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505

사상자/큰(개)사상자/긴사상자/벌사상자/무산상자/전호 소산경 수 총포편 소총포 줄기 열매수 열매 길이  열매자루 개화시기 사상자(사상자속) 5~9개(6-20개 꽃)총포 선형,4~8개  선형 소화경에 붙음녹색, 짧은누운털 4~12개 2.5mm~4mm  2~3mm  6~8월 큰(개)사상자(사상자속) 2~4개소화경 복모 총포 없거나1개  선형, 소과경과 길이 비슷 자주색, 긴 잔털 3~6개 4.5mm~5mm 2~10mm  5~6월긴사상자(긴사상자속) 3~6개(5~10개 꽃) 총포 피침형,떨어짐, 소총포 5~6개, 피침형 젖혀짐녹색, 긴 잔털 5~10개 18mm-20mm굳센복모 길다 5-6월벌사상자(갯사상자속) 15-30개10-20 개의 꽃소산경 털 없음 총포 긴삼각형 8-11개 긴 털 있는 9-11개의 송곳형 때때로 자줏빛 털이 있음  10-20여 개 2.3mm.. 2013. 2. 13.
동백나무겨우살이 꽃 2011. 12. 3. 제주.  식물의 식생에 대하여 제대로 알지 못하다 보면 이렇게 바보가 된다.어느 블러그에 올려진 동백나무겨우살이 꽃을 보다가 익은 열매가 함께 있는 것을 보고 아차 싶었다,그래서 제주도에서 10월과 12월에 담아 왔던 열매를 자료 원본을 살펴 보다가 12월 3일의 자료에서 가지 끝 부분에 핀 꽃을 찾아내었다. 이 녀석 개화기를 왜 3~4월이라고 생각을 했을까 돌이켜 보면겨우살이 개화기가 3~4월이라 모든 겨우살이들이 그 때가 개화기라고 입력이 되어 버린 탓이었다.그러니까 꽃을 담아 놓은 것도 모르고 꽃을 담아야 하는데 기다리기만 하고 있었던 거다. 이 녀석의 개화 시기를 확인해 보니이우철 도감에는 봄에서 여름 사이라 되어 있고, 국가생물종지시정보시스템에는 4~5월에 개화한다고 기재.. 2013. 1. 31.
금불초/버들금불초/가는금불초/전의(가는)금불초/가지금불초/갯금불초 국화과는 설상화와 통상화 총포의 포편 모양을 자세하게 익혀 두면 어느 정도 구분하기 쉽다 금불초속 녀석들도 설상화의 길이와 총포 모양은 중요한 구분 점이 된다. 물론 잎의 형태에서도 차이점이 있긴 하지만. 버들금불초에 비하여 전초에 누운 털이 약간 있고 엽질이 얇다. 총포의 포편이 선상 피침형으로 5줄로 배열하고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뒷면 잎맥이 도드라지지 않으며 잎 끝이 뾰족하고 밑은 갑자기 좁아져서 줄기를 감싼다 꽃의 크기는 금불초와 비슷하다. 포엽이 있으며 관모는 8mm로 금불초속 중에서 가장 길다 포편의 모양이 금불초와 다른데 포편 4줄 외포편 넓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내포편은 선형으로 길게 뾰족하다 꽃의 크기는 금불초보다 작고 관모도 3mm로 매우 짧다. 포편은 금불초.. 2013. 1. 2.
곽향/덩굴곽향/개곽향/섬곽향 비교 곽향속에는 곽향, 덩굴곽향, 개곽향, 섬곽향이 있다 곽향과 덩굴곽향은 여린 이미지가 비슷하여 충분하게 특징을 잡아 주지 않으면 사진상으로 동정이 어려울 정도이다.그래도 곽향은 화서가 엉성하고 잎이 작으며 끝이 둔한 난형이라서 구분을 할 수가 있다.덩굴곽향은 그늘진 숲에서 쉽게 만날 수 있지만 곽향은 흔하지는 않은 것 같다. 개곽향은 어디서나 흔하게 만나는 녀석이고 꽃이 피는 모습이 좀 지저분하여서 라는 이름을 잘 붙여 준 것 같다.헌데 덩굴곽향은 검색되는 이미지가 전혀 덩굴성이 아니라서 왜 이란 접두어를 달게 되었을까 아직도 의문이다.덩굴곽향만 지하경이 아니라 다른 두 녀석도 땅속 줄기로도 번식을 하기 때문에 지하경 때문에 붙은 이름도 아닌 듯 하다. 아직 섬곽향은 이름만 들었을 뿐 도감에도 그에 대한 .. 2012. 12. 31.
매발톱나무/매자나무 비교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는 꽃과 잎 가시 열매가 거의 흡사하여 얼핏 구분하기 어렵지만 매발톱나무의 가지에는 1~2cm크기의 세갈래로 갈라진 가시가 있는데 매자나무 가시는 0.5~1cm로 더 짧아서 우선 가시가 먼저 눈에 띈다. 또 잎의 거치와 열매 모양을 잘 살펴보면 쉽게 이름 불러 줄 수 있다. 매자나무 잎의 거치는 불규칙하며 둔하고 잎가장자리가 뒤로 약간 말린 듯하고 뒷면이 회록색인데 매발톱나무 잎의 거치는 규칙적이고 조밀하고 예리하며 잎 뒷면에 녹색이다. 매자나무 열매는 구형이나 난상구형이고 매발톱나무는 길쭉한 원통형, 원기둥 모양으로 성숙한다 매자나무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강원도, 충북 지역의 숲 가장자리 및 하천 가장자리에 주로 서식을 하고 매발톱나무는 일정 고지 이상의 높은 산사면이나 능선부에 서식.. 2012. 12. 29.
비짜루국화/큰비짜루국화 예전에 만들었던 비교 자료의 사진 자료가 충실하지 못하여 다시 자료를 보완한다. 큰비짜루국화는 물가나 농경지 수로 주변 둑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녀석이지만 비짜루국화는 해안지역에 주로 분포하여 내륙에서는 거의 보이지는 않는 녀석이다 두 녀석은 아주 흡사하여 금방 구분.. 2012. 12. 27.
참나물속 열매 살피기 2012. 12. 13. 산형과 화서에는 벌레집이 잘 생겨서 그걸 열매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산형과 중에서도 특히 기름나물 화서를 보면 특별하게 굵은 혹같은 벌레집이 많이 생기는 걸 자주 목격하는데. 아래 사진 속의 화서에 둥근 열매처럼 생긴 게 바로 벌레집이다. <기름나물> 2.. 2012. 12. 13.
애기장대/갯장대/털장대/산장대/느러진장대/장대나물/바위장대/ 잎 표면에 Y자로 생긴 털이 밀생하고 줄기 아래 쪽에는 길게 퍼진 털이 많으며 꽃다지 잎과 비슷하게 생긴 근생엽을 가지고 있다. 제주도와 남해안 해안가에 서식을 하는 녀석은 잎이 두텁고 물경형 거치를 가지고 있는데, 아랫쪽 잎은 혁질로 빳빳하고 줄기와 잎 양면에 퍼진 털과 성모로 덮여 있는 녀석이다.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줄기는 퍼진 털이 있고 잎 뒷면에 2~4개로 갈라진 털이 있다. 습한 숲 자락 양지바른 곳에 주로 서식을 한다. 가지가 많이 분지하고 거의 바닥에 누워서 자라는데 근생엽은 엽병이 있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2~3c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끝이 크고 둔하며 밑부분의 열편은 작아져서 마침내 소돌기로 되어 엽병과 연결되고 정열편이 가장 크며 측열.. 2012. 11. 24.
서어나무속 : 서어나무/개서어나무/소사나무/까치박달/새우나무 비교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으로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긴서어나무, 당개서어나무, 좀산서어나무, 소사나무, 까치박달 7종의 목록이 있다. 그 중에서 4종을 모아서 비교 자료를 정리하는데 개서어나무의 꽃 자료가 아직 부족하여 내년에는 보충을 해야할 거 같다 잎, 꽃과 열매, 수피 부분으로 먼저 비교해 보고, 따로 나무별로 부분 자료의 특징적인 면을 살펴 보았다. 까치박달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소사나무 난형, 긴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7-14cm, 불규칙한 거치 측맥은 12-20쌍이고 표면은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엽액과 맥 사이에 털이 있다. . 타원형 또는 긴 난형 길이 5.5-7.5cm, 꼬리처럼 길게 뾰족 원저, 아심장저, 복거치 측맥은 10-12쌍표면에 털 없음 뒷면 맥 위에 잔털 난형, 타원형, 난상 타원형 .. 2012. 11. 19.
지치/개지치/뚝지치/당개지치/참꽃받이/꽃받이 열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 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 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2744 https://qweenbee.tistory.com/8895919 https://qweenbee.tistory.com/8896428 https://qweenbee.tistory.com/8901995 지치 새싹 : https:/.. 2012. 11. 16.
또 다른 장구채 하나 2012. 9. 30. 경북. 이 산의 녀석도 애기장구채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녀석인데 ㅊ 산의 애기장구채랑은 달라보인다. 바위벽에서 사는 환경은 같고 뿌리잎도 비슷하긴 한데 꽃 가지를 많이 만들어 꽃을 피웠다. ㅊ 산의 녀석은 5월 15~20일 경에 꽃을 피우고 이 곳의 녀석은 씨앗이 맺힌 정도로 .. 2012. 11. 12.
취 종류?? 2012. 10. 6. 덕유산. 총포 포편이 총포에 말착하고 있고 거미줄같은 털이 엉겨 있으며 포편의 수가 5~6개 정도로 보인다. 줄기는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솜분취란 녀석의 특징과 흡사해 보이기는 한데...... 잎은 넓은 난형으로 꼬리가 갑자기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물게 있고 .. 2012.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