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15. 봉정사.
개별꽃의 개방화 열매이다.
헌데 이 녀석은 제비꽃처럼 폐쇄화 열매를 다시 매단다.
개별꽃 뿐만아니라 큰개별꽃, 덩굴개별꽃, 가는잎개별꽃 등, 개별꽃 종류들 대부분 폐쇄화 열매를 단다.
오늘(2013. 6. 22. 경북) 대반하 때문에 들렀던 숲에서 개별꽃 폐쇄화를 관찰하였다.
개별꽃의 줄기 아래와 중간 마디 부근에는 폐쇄화 열매가 달리는데
재미있는 것은 개방화가 달리는 4장의 잎 가운데에도 폐쇄화 열매가 달렸다는 것이다. 마치 넓은잎제비꽃처럼 말이다.
이 녀석이 꽃을 피운 녀석인지 아니면 꽃을 피우지 못하여 폐쇄화를 달았는지 모르겠지만 아마 꽃을 제대로 피우지 못한 녀석 같다.
헐~~!!!
이 녀석 꽃을 피웠던 녀석이다.
열매는 맺지 못한 것 같지만 잎 아래쪽에 꽃이 검게 말라 있는 걸 내가 왜 확인하지 못했을까?
그러면 꽃을 피우고도 그 자리에 폐쇄화 열매를 매단다는 것인데...왜 그럴까?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종 중에서도 현호색 같은 녀석들은
열매와 종자가 떨어질 때 쯤이면 전초가 사그러져서 흔적도 없어져 버리는데
개별꽃이나 제비꽃 같은 녀석들은 이른 봄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떨구고 나서도
여름을 넘기면서 가을까지 전초가 크게 성장하기도 하면서 싱싱하게 남아 있게 된다.
그러면 이 녀석들은 아무 쓰잘데 없이 몸을 키우면서 가을까지 무슨 궁리를 할까?
전초가 건강하고 힘은 넘쳐 나니 영양소를 그냥 삭이기에는 너무 아까울 테고.....
그러니 종족을 많이 퍼뜨리고자 하는 욕심에 폐쇄화를 자꾸 달게 될 것이란 추정을 해 본다.
미국제비꽃이라 불리는 종지나물이 집 마당에 어쩌다가 묻어 들어 오게 되었는데
그 녀석이 쉬지도 않고 땅 속에서 폐쇄화 열매는 뽑아 올려 터뜨리는 바람에 온 마당이 종지나물밭이 될 뻔 한 적이 있다.
그 녀석들을 제거하느라고 진땀을 뺐는데 아직도 구석 구석에 목숨 부지한 녀석들이 남아 있어서 보이는대로 사형 선고를 하고 있다.
개별꽃도 종족을 많이 퍼뜨리고자 하는 본능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러니 이렇게 폐쇄화 열매는 달게 되는 것이려니....
이 녀석 줄기 중간과 뿌리 가까운 마디마다 폐쇄화 열매를 많이도 매달았다
문제는 넉장의 잎 가운데 달린 이 녀석이다.
잎 가운데 생긴 이 것을 살눈으로 보느냐 열매로 보느냐는 다시 확인해야 할 부분인데
잎 가운데 생긴 것은 얼핏 보면 작은 살눈처럼 보이기도 한다.
다른 포기의 녀석은 줄기에 달린 폐쇄화 열매처럼 꽃받침 같은 것이 있는 열매로 보인다.
헌데 개별꽃의 폐쇄화 열매가 과연 제비꽃처럼 정상적인 열매의 기능을 하는지는 의심스러웠다.
물론 종족을 많이 퍼뜨리기 위하여 폐쇄화 열매를 달았으니 개방화 열매와 별 차이가 없겠지만
제비꽃이 폐쇄화 열매 종자는 눈으로 확인을 한 적이 있는데, 개별꽃 폐쇄화 열매는 종자를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숲길을 벗어나려고 할 때 꽃동무가 부른다.
와우~!! 대박이다.
줄기에 달려 있던 폐쇄화 열매가 벌어지고 황색 종자가 마악 이소를 할 찰나이다.
결국 개별꽃 폐쇄화 열매도 제비꽃 폐쇄화 열매처럼 보석같은 종자를 품고 있었다.
아마 잎 가운데 생긴 녀석도 살눈이 아닌 열매로 짐작이 된다.
ㅎ...이렇게 새로운 사실을 알아가는 재미로 주말마다 숲을 찾지 않을 수가 없다
고마워 아그야!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
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
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9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1 https://qweenbee.tistory.com/8905288
https://qweenbee.tistory.com/8908343 https://qweenbee.tistory.com/8911063
숲개별꽃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2029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7
https://qweenbee.tistory.com/8905394
숲개별꽃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8349
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79 https://qweenbee.tistory.com/8889747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3 https://qweenbee.tistory.com/8893599
https://qweenbee.tistory.com/8895552 https://qweenbee.tistory.com/8897403
https://qweenbee.tistory.com/8901963 https://qweenbee.tistory.com/8905196
https://qweenbee.tistory.com/8906575 https://qweenbee.tistory.com/8908759
https://qweenbee.tistory.com/8910321
개별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00
개별꽃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3579
긴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602 https://qweenbee.tistory.com/8895613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6 https://qweenbee.tistory.com/88992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787 https://qweenbee.tistory.com/8905286
https://qweenbee.tistory.com/8908762 https://qweenbee.tistory.com/8911064
긴개별꽃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1976
긴개별꽃 새싹: https://qweenbee.tistory.com/8905065 https://qweenbee.tistory.com/8905195
참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7 https://qweenbee.tistory.com/8899203
큰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1627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2
https://qweenbee.tistory.com/88931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718
https://qweenbee.tistory.com/8895555 https://qweenbee.tistory.com/8900755
https://qweenbee.tistory.com/8900857 https://qweenbee.tistory.com/8902165
https://qweenbee.tistory.com/8905197 https://qweenbee.tistory.com/8905289
https://qweenbee.tistory.com/8910319 https://qweenbee.tistory.com/8908758
https://qweenbee.tistory.com/8910320 https://qweenbee.tistory.com/8911062
https://qweenbee.tistory.com/8911849
큰개별꽃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5432
태백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4 https://qweenbee.tistory.com/8887913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0 https://qweenbee.tistory.com/8893550
https://qweenbee.tistory.com/8889745 https://qweenbee.tistory.com/8900903
https://qweenbee.tistory.com/8891597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8
https://qweenbee.tistory.com/8902393 https://qweenbee.tistory.com/8902497
https://qweenbee.tistory.com/8908716 https://qweenbee.tistory.com/8910252
https://qweenbee.tistory.com/8911061
덩굴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19 https://qweenbee.tistory.com/8889821
https://qweenbee.tistory.com/8889746 https://qweenbee.tistory.com/8891732
https://qweenbee.tistory.com/8893601 https://qweenbee.tistory.com/8895554
https://qweenbee.tistory.com/8900685 https://qweenbee.tistory.com/8900940
https://qweenbee.tistory.com/8903919 https://qweenbee.tistory.com/8905198
https://qweenbee.tistory.com/8906576 https://qweenbee.tistory.com/8908757
https://qweenbee.tistory.com/8910255
가는잎개별꽃: https://qweenbee.tistory.com/8904085 https://qweenbee.tistory.com/8904086
https://qweenbee.tistory.com/8904660 https://qweenbee.tistory.com/8907375
https://qweenbee.tistory.com/8907376 https://qweenbee.tistory.com/8911148
가는잎개별꽃 어린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1272
https://qweenbee.tistory.com/8904084
보현개별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1756 https://qweenbee.tistory.com/8903784
https://qweenbee.tistory.com/8908760 https://qweenbee.tistory.com/8910351
보현개별꽃 포복 줄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1872
보현개별꽃/태백개별꽃/덩굴개별꽃 비교 : https://qweenbee.tistory.com/8903783
지리산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3797
지리산개별꽃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902491
가거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5
가거개별꽃 열매와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0
덩굴개별꽃sp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98 https://qweenbee.tistory.com/8910249
https://qweenbee.tistory.com/8910253 https://qweenbee.tistory.com/8910254
'들꽃공부방 > 식물공부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문동속과 맥문아재비속 살피기 (0) | 2013.12.28 |
---|---|
다북떡쑥(국화과)의 이가화를 확인하다 Anaphalis sinica Hance (0) | 2013.07.22 |
동백나무겨우살이 꽃 (0) | 2013.01.31 |
참나물속 열매 살피기 (0) | 2012.12.13 |
개싹눈바꽃(미나리아재비과) (0) | 201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