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8. 16. 울릉도.
울릉도 도착 첫날 다른 일행들의 일정에서 빠져 나와서 도동에서 저동까지 해안 산책로를 걸었다.
작년에 두번이나 울릉도에 다녀 왔지만 다른 일정에 짬짬이 움직이는 바람에
해안 산책로 중간 쯤 가다가 되돌아 나오느라고 관리하는 울타리 안에 있는 섬현삼을 보고 왔었다.
이 번에는 끝까지 걸었던 덕분에 해안가에서 자생하는 섬현삼을 볼 수 있는 수확을 얻었다.
학자들에 따라 줄기의 날개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
섬현삼의 존재- 점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고 보는 시각도 있다고 한다.
두터운 잎과 잎자루의 날개, 꽃받침의 모양 등은 두 녀석이 거의 같은 점이기 때문이다.
개현삼이 서식 환경의 차이에 따라 생태형으로 변화가 있는 게 아닌가 하고 보는 견해가 있다고 하는데
이에 대한 확실한 연구는 아직 없는 모양이다.
꽃받침 열편은 둔한 원형으로 서로 포개어져 있다. 열편 가장자리는 얇고 흰 막질이었다.
줄기는 사각이 뚜렷하고 날개라고 까지 할 수는 없지만 능선이 예리하였다.
잎자루에 얕은 날개가 있는데 개현삼보다는 좁은 날개다.
열매를 많이 달고 있으니 후손들이 많이 퍼질 것이로다.
저 바위 틈에서도 당당하게 서 있는 녀석의 모습이 참으로 대견스럽다
토현삼/큰개현삼/일월토현삼/섬현삼/현삼/개현삼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08
현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745 http://blog.daum.net/qweenbee/8888805
http://blog.daum.net/qweenbee/6099427
섬현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63 http://blog.daum.net/qweenbee/8890160
http://blog.daum.net/qweenbee/8892475
토현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01 http://blog.daum.net/qweenbee/8890302
http://blog.daum.net/qweenbee/8886601 http://blog.daum.net/qweenbee/8888746
http://blog.daum.net/qweenbee/8890381 http://blog.daum.net/qweenbee/8892196
http://blog.daum.net/qweenbee/8892564
개현삼 : http://blog.daum.net/qweenbee/8891035 http://blog.daum.net/qweenbee/8891998
http://blog.daum.net/qweenbee/8891999 http://blog.daum.net/qweenbee/8892157
큰개현삼 : http://blog.daum.net/qweenbee/8892409 http://blog.daum.net/qweenbee/8890380
http://blog.daum.net/qweenbee/8892408
일월토현삼 : http://blog.daum.net/qweenbee/8886513 http://blog.daum.net/qweenbee/8892195
http://blog.daum.net/qweenbee/8892353
'지역별식물 > 울릉도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두루미꽃(백합과) 열매 (0) | 2012.08.23 |
---|---|
담배풀(국화과) (0) | 2012.08.23 |
울릉연화바위솔(돌나물과) (0) | 2012.08.22 |
마주잎꾸지나무(뽕나무과 닥나무속) 열매 (0) | 2012.08.21 |
푸조나무(느릅나무과 푸조나무속) (0) | 2012.08.20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