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참나무속 6형제에 이어 가시나무속 6형제의 잎 모양 비교 자료를 완성해 본다.
아래표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기재문을 요약하였다.
가시나무 | 참가시나무 | 붉가시나무 | 종가시나무 | 개가시나무 | 졸가시나무 |
어긋나기, 피침형 | 어긋나기, 피침형 |
어긋나기, 긴타원형 긴달걀형 |
어긋나기 도란형, 광타원형 |
어긋나기, 도피침형 |
어긋나기, 도피침형 |
잔톱니 뒷면 회백색, 털 없음
측맥 11~15쌍 |
상반부에 날카로운 톱니, 뒷면 백색, 밀모
측맥 10~12쌍 |
가장자리 밋밋, 윗부분에 톱니가 있는 경우도 있음 뒷면 연녹색 측맥 9~13쌍 |
상반부 안으로 굽은 톱니, 뒷면 회백색 |
상반부 날카로운 톱니,뒷면 황갈색 밀모
10-14쌍의 측맥 |
가장자리 물결모양 톱니, 뒷면 연녹색
측맥 6~9쌍 |
열매깍정이 6~7개의 동심원층 | 열매깍정이 7~9개의 동심원층 | 열매깍정이 5~6개
동심원층, |
열매깍정이 5~6개
동심원층, 겉에 무모 |
열매깍정이 6~7개
동심원층 |
깍정이 겉면은 비늘조각이 기와처럼 포개지고 잔털이 빽빽함 |
<가시나무>
잎은 어긋나기 피침형으로 좁고 끝이 길게 빠져 있고 자잘한 거치가 잎자루 가까이까지 나 있었다.
잎 뒷면은 털이 없고 회백색이며 맥이 크게 드러나지는 않았다. 측맥이 11~15쌍이다
종가시나무 보다도 잎이 좁고 끝이 길게 빠져 있고 자잘한 거치가 잎자루 가까이 까지 나 있었다.
<참가시나무>
이 녀석도 그리 흔하게 보이지는 않는다.잎의 모양은 가시나무와 가장 비슷한 점첨두 피침형으로 잎 상반부에만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뒷면은 백색 밀모가 있다.
위쪽에는 예리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처음에는 털이 있으며 특히 뒷면에 처음에는 융모가 있으나 모두 없어지고 납질이 생겨
백색으로 되며 10-12쌍의 측맥이 있다.
<개가시나무>
화순곶자왈에서 개가시나무를 만난 적이 있는데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개체가 그리 흔하지 않다.
잎은 도피침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고 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2cm, 너비 2-3.5cm로서
상반부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황갈색의 성모가 밀포하며 10-14쌍의 측맥이 있다.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는 암갈색이며 다소 조각으로 벗겨지고 소지는 황갈색 밀모로 덮여있다.
잎 뒷면, 잎자루, 어린가지가 황갈색 밀모로 덮여 있다.
개가시나무 동아는 인편이 붉고 가늘고 길쭉한 모양이다
<종가시나무>
제주의 숲에서 볼 수 있는 가시나무 중에서 가장 흔한 녀석이다.
종가시나무 동아는 길쭉한 개가시나무에 비하여 둥근 타원형으로 인편이 누른색이고 크고 통통하다.
잎은 호생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점첨두로서 끝이 둥글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7~12cm, 나비2.5-3.5cm로서
상반부에 안으로 꼬부라진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윤채가 있고 털이 없으며 다갈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며 복모가 있으나 거의 없어진다.
<붉가시나무>
제주도에도 이 녀석 흔하지만 완도의 상록수림은 이 붉가시나무와 구실잣밤나무가 우점을 하고 있다.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도는 긴 난형이고 길이 7-13cm로서 점첨두이며 끝이 둥글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는 것도 있다.
표면은 광택나는 짙은 녹색, 뒷면은 황록색이며 어릴 때는 갈색 면모로 덮여 있으나 없어지고 혁질이며, 엽맥은 9~13쌍이다
<졸가시나무>
우리나라 자생 식물이 아니라 일본 원산으로 조경용으로 많이 식재 한다. 이름대로 잎이 작다.
잎은 호생하고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혁질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둔두 또는 약간 예두이고 원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다.
길이 3-6cm, 나비 1.5-3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양면의 중륵 기부에 털이 있고
측맥은 6-9쌍이다.
가시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77
참가시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485
개가시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72 http://blog.daum.net/qweenbee/8889452
http://blog.daum.net/qweenbee/8891160 http://blog.daum.net/qweenbee/8891398
붉가시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71 http://blog.daum.net/qweenbee/8891224
http://blog.daum.net/qweenbee/8892136
종가시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11 http://blog.daum.net/qweenbee/8887368
http://blog.daum.net/qweenbee/8891399 http://blog.daum.net/qweenbee/8891195
졸가시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73 http://blog.daum.net/qweenbee/8889312
가시나무/참가시나무/개가시나무/종가시나무/붉가시나무/졸가시나무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89487
'들꽃공부방 > 풀나무 비교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른괭이눈/천마괭이눈/큰괭이눈(흰털괭이눈)/산괭이눈/선괭이눈/애기괭이 (0) | 2011.04.19 |
---|---|
변산바람/너도바람/나도바람/세바람/들바람/태백바람/만주바람/남방바람/바람/회리바람 외 (0) | 2011.03.17 |
낙상홍/미국낙상홍 비교 (0) | 2011.01.04 |
싸리/참싸리/조록싸리/털조록싸리/좀싸리/괭이싸리/광대싸리/개싸리/흰전동싸리/해변싸리 (0) | 2011.01.04 |
떡윤노리나무/윤노리나무 비교 (0) | 201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