처럼 둘러싸고 참개암나무의 포가 아주 짧아진 형태라...... 도감에 총포의 길이가 1~2cm 정도로 짦은 녀석을 병물개암나무라고 하는 기재 내용이 있다. 어린 가지에도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자루와 표면 맥 위에 털이 밀생한다 참개암나무 꽃: https://qweenbee.tis.. 2013. 7. 16. 털대사초/대사초/지리대사초/반들대사초 2013. 6. 29. 경남. 털대사초는 잎과 줄기에 털이 많고 잎의 길이가 짧고 너비가 넓다 . 털대사초보다 옆폭은 더좁고 잎이 더 길며, 지리대사초 보다는 옆폭이 더 넓다 세 녀석 중에서 가장 잎이 가늘고 길다 2013. 4. 하순. 강원도 석회암 지역에 사는 이 녀석은 작년에 그 존재가 식물학회에 보고되었다.전초에 털이 없고 엽신이 넓다. 대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28 https://qweenbee.tistory.com/8893515https://qweenb.. 2013. 7. 16. 꿩의다리/바이칼꿩의다리 2013. 7. 7. 충북. 이태 전 백두산에서 담아 왔던 대형의 꿩의다리 녀석을 바이칼꿩의다리로 올려 둔 적이 있다. 백두산에서 델꼬 온 녀석이라 당연히 바이칼꿩이라 생각을 하고서는 자세하게 살펴 볼 생각도 않고 말이다. 헌데 가끔 내게 날카로운 가르침을 주시는 꽃동무님께서 "그게 어디 바이칼이냐? 기냥 꿩의다리지. " 하고 지적이 들어 왔다. "오잉? 무스기?" 어마 뜨거워라 싶어서 바이칼꿩과 그냥 꿩의다리에 대하여 다시 확인을 하게 되었는데 중요한 세 가지 포인트를 간과해 버렸다. 두 녀석은 잎차례와 탁엽과 열매의 모양에서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먼저 그 하나로 열매 모양이다. 꿩의다리 열매는 3-4개의 능선에 날개가 있으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4-5mm의 열매자루가 있어서 아래로 달랑달랑.. 2013. 7. 10. 그늘골무(꿀풀과)? 2013. 6. 22. ㅊ산. 올해도 이 녀석에 대한 확신을 못하고 있다. 작년에도 그늘골무일까? 호골무일까? 그러다가 호골무로 올려 놓은 것 같은데... 그늘골무일까? 2013. 7. 3. 개별꽃 폐쇄화 열매도 제 기능을 다할까? 2013. 5. 15. 봉정사. 개별꽃의 개방화 열매이다. 헌데 이 녀석은 제비꽃처럼 폐쇄화 열매를 다시 매단다. 개별꽃 뿐만아니라 큰개별꽃, 덩굴개별꽃, 가는잎개별꽃 등, 개별꽃 종류들 대부분 폐쇄화 열매를 단다. 오늘(2013. 6. 22. 경북) 대반하 때문에 들렀던 숲에서 개별꽃 폐쇄화를 관찰하였.. 2013. 6. 23. 나비나물 한 종류 2013. 6. 1. 제주. 해안 풍광에 어울리는 갯강활을 담는다고 잠시 차를 멈추고 가다가 처음 보는 나비나물 한 녀석을 만났다. 줄기가 방석처럼 총상으로 퍼지는데 한라산에서 봤던 애기나비나물 보다는 더 크고 잎은 거의 둥근 난형이었으며 마치 괭이싸리 처럼 전초에 털이 많았다. 제주도에도 워낙 외래식물들이 많이 나타나는 곳이니 이 녀석도 아직 보고되지 않은 녀석일지도 모른다. 일단 요모 조모 담아 와서 제주의 꽃동무한테 장소를 가르쳐 주고 미기록종일지 모르니 확인해 보라 부탁을 하였다. 나비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87 https://qweenbee.tistory.com/8890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6 http.. 2013. 6. 10. 떡잎골무꽃(꿀풀과 골무꽃속) 2013. 5. 26. 전남. 골무꽃 동네도 만만치가 않다. 언제 제대로 살펴봐야 할텐디...떡잎골무꽃이 아니면 그냥골무꽃으로 봐야 하는데...잎맥의 함몰이 뚜렷하고 약간 삼각상 심장형 잎으로 봐서 떡잎골무꽃으로 정리해 둔다 골무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04 https://qweenbee.tistory.com/8897674 https://qweenbee.tistory.com/8901071 https://qweenbee.tistory.com/8905733골무꽃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0729 https://qweenbee.tistory.com/890.. 2013. 5. 29. 선버들과 버드나무는 어케 다르지? 2013. 4. 11. 두 녀석을 비교한다는 자체가 별로 의미 없을 수도 있다. 헌데 나는 두 녀석의 차이점을 공부하지 않고 거의 비슷한 녀석으로 알고 있다가 어제 선버들을 처음 접하고 두 녀석에 대하여 정리를 해 둘 필요가 있을 것 같아서 자료를 정리해 본다 비슷한 점 : 서식 환경이 같은 곳이고 꽃이 피는 시기, 수형도 비슷하다 다른 점 : 꽃밥의 색, 수피, 화서의 크기, 열매의 털,수술의 수, 탁엽 수술 꽃밥 수술의 수 화서의 크기 개화 시기 잎 탁엽 수피 선버들 노란색, 3개 길고 느슨함 자방에 대가 있음 4월 초 (안동 기준) 잎 끝이 갑자기 좁아짐 잎자루를 둘러 싸는 듯, 사마귀돌기가 있음 바둑판처럼 납작하게 갈라터짐 버드나무 붉은색 2개 짧고 조밀함 자방에 대가 없음 4월 초 (안동 기준).. 2013. 4. 12. 유럽점나도나물/점나도나물 비교 2013. 3. 1. 제주. 유럽점나도나물은 취산화서로 꽃이 필 때는 둥글게 뭉쳐 있지만 열매가 자라면서 성글게 된다 식물체가 담록색으로 전초에 퍼진 털과 선모가 밀생한다 북점나도나물 유럽점나도나물 점나도나물 꽃잎은 5개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거나 짧으며 깊이 2개로 갈라진다. 꽃은 취산화서로 밀집되어 있으며 선모와 개출모가 밀생 꽃자루는 꽃받침 길이보다 짧거나 같다 취산화서는 엉성하게 꽃이 달리며 털이 적다 꽃잎은 5개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거나 짧으며 깊이 2개로 갈라진다. 난형 또는 난상 양끝이 좁고 잔털이 있다. 잎은 긴털이 많고 담록색 잎은 털이 적고 진한 녹색 줄기나 꽃받침은 자색을 띰 줄기나 꽃받침조각 담록색을 띰 줄기나 꽃받침은 자색을 띰 화서가 밀집하고 선모와 개출모가 매우 많.. 2013. 3. 20.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