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502

**싸리(콩과 싸리나무속) 2014. 7. 12. 경남. 습지로 들어가는 길에 만난 싸리나무 종류가 평소 보던 녀석과는 달랐다. 보이는대로 담아 왔더니 두 종류가 섞여 자라고 있었는데 참싸리로 보이는 녀석과 이 녀석이다. 이 녀석은 화경이 길게 나와서 원완추상으로 꽃이 달려 있었다 이 녀석 꽃을 보니 익판과 용골판의 .. 2014. 7. 24.
비타민나무(보리수나무과) Hippophae rhamnoides subsp. mongolica Rousi 2014. 7. 5. 경북. 묵밭 습지 한쪽에 잎 폭이 1cm에 가까운 피침형의 잎을 가진 녀석이 보인다잎 뒷면이 은백색을 띠고 피침형으로 봐서 버드나무속으로 보이는데 꽃버들이란 녀석이 대상으로 떠오른다꽃버들은 잎 뒷면이 완전히 백색이고 황갈색 점들이 덮여 있다. ㅎ.....어쩐지 묵밭에 심겨져 있는 것 같다고 하더니이 녀석이 최근 건강식물로 많이 재배하고 있는 비타민나무로 보인다. 암수딴그루라고 하는데 붉은 열매가 마치 피라칸다 열매처럼 다글다글 달리던데 열매가 비타민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모양이다.  잎 뒷면이 은백색이고 어린 가지에도 은백색으로 덮여 있다.  잎 뒷면이 이렇게 완벽한 백색이었고 황갈색 잔점들이 덮고 있다  동아는 둥글고 역시 융모로 덮인 것 같다 마치 보리밥나무 잎의 인모 같은.. 2014. 7. 22.
꽃창포 해부하기 2014. 7. 12. 경남. 전부터 붓꽃과 녀석들의 암술과 수술이 궁거웠었다. 꽃창포 꽃에 대한 도감 상의 설명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달리며 적자색이고 안쪽에 황색 줄이 있다. 외화피는 3개이며 주걱모양으로 굵은 화경 위에서 현부가 밑으로 처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맥이 있고 밑부분은 황색 무늬가 있다. 내화피는 3개이며 외화피와 호생하여 곧추서고 피침형 둔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외화피 색과 같다. 암술대는 외화피를 따라 휘어져서 끝이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삼각상의 열편이 곧추선다. 자방은 연녹색이며 하위이다. 꽃 밑부분은 엽초상의 포 2개가 자방을 둘러싼다. 화피와 암술대에 대한 도감의 설명을 보면 이해는 하지만 수술은 어떻게 생겼는지 참 궁금했었다. 해서 오늘 숨 막.. 2014. 7. 21.
산형과인디..... 2014. 6. 28. 제주. 여태 봤던 산형과 녀석들과는 좀 다른데 .... 구릿대 쪽 녀석 중 한 녀석 같은디..... 2014. 7. 9.
비짜루/방울비짜루/노간주비짜루/망적천문동/천문동-비짜루속 살피기 1. 엽상지가 곧은 모양이다(침 모양)   2. 꽃자루가 8.1mm 보다 길다. 열매 직경 8~10mm----------------------------------방울비짜루   2. 꽃자루가 7.1mm 보다 짧다. 열매 직경 5~8mm-----------------------------------망적천문동1. 엽상지가 굽은 모양이다(낫 모양)   3. 목질화 된 덩굴성이고 꽃자루의 길이 3.0~6.8mm, 암꽃의 화피는 뒤로 젖혀진다------천문동   3. 다년초이고 꽃자루의 길이는 0.6~2.7mm이며  암꽃의 화피는 곧다       4. 꽃자루 길이 0.87mm 정도이다----------------------------------------------비짜루       4. 꽃자루 길이 1.61mm .. 2014. 7. 8.
북개벚지나무(장미과 벚나무속)? 2014. 5. 26. 경북. 북개벚지나무라고라? 개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의 자연교잡종으로 추청이 되는 녀석이라 하는디... 화서 기부에 작은 잎 모양의 포엽이 1장씩 붙어 있단다. 내가 처음 본 녀석은 기어이 찾아가 봐야 하는 아주 고약한 성질이라 찾아 가 볼 수 밖에 없다. ㅎㅎ 정상에 차를 주차해 놓고 북사면 등산로를 따라 천천히 이동하는데 약간 번들거리는 벚나무 수피가 눈에 들어 온다 고개를 들어 올려다 보니 이미 꽃잎이 다 떨어진 화서가 가지 끝에 흔들리고 있다. 부러진 잔 가지를 주워서 까치발까지 하고 꽃 가지를 걸어 당겨서 포엽을 확인하니...한 개의 포엽이 확인이 된다 오예~!! 그 녀석이구나!!! 북개벚지라는. 화서 아래 부분에 작은 잎 모양의 포가 달려 있다 헌데 아직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2014. 6. 3.
남방바람꽃 국명에 관한 논란 최근까지 남방바람꽃으로 알려져 있던 이 녀석을 네이쳐에서 남바람꽃이란 이름으로 개명을 하고 올려져 있다. 헌데 이 녀석은 한국표준식물목록에도 올라 있지 않는데 실체가 분명하게 있는데 표준식물목록에는 등록이 안되어 있다는 사실이 의아스럽다 이 녀석이 남바람꽃으로 불려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얼마 전 제주에 내려갔다가 꽃동무와 함께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제주의 1100습지에서 자연생태해설가로 근무하면서 인터넷 일간 매체에 장기간 식물 관련 글을 기고하고 있던 꽃동무가 얼마 전에 썼던 남방바람꽃에 관한 글 중 일부이다 남방바람꽃이라는 이름은 남쪽에 피는 바람꽃이라는 뜻일 텐데 재미있는 것은 북방계 식물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남방바람꽃은 남바람꽃, 봉성바람꽃이라 부르기도 하고 심지어 제주에서 발견될 때는.. 2014. 5. 20.
개가시나무/참가시나무/종가시나무/붉가시나무-잎모양 2014. 2. 22. 제주.          가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697가시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77   https://qweenbee.tistory.com/8893144                    https://qweenbee.tistory.com/8909866 참가시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85   https://qweenbee.tistory.com/8893145https://qweenbee.tistory.com/8895124     https://qweenbee.tistory.com/8902053 https://qweenbee.tistory.co.. 2014. 3. 2.
열대식물인디....Cordyline australis 2011. 5. 14. 제주. 오래 전 커다란 열대 수종 나무에 꽃이 핀 걸 담아 놓고 이름을 찾지 못했는데..... 오른쪽나무는 당종려인데 꽃이 핀 나무가 다른나무 같다. 헐~~! 2014. 2. 2.
서어나무/개서어나무/소사나무/까치박달 동아와 수피 비교 2014. 1. 4. 금산. 한 곳에 서어나무와 개서어나무 소사나무 까치박달까지 분포하고 있어서 한참 헷갈렸다. 산 정상부의 풍광보다도 산으로 오르는 길섶 나무의 수피와 동아를 들여다 보다가 진이 다 빠져 버렸다 서어나무 겨울눈은 개서어보다 약간 더 크고 가지에서 벌어진 각이 개서어보다 더 벌어져 있으며 어린 가지에 털이 없지만 잔 가지 끝의 전년지에는 더러 털이 성글게 보이기도 한다. 서어나무 가지를 골라서 촬영하였는데 원본을 확대하여 보니 위에서 두 번째 개서어 녀석이 하나 섞여 버렸다. 동아 크기가 서어나무보다 조금 작고 가지 쪽으로 휘어져 붙어 있는 형상이며 어린 가지의 털이 매우 밀생한다 개서어나무는 1년지에 털이 융모처럼 부숭부숭하다 어린 가지에 털이 거의 없고 가지가 제일 가늘고 겨울눈도 매.. 2014. 1. 7.
미나리아재비속 2013. 7. 6. 강원도. 이곳 저곳 몇 군데서 만나 보았지만 아직도 이름 못 찾아 준 녀석 개구리갓 : http://blog.daum.net/qweenbee/8893138 http://blog.daum.net/qweenbee/8893139 http://blog.daum.net/qweenbee/8889489 http://blog.daum.net/qweenbee/8893086 http://blog.daum.net/qweenbee/8895284 http://blog.daum.net/qweenbee/8895474 개구리갓 열매 : http.. 2014. 1. 6.
맥문동속과 맥문아재비속 살피기 2013. 12. 22. 전남. 남도에서 담아온 맥문아재비속 녀석을 두고 실맥문동이다, 소엽맥문동이다 한참 분분하다가 결국 결론을 내리지 못하였다. 포짬에 1~2개 혹은 3~4개의 열매가 달린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꽃받침으로 보이던 것이 화피편(꽃잎)이 그대로 남아서 열매 아래 붙어 있었다는 걸 새롭게 확인하게 되었고 하나의 소화경에 2~4개의 열매가 달려 있는 것을 포짬으로 잘못 이해를 했다는 사실도 확인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그 포짬에 몇개의 꽃이 핀다는 것이 확인이 되지 않으니 실맥문동인지 소엽맥문동인지 확인하기 어렵게 되어 버렸다. 도감을 통해서 두 녀석 모두 뿌리에서 포지를 내어 개체가 번식이 된다는 것이 확인이 되었는데 실맥문동은 '몹시 모여난다'는 내용도 있다고 한다(내용을 직접 확인을.. 2013.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