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505

당조팝나무와 아구장나무 당조팝나무와 아구장나무는 다들 구분하기 어려워한다.사진을 담을 때 꽃의 정면만 담으니 정체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밖에....헌데 그 구분점을 알고 나면 에거거~! 하고 웃을 게다.  잎 모양 잎의 털 엽병 화서화경의 털  어린 가지 아구장나무 길이 3-4㎝타원형, 도란형 표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고, 뒷면은 맥을 따라 흰털,  길이 2-3mm흰털이 성글다새가지 끝에 15-20개  소화경 길이 0.7-1.2cm  털이 없다 소지에는 털이 있다 당조팝나무 길이 3-5cm난형 또는 도란형  표면은  잔털 있고 뒷면에 황색 밀모  길이 4-10mm황색  밀모 16-25개 산형화서 화서에 털이 많고, 화경 길이 0.5-1cm 소지는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아구장나무당조팝나무  꽃받침과 화경에 털이 없이 매끈하다 .. 2012. 5. 24.
보현개별꽃을 찾았다!!! 2012. 5. 12. 보현산. 모 사이트에서 큰개별꽃과 태백개별꽃 때문에 여러 이야기가 나오다가보현개별꽃과 비슬개별꽃의 실체에 대한 문의를 하게 되었다. 헌데 친분이 있는 꽃동무들도 아직 보현개별꽃을 보지 못하였다 하고보현산을 자주 찾는 꽃동무도 아직 보현개별꽃을 본 적이 없다고 하면서자꾸만 종이 분류되어 머리가 아프다고 투덜거리는 소리를 들었다. 국생종에 있는 개별꽃속 녀석을 비교분류표를 만들어 봐도 보현개별꽃에 대한 이지미가 떠오르지 않고검색을 해도 덩굴개별꽃을 찍어 올린 자료가 뜨기도 하였다. 보현개별꽃은 큰(태백)개별꽃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으로 보현산에서 서식이 확인되어서 학계에 보고된 녀석이다아래 내용은 국생종의 기재문을 간추린 내용이다  꽃 : 개방화는 액생 드물게 줄기 윗마디 말단부에 정생.. 2012. 5. 14.
개자리/좀개자리/잔개자리/애기노랑토끼풀/노랑개자리/자주개자리 비교 2010. 7. 6. 콩과 개자리네 식구도 제법 모였다. 이름을 달아두고도 늘 만나면 또 인지 인지 헷갈린다. 한 화면에 담으려니 너무 작고 구분될 정도로 키우려니 화면이 넘친다. 개자리 잔개자리 좀개자리 노랑토끼풀 애기노랑토끼풀 꽃 2~6 송이 두상화서 10~30여 개, 두상화서형의 총상화서, 6~15개 정도, 두상화서로써 반원형. 두상화서형 총상화서로써 반타원형의 모양 30 여 개, 꽃받침 5갈래 두상화서로써 원형 또는 반원형이다. 7~20개 내외 잎 어긋나기 3출엽. 넓은 도란형, 잎끝이 둔하거나 오목하게 들어간 듯함 도란형 또는 원형에 가깝다. 앞,뒷면에 선모가 있지만 좀개자리에 비해 짧다. 도란형으로 3출엽이고 잔개자리에 비해 선모가 길고 많게 보임 어긋나기 3출엽 도란형 끝부분에 톱니 3출엽,.. 2012. 5. 5.
뿌리잎-초오속 2012. 4. 28. 태백. 그래 이 녀석도 이름 붙이기 에롭지만 아마 투구꽃이겠지? 그래도 모르겠다. 4. 22. 예천 4. 27. 영양. 2012. 5. 1.
뿌리잎-초오속 2012. 4. 28. 태백. 초오속 녀석이다. 근생엽이 무척 가늘고 깊게 갈라져 있다. 가는돌쩌귀, 백부자, 놋젓가락나물 등의 잎이 가늘게 갈라지긴 하는데 이름을 못 찾겠다. 흰진범/노랑투구꽃/선투구꽃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90526 노랑투구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524 http://blog.daum.n.. 2012. 5. 1.
호장근/감절대/왕호장근/(붉은)호장근 마디풀과인 이 녀석들은 줄기가 꽤나 굵고 1m 이상 자라지만 줄기속은 텅 비어 있는 속빈 강정같은 녀석들이다 주로 냇가나 산기슭에 서식하는데 지금은 호장근에 통합되었지만 꽃이 붉고 잎자루와 줄기도 붉은색을 띠고 있어서 이란 접두어를 가지고 있던 붉은호장근은 제주 한라산에 흔하게 볼 수 있었다. 울릉도에서 만난 왕호장근은 이란 이름에 걸맞게 잎이 내 손바닥을 다 펼쳐도 덮어지지 않을만큼 크고 전초가 2mm 정도 가까이 자라는 장대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잎 아래가 둥근 원형을 하고 있는 감절대도 호장근과 비슷한 녀석으로 도랑가나 산자락에 자라는데 , 엽저가 잘린 모양을 한 호장근과 엽형에서 차이가 난다. 호장근의 뿌리를 약재로 이용을 하는데 뿌리 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싹이 돋아 포기를 형성하며 번식을 .. 2012. 4. 30.
뭘까? 2012. 4. 24. 우쒸~~!! 본 듯한 잎새인디.... 덩굴개별꽃은 아니고....가는장구채도 아니고....잎은 큰개별꽃 비슷한디.. 새순을 누가 뜯어 먹은 것 같다. 암튼 석죽과는 분명한 것 같은디.... 큰개별꽃처럼 보이면서 줄기가 벋어 나간다면 보현개별꽃으로 의심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일간 다.. 2012. 4. 26.
팽나무/검팽나무/좀풍게나무/왕팽나무/푸조나무/풍게나무/폭나무 비교 좀풍게나무 팽나무 검팽나무 왕(산)팽나무 푸조나무 풍게나무 폭나무 자방 털 없음 열매 기부 잔털 자방 털 없음 화피편 가장자리 털 자방 털 없음 화피편 중륵 백색털 자방과 화피편에 털 없음, 자방 백색 털 자방 털 없음 자방 백색 털, 화피편 위쪽 백색 털 난형 긴난형, 노목 길이 2-7.5cm, 폭 1-4.5cm 상반부 몇 개의 톱니, 긴가지엽병 8-12mm, 과지5-10mm, 털없음 잎은 찌그러진 난형, 넓은 타원형 잎자루 2~12mm 털 있음 난형, 장타원형 전체에 뾰족한 톱니 길게뾰족, 다소 두터움, 긴가지 엽병 13-23mm, 과지 7-15mm 타원형, 난상타원형, 잎끝 평평한 결각상, 꼬리 빠짐,예리한 톱니 잎자루 7~15mm 장타원형, 난형 끝 뾰족,가장자리 전체 예리한 톱니 잎자루 5~15.. 2012. 4. 21.
이상한 현호색 -=>봉화현호색 2012. 4. 19. 안 그래도 노란색의 현호색을 발견하고 관찰하고 있던 차에 더 많은 노란색의 현호색이 무리로 서식하고 있다는 정보를 알고 자생 상태를 확인하려고 들렀다. 흠~거의 70~80m 거리 폭 1.5m 정도의 면적에 이 연노란색의 현호색이 무리지어 있었다. 접근이 용이한 곳이라서 맘껏 담.. 2012. 4. 20.
흰털괭이눈(큰괭이눈)/천마괭이눈/누른괭이눈/산괭이눈/선괭이눈/애기괭이눈/가지괭이눈 기브스한 다리 쳐들고 있으려니 갑갑하다.곧 괭이눈 식구들도 산골짝을 노랗게 장식할 것이라...전에 정리해 두었던 비교 자료를 꽃과 무성지를 중심으로 다시 간단하게 만들어 본다.아직 가지괭이눈을 담지 못하였는데 다친 다리 때문에 올해도 가지괭이눈 보기는 요원하다 괭이눈속으로 국생종에 흰괭이눈으로 올라 있는 ,금괭이눈으로 잘못 올려진 2009년 우리나라 중부에 자생이 확인되어 보고된 이 있다. 털괭이눈(C. pilosum) 변종에 대한 정리 학명국명일본C. pilosum var. fulvum    큰괭이눈, 흰털괭이눈이 맞음(국생종에 흰털괭이눈을 흰괭이눈에 통합시켰는데 잘못되었다는 견해 있음)큰괭이눈(흰털괭이눈)C. pilosum var. valdepilosum 천마괭이눈(이걸 금괭이눈으로 오인) C. pi.. 2012. 4. 7.
**버들? 2011. 4. 17. 강원도. 갯버들 암꽃으로 생각하고 담았는데 갯버들 화서에 대한 정보를 보니 아무래도 미심쩍다. 갯버들은 <<<수꽃화서는 길이 3-3.5cm로서 화축에 털이 있고 포는 난형으로 첨두이며 상반부는 흑색으로서 털이 있고 밀선은 1개이며 수술은 2개가 완전히 합생한다. 암꽃화.. 2012. 3. 30.
담배풀/긴담배풀/좀담배풀/두메담배풀/애기담배풀/천일담배풀 정리 2010. 10. 14. 담배풀속 자료가 얼추 모였다. 한라산 숲에서 담은 귀한 애기담배풀까지 모았으니 담배풀 자료를 정리해 본다.여기 저기 써핑을 하다보면 담배풀 이미지가 여기 저기 모두 다르다.국생종이 기재문 내용과 다른 다른 이미지가 올려져 있고 도감마다 사진이 다르기도 하다. 2012. 3. 5. 드뎌 천일담배풀도 자료도 확보되었다.내 눈이 까막눈이라 지난 해 한라산 숲에서 천일담배풀을 만나고도 그걸 애기담배풀로 잘못 올린 걸 이제사 깨달았기 때문이다헌데 정리해 두고 보니 긴담배풀과 좀담배풀의 날개에 대한 기재문과 상치되는 이미지가 보인다.날개 유무에 대한 정보가 쫌 애매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 자료는 99% 자신있다고 할 수 있다.담배풀 속 6형제 자료 완성이다.  여기 정리한 정보는 이우철 .. 2012.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