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67

붉은서나물 2009. 9. 3. 이름은 붉은서나물이라고 하는데 정작 꽃은 붉지 않고 줄기에 붉은 빛이 돈다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그렇다는 게지 붉은 기운이 없는 것도 있다. 주홍서나물보다 잎에 심하게 결각이 있다. 붉은서나물 : 잎의 결각이 심하고 두상화가 흰색, 꽃자루가 꼿꼿하다. 잎자루가 없다 주.. 2009. 9. 16.
삽주 (국화과 삽주속) 2009. 9. 13. 산사. 삽주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31 http://blog.daum.net/qweenbee/8886938 http://blog.daum.net/qweenbee/8900435 http://blog.daum.net/qweenbee/8903375 2009. 9. 16.
마(마과 마속) 열매 2009. 9. 13. 산사숲. 마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6307 http://blog.daum.net/qweenbee/8894307 http://blog.daum.net/qweenbee/8894822 http://blog.daum.net/qweenbee/8886239 http://blog.daum.net/qweenbee/8886249 http://blog.daum.net/qweenbee/8902877 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6250 http://blog.daum.net/qweenbee/8896171 http://blog.daum.net/qweenbe.. 2009. 9. 16.
여우주머니 2009. 9. 15. ㅂㅈㅅ. 숲. 여우는 주머니도 이쁘고 구슬도 이쁜 걸 가지고 다니나 보다. 여우구슬, 여우주머니 둘 다 모양새도 비슷하고 이름도 비슷해서 익혀두고도 또 헷갈리는 녀석들이다. 근데 웃기는 건 이 두 녀석 모두 꽃이 필 때는 모르고 있다가 열매가 달리고 나서야 눈에 띈다는 게다. 해서 열매 .. 2009. 9. 16.
회양목(회양목과) 2009. 9. 15. 무엇일까요? ㅎㅎㅎ 봄에 핀 회양목 꽃이다. 산수유보다 더 먼저 피는 녀석이라서 꽃이 필 때는 온통 벌들이 더배기로 달려든다. 2009. 9. 15.
방동사니대가리(사초과 방동사니속) 2009. 9. 15. 방동사니 종류도 엄청 많다.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0 흰(서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9 알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8646   https://qweenbee.tistory.com/88871.. 2009. 9. 15.
파대가리(사초과 파대가리속) 2009. 9. 15. 이름도 참~! 망칙하게스리 파대가리가 뭐이가? 하기사 중대가리풀도 있으니... 아마 공같이 동그란 화서 모양이 대파 꽃처럼 생겨서 파대가리라는 이름을 얻은 모양이다. 그래도 그렇지 대가리가 뭐이가 대가리가. 세대가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6687 http://blog.daum.net/qweenbee/8.. 2009. 9. 15.
수리취 2009. 9. 13. ㄱㅇㅅ. 숲. 수리취가 아직 부화를 하지 못하여 눈을 뜨지 못하고 있다. 꽃이 부리부리한 독수리 눈을 닮아서 닮아서 수리취라 한단다. 수리취도 국화수리취, 민국화수리취, 큰수리취, 수리취...몇 종류가 되는데 이 아그들 동네 까정 파헤칠라믄 먼데 큰 산으로 싸돌아 댕겨야 .. 2009. 9. 15.
석류풀 2009. 9. 12. 개차즈기 동네 밭 가에 석류풀도 함께 어울려 살고 있다. 산림박물관 마당 바닥 틈새에도 석류풀이 세들어 살고. 꽃가지가 갈라지는 마디에 석류나무 잎같이 3장의 가느다란 잎이 돌려나기로 붙어 있다. 꽃은 벌써 끝나고 열매만 가득하다. 밭둑이나 밭이랑에서 만날 수 있다. <석류풀> .. 2009. 9. 15.
개차즈기 2009. 9. 12. 온혜 들녘. 청량산 가는 길에 들녘 농로를 흘낏거리는데 오잉? 개차즈기 같은디.....멀찌감치 느껴지는 청록색의 분위가 아무래도 개차즈기 같다.돌아올 때 확인해야 겠다고 그냥 지나쳤는데, 소나기에 쫓겨서 허둥지둥 하산하여 오던 길에 잊지 않고 차를 멈추었다. 헌데 멀리 떨어진 풀 무더기까지 가기도 전에 바로 도로 옆 밭 가에 역시 짐작했던 개차즈기가 포기도 튼실하게 개화를 시작하고 있다.반야마을에서 개차즈기를 만나서 담았지만 이렇게 튼실한 녀석을 보니 또 그냥 지나칠 수야 없지 않간? 개차즈기는 이태 전에 갈라산 자갈밭에서 처음 만났더랬는데, 지난 주에도 갈라산에 갔다가 콩포기 사이에 서 있는 모습을 확인하였다.헌데 산짐승이 콩을 따 먹지 못하게 하려고 밭 둘레를 온통 전기철사로 .. 2009. 9. 15.
장대여뀌 2009. 8. 22. 가야산. 바보여뀐 줄 알았는데 화서가 아래로 처지는 것이 바보여뀌 화서가 선형으로 꼿꼿하게 서는 것이 장대여뀌란다. 둘 다 꽃이 듬성 달리는 건 비슷하다. <장대여뀌>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양끝이 길게 좁아지고 길이 3-7cm, 폭 1.5-3cm로서 양면에 약간의 털이 있으.. 2009. 9. 15.
털여뀌/기생여뀌/개여뀌/흰여뀌(명아자여뀌) 털여뀌(노인장대) 기생여뀌 개여뀌  흰여뀌(명아자여뀌) 털여뀌 기생여뀌 개여뀌 흰여뀌(명아자여뀌)털여뀌 기생여뀌  개여뀌  흰여뀌(명아자여뀌) 털여뀌 기생여뀌   개여뀌      흰여뀌(명아자여뀌) 털여뀌기생여뀌개여뀌   흰여뀌(명아자여뀌)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 2009.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