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67

팥배나무(장미과) 2009. 9. 20. 동해안. 이 산에는 덜꿩나무와 함께 팥배나무가 많이 자생하고 있다. 팥배나무 열매를 직접 만나기는 첨이다. 정말 팥알만한 열매에 주근깨같은 점이 다닥다닥하다. 팥배나무는 잎맥이 뚜렷하고 겹톱니가 무척 날카로워서 초보자들도 잎의 특징만 익혀 두면 쉽게 팥배나무를 찾을 수 있다. .. 2009. 9. 21.
참으아리(미나리아재비과) 2009. 9. 20. 동해. 추암 전망대 부근에 참으아리가 피어 방문객들에게 진한 향기를 전해 주고 있다. 으아리 중에서도 꽃받침잎이 4장이고 해안에서 여름 늦게 피는 참으아리가 설핏 기운 가을 햇살에도 순백의 자태 여전하다. 참으아리 : 꽃받침이 4개, 잎이 두껍고 끝이 뾰족하지 않고 둥그.. 2009. 9. 21.
큰잎쓴풀3 2009. 9. 20. 동해안. 먼길 귀하게 만나고 와서 담은 자료 묵히기 아까워서 대구대구 올린다.,ㅎㅎ. 2009. 9. 21.
큰잎쓴풀 2-점박이 2009. 9. 20. 강원도 동해안. 소나무 사이 풀이 없는 곳을 온통 휘젓고 다니는 우리를 보고 등산객들이 뭐하냐고 궁금해 한다. 꽃을 찾고 있다니까 이 산에는 꽃이 없단다. 하기사 울긋불긋 화려하게 눈에 띄는 꽃이 없으니 꽃이 없디고 할 수 밖에. 그래도 특별한 꽃이 있어서 찾는 중이라고 .. 2009. 9. 21.
큰잎쓴풀 1 2009. 9. 20. 강원도 동해안 어느산. 이 녀석을 찾으려고 먼지가 푸석거리는 솔검불을 살피고 또 살피고 산을 한바퀴 돌다시피 했는데도 겨우 발견한 게 6포기라... 그래도 이 먼길 달려와서 이 정도라도 만났으니 다행이라 위안하며 내려오는데.. 아고야. 갈림길 부근을 왜 살피지 않고 엉뚱한 곳만 뒤졌.. 2009. 9. 21.
산구절초(국화과 구절초속) 어린 싹 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2009. 9. 20. 강원도 동해안. 큰잎쓴풀을 찾아 헤매는데 하얗게 핀 구절초가 눈에 들어온다. 그냥 지나치려는데잎이 가느다랗게 찢어진 게 여늬 구절초와 다르다면서 같이 간 ㅇㄱ 님이 포천구절초가 아니냐신다.정말 잎이 이제껏 보아온 구절초 종류 중에서 가장 잘게 찢어져 있다. 자세히 보니 은은한 분홍빛을 띤 녀석도 보인다.산구절초 같기도 하고 포천구절초 같기도 한데, 아무튼 담아 와서 최종 확인을 해야 하니.비도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았고 메마를 환경 때문에 한뼘 정도 크기라 담기는 안성맞춤이었다. 큰잎쓴풀 덕분에 아랫쪽에서는 만나기 어려운 산구절초까지 덤으로 담았으니 오늘 기행은 목적 달성 200%다.         잎이 선형으로 갈라지고 표면에 흰털이 많아서 뿌옇게 보인다   구절초 : https.. 2009. 9. 21.
사데풀 2009. 9. 20. 동해. 사데풀을 본 적은 있는데 담기는 처음이다. 해안 가에 많이도 피었다. 꽃은 조밥나물과 비슷하여 꽃만 보면 구분이 안된다. 잎은 뒷 면이 희고 우상으로 결각이 지거나 밋밋하거나 톱니가 있다. 아무튼 잎의 변이가 심하다. <사데풀> 국화과 다년초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어려.. 2009. 9. 21.
가는갯는쟁이(명아주과 갯는쟁이속) 2009. 9. 20. 동해. 해국을 정신 없이 담고 있는데, 옆에 갯능쟁이가 꽃을 피우고 있다.명아주의 한 종류라 뭐 야생화로 한자리 끼워주기에는 마뜩치 않지만이 녀석도 내륙에서는 볼 수 없는 한 종류라 섭섭하지 않게 몇 컷 담아 주었다. .                갯는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0갯는쟁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9갯능쟁이 새싹 : 가는갯는쟁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07   https://qweenbee.tistory.com/8898137             https://.. 2009. 9. 21.
추암 바다 해국 기행(해국/수송나물/사데풀/참으아리/갯사상자) 2009. 9. 20. 추암 바다. 가을 해국 기행을 동해안 추암 바다로 갔다. 가을 바다는 심심하게 모래밭으로 흰거품 밀어 올리며 물그림을 그리고 촛대바위 너머 멀리 망부의 손짓을 찾는 물어린 시선도 전설이라 아침 낚시질을 준비하는 갈매기는 추암 무릎 위에서 잠시 휴식을 즐기고 있다. 무심한 바다물은.. 2009. 9. 21.
해국 2009. 9. 20. 동해. 지난 여름 아름다왔던 살가운 이의 눈길을 그리워하는지 해국은 오늘도 추암 바다를 바라보며 망부석으로 산다. 2009. 9. 21.
나래수송나물(명아주과 수송나물속) 열매 Salsola tragus L. 2009. 9. 20. 동해. 염생식물의 하나로 바닷가 갯벌이나 모래땅 등의 소금기 있는 곳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육질은 온통 수분으로 다육성이며, 잎끝이 바늘처럼 뾰족하다. 키는 10~40㎝ 정도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수송나물로 정리 해 두었었는데 열매의 닭벼슬 같은 화피편으로 봐서 나래수송나물 수정한다 솔장다리 열매에도 화피편에 얇은 막질 비늘 날개가 있는데 전초가 더 가늘고 위로 크게 자라며 잎도 바늘처럼 가는 점이 다르다.   결실기에 화피편은 짧은 돌기를 내거나 거의 불변 ............수송나물결실기에 화피편은 닭벼슬 모양의 돌기를 낸다 ................. 솔장다리   잎은 호생하고 육질이며 원주형이고 짙은 녹색이며 솔잎처럼 가늘고 길이 1-3cm로서 끝이 뾰죽하며처음.. 2009. 9. 21.
갯사상자 2009. 9. 20. 동해. 바닷가 식물의 특징인 키가 작고 잎은 깃꼴겹잎으로 소엽이 5~7개이며, 두텁고 윤채가 있다. 척박한 곳을 좋아하여 메마른 바위 틈에서도 이렇게 꽃을 피우고 고운 열매를 맺었다. 사상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7 https://qweenbee.tistory.com/8891731 https://qweenbee.tistory.com/889413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529 https://qweenbee.tistory.com/8900445 https://qweenbee.tistory.com/8900446 https://qweenbee... 2009.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