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른괭이눈>
2011. 4. 17.
이 녀석을 여태까지 천마괭이눈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지난 해에 모 꽃동무의 누른괭이눈에 대한 소고를 읽고
이 녀석이 바로 누른괭이눈일 가능성이 있다는 걸 생각하게 되었다.
종자 표면이 매끈한지를 확인해 봐야 확실하다고 하는데 종자 확인은 하지 못하였다.
포엽에 황금색이 뚜렷한 점은 천마괭이눈과 같은데, 누른괭이눈 어린 무성지에 흰줄무늬가 뚜렷하다는 거다.
<괭이눈 살피기>
꽃이 필 때 <천마괭이눈>은 꽃과 더불어 포엽 전체가 노랗게 변하고, <누른괭이눈>은 포엽의 중간 정도만 노랗게 변한다.(누른괭이눈 2009년에 발표) 누른괭이눈의 무성지(꽃이 피지 않은 어린 신초) 잎에는 흰 줄무늬가 뚜렷하다. <큰괭이눈(흰털괭이눈)>은 꽃만 노란색이고 포엽은 그냥 녹색이다.
포엽에 대한 꽃의 크기 비율은 큰괭이눈> 천마괭이눈>누른괭이눈 순으로 작아진다. 큰괭이눈(흰털괭이눈)은 포엽에 비해서 꽃이 가장 크고, 누른괭이눈은 포엽에 비해서 꽃이 매우 작다. |
어린 무성지에 흰 줄무늬가 뚜렷하다.
<천마괭이눈> C. pilosum var. valdepilosum
2011. 4. 17. 강원도.
강원도라 아직 이른 감이 있긴 하지만 어딜 가나 괭이눈이 한창 도랑가를 장식하고 있다,
이 녀석 포엽이 황금색에 꽃이 작기에 누른괭이눈이 아닐까 하고 살펴보았더니 무성지에 흰줄무늬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포엽에 대한 꽃의 크기 비율은 큰괭이눈> 천마괭이눈>누른괭이눈 순으로 작아진다.
포엽에 대한 꽃의 크기 비율이 누른괭이눈보다 더 큰가?
천마괭이눈은 무성지에 흰 줄무늬가 없다.
역시 이 녀석 천마괭이도 털괭이눈 변종이라 줄기와 잎 뒷면에 흰털이 길다.
<큰괭이눈(흰털괭이눈)>C. pilosum var. fulvum
2011. 4. 16. c산.
털괭이눈(C. pilosum) 변종에 대한 정리 | ||
학명 |
국명 |
일본 |
C. pilosum var. fulvum | 큰괭이눈, 흰털괭이눈이 맞음 (국생종에 흰텅괭이눈을 흰괭이눈에 통합시켰는데 잘못 되었다는 견해 있음) |
큰괭이눈(흰털괭이눈) |
C. pilosum var. valdepilosum | 천마괭이눈(이걸 금괭이눈으로 오인) | |
C. pilosum var. sphaerospermum | 실제 금괭이눈은 국내 분포 확인이 안됨 | 황금괭이눈 |
C. album | 흰괭이눈 |
포엽의 크기에 비하여 꽃이 매우 큰 녀석이다.
무성지 잎의 앞 뒷면, 줄기에 흰털이 길다. 포엽은 녹색이다. 포엽에 비하여 꽃이 무척 커서 기형적인 느낌마저 있다.
무성지의 잎 앞 뒷면에 털이 있다.
<산괭이눈>
2011. 4. 16. c 산.
이 녀석은 털괭이눈속 하고는 다른 속이다.
줄기가 녹색이고 꽃받침잎이 짧으면서 완전하게 제껴진다. 잎의 결각이 둥글고 대칭을 이룬다.
줄기는 연한 녹색이며 드물게 털이 있다. 줄기 잎은 어긋나기이다.
<선괭이눈>
2010. 4. 21.
선괭이눈은 산괭이눈과 전초가 녹색으로 생김이 비슷하나 잎의 결각이 다소 불규칙하고 가장자리가 물결형을 이룬다.
선괭이눈의 꽃 악편은 위로 서지만 산괭이눈의 악편은 밖으로 완전하게 제껴진다.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는 점도 다른데 잎은 마주나기다. 화서의 총포엽은 계란형으로 톱니가 불규칙하다.
꽃받침잎이 펼쳐지지 않고 선다. 줄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잎은 마주나기이다
<애기괭이눈>
2011. 4. 16. c산.
이름만큼이나 잎과 꽃이 자잘하고 꽃가지를 많이 친다.
잎이 호생하며 뻗는 가지의 끝이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고 새싹이 돋는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흔히 없어지고 새싹에서 돋은 잎은 근생엽같지만 엽병이 길며 길이와 폭이 각 4cm로서 크고
밑부분이 뚜렷한 심장저이며 겉에 털이 있다. 경생엽은 심원형이고 둥근 톱니가 있으며 길이 3-10mm,
폭 4-12mm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다
누른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633 http://blog.daum.net/qweenbee/8887707
http://blog.daum.net/qweenbee/8887649 http://blog.daum.net/qweenbee/8893327
http://blog.daum.net/qweenbee/8895510 http://blog.daum.net/qweenbee/8897320
http://blog.daum.net/qweenbee/8897465 http://blog.daum.net/qweenbee/8899026
http://blog.daum.net/qweenbee/8900705
누른괭이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3508
천마괭이눈(금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708 http://blog.daum.net/qweenbee/8889635
http://blog.daum.net/qweenbee/8887607 http://blog.daum.net/qweenbee/8893326
http://blog.daum.net/qweenbee/8893502 http://blog.daum.net/qweenbee/8895511
http://blog.daum.net/qweenbee/8897642 http://blog.daum.net/qweenbee/8899053
흰털괭이눈(큰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634 http://blog.daum.net/qweenbee/8889481
http://blog.daum.net/qweenbee/8889482 http://blog.daum.net/qweenbee/8893299
http://blog.daum.net/qweenbee/8895227 http://blog.daum.net/qweenbee/8897321
http://blog.daum.net/qweenbee/8897466 http://blog.daum.net/qweenbee/8899027
흰털괭이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3507
산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646 http://blog.daum.net/qweenbee/8887651
http://blog.daum.net/qweenbee/8887609 http://blog.daum.net/qweenbee/8887547
http://blog.daum.net/qweenbee/8897180 http://blog.daum.net/qweenbee/8897323
http://blog.daum.net/qweenbee/8900701
선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710 http://blog.daum.net/qweenbee/8887709
http://blog.daum.net/qweenbee/8887606 http://blog.daum.net/qweenbee/8893501
http://blog.daum.net/qweenbee/8897322 http://blog.daum.net/qweenbee/8897411
http://blog.daum.net/qweenbee/8899052
애기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709 http://blog.daum.net/qweenbee/8889645
http://blog.daum.net/qweenbee/8887605 http://blog.daum.net/qweenbee/8895264
http://blog.daum.net/qweenbee/8897324 http://blog.daum.net/qweenbee/8899028
애기괭이눈 종자 : http://blog.daum.net/qweenbee/8889852 http://blog.daum.net/qweenbee/8893509
가지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91584 http://blog.daum.net/qweenbee/8891723
http://blog.daum.net/qweenbee/8891632 http://blog.daum.net/qweenbee/8895645
http://blog.daum.net/qweenbee/8895901 http://blog.daum.net/qweenbee/8897643
가지괭이눈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3525 http://blog.daum.net/qweenbee/8895645
http://blog.daum.net/qweenbee/8897412
흰털괭이눈(큰괭이눈)/천마괭이눈(금괭이눈)/누른괭이눈/산괭이눈/선괭이눈/애기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91473
누른괭이눈/천마괭이눈/큰괭이눈(흰털괭이눈)/산괭이눈/선괭이눈/애기괭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9649
'들꽃공부방 > 풀나무 비교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닥나무/청시닥나무 꽃과 열매 (0) | 2011.06.15 |
---|---|
가는장구채/덩굴별꽃/덩굴개별꽃 신초 (0) | 2011.05.03 |
변산바람/너도바람/나도바람/세바람/들바람/태백바람/만주바람/남방바람/바람/회리바람 외 (0) | 2011.03.17 |
가시나무/참가시나무/개가시나무/종가시나무/붉가시나무/졸가시나무 비교 (0) | 2011.03.10 |
낙상홍/미국낙상홍 비교 (0) | 201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