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971 동래엉겅퀴 2 2009. 9. 27. 상주. 가을이 좋다. 웬지 마음이 너그러워지고 평화롭다. 보라색 엉겅퀴를 찾아 들판을 걷는 것도, 억새풀 사각거리는 소리도 다정스럽고 어깨에 내리는 가을 햇살에 눈 가늘게 뜨고 깨끼발로 가을을 쫓아가는 솔체도 고와서 좋다. 2009. 9. 27. 동래엉겅퀴(국화과)=>버들잎엉겅퀴 2009. 9. 27. 상주. 이 곳은 가을에 꽃쟁이들이 즐겨 찾는 이유가 동래엉겅퀴에도 있다. 벼가 노랗게 익고 있는 논을 배경으로 보라색 동래엉겅퀴가 참 잘 어울린다. 논둑의 풀을 베면서 엉겅퀴를 남겨 놓은 논 주인께 감사를 드린다. 늘 별 생각 없이 엉겅퀴를 들여다 보았는데 작년 이상한 점을 발견하였다. 잎에 결각이 있는 것과 버들잎엉겅퀴로 생각할 수 있는 결각이 전혀 없는 두 종류가 있다는 것이다. 이 두 종류가 논둑에 한데 섞여 자생하고 있는데 다른 종으로 봐야 할지, 아니면 같은 종으로 봐야 할지... 나는 단지 의문만 제기한다. 판단은 분류학자들이 할 일이다. 1. 동래엉겅퀴 잎에 결각이 심한 개체이다. 개체1. 개체1. 2. 결각이 없고 매끈한 버들잎처럼 생긴 개체이다. 개체2. 개체2. .. 2009. 9. 27. 수원잔대 2009. 9. 27. 울긋불긋 독수리 날던 언덕 위에 보라색 수원잔대가 가을비에 간지러워 하고 있었다.안개구름 사이로 멀리 가을 들판과 마을 정경이 희미하게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찾아온 이쁜 손님이 반가워서 연속으로 담았다. . 섬잔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8 https://qweenbee.tistory.com/8901522 https://qweenbee.tistory.com/8901573 가야산잔대 :https://qweenbee.tistory.com/8886686 https://qweenbee.tistory.com/8899742 층층잔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 2009. 9. 27. 민주름조개풀(벼과 주름조개풀속) 2009. 9. 26. 동대산. 주름조개풀은 화축에 털이 있는데 민주름조개풀은 화축에 털이 없다. 주름조개풀 :http://blog.daum.net/qweenbee/8888959 http://blog.daum.net/qweenbee/8886465 http://blog.daum.net/qweenbee/8898573 http://blog.daum.net/qweenbee/8886873 민주름조개풀: http://blog.daum.net/qweenbee/8886956 애기주름조개풀 : 가지주름조개풀 : ********************************************************************* 조개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674 조개풀 열.. 2009. 9. 27. 개기장(벼과 기장속) 산계곡 길섶 볕보다 그늘이 더 많은 곳에 있었다.자주 보던 녀석이라 눈에는 익었는데 이름을 아직 익혀 두지 못하였다. 휘어지는 가느다란 화서가 매력적이다.확인 결과 개기장이 맞다는 답을 얻었다. 어쩐지 이삭이 기장을 닮았다 했더니. 기장 : https://qweenbee.tistory.com/8907781 https://qweenbee.tistory.com/8907781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6 개기장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1 https://qweenbee.tistory.com/88908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955 ht.. 2009. 9. 27. 천남성 열매 2009. 9. 26. 절 때로 저 빨간 색에 유혹당하지 말기를. 맹독성이라 열매도 함부로 입에 넣으면 안된다. 2009. 9. 27. 비목나무(녹나무과) 열매 2009. 9. 26. 초연이 쓸고 간 깊은 계곡~♪ 깊은 계~곡 양지녘에~~♬~~ 비목 노래의 비목이 비목나무는 아니다. 그래도 이 녀석 보면 비목 노래가 흥얼거려지는 걸 구태여 막을 수 있간? 반짝거리는 비목나무 붉은 열매가 무지 곱다. 감태나무 열매랑 많이 닮았다. 비목나무는 노랗게 단풍이 드는데, 가을이 .. 2009. 9. 27. 낙동강 굽어보는 언덕에서(자주쓴풀/물매화/당잔대/구절초/솔체/동래엉겅퀴 2009. 9. 27. 아침. 부슬거리는 빗방울이 원망스러웠지만 그래도 이 가을 휴일을 집에서 보내기엔 너무 아까워서 그 곳 낙동강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을 찾았다. 평소 같았으면 야생화 탐사팀 몇은 보일텐데 날씨 때문인가 인적이 없다. 가을비를 맞으면서도 개화를 시작한 자주쓴풀이 꽃잎을 활짝 펼쳤다.. 2009. 9. 27. 울산도깨비바늘 2009. 9. 26. 오늘 또하나의 큰 수확은 울산도개비바늘은 델꼬 왔다는 거다. 도깨비바늘 자료를 정라해 두었는 데 울산도깨비가 빠져서 알찌근해 하고 있엇는데, 탐사를 마치고 늦은 점심을 먹느라 너른 냇가 자갈 밭에서 라면 물 끓는 것을 들여다 보고 있었는데.. 어? 울산도깨비다~! 하도 호들갑을 떨면.. 2009. 9. 27. 구절초 2009. 9. 26. 계곡 바위 벽에는 구절초도 한창이다. 하얗게 피어 있는 구절초가 너무 청초하다. 폭포 버전, 물버전, 풍성한 모델을 데리고 이리 저리 담았는데 생각대로 안된다. 쓸데 없는 욕심이 앞서니 지대로 담겨 지간디. 2009. 9. 27. 투구꽃 2009. 9. 26. 이 계곡에는 투구꽃이 한창이다. 가까운 사찰 숲에는 투구꽃이 피지 않아서 아직 담아오지 못하였는데, 반갑게 담아 왔더니 하늘은 온통 낮은 구름에 나무 그늘이라 제대로 잡히지 않았다. 노랑투구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4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5 https://qweenbee.tistory.com//8890626 https://qweenbee.tistory.com//8888904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7 https://qweenbee.tistory.com/8896462 https://qweenbee.tistory.com/8896702 https://qwe.. 2009. 9. 27. 회잎나무(노박덩굴과) 2009. 9. 26. 회잎나무 작은 잎도 단풍이 들고 열매 껍질도 갈라지기 시작하고 있다. 회잎나무는 화살나무와 거의 흡사하여 구분이 어렵다. 나뭇가지에 코르크질 날개가 있으면 화살나무 없으면 회잎나무다. 비교자료 : http://blog.daum.net/qweenbee/8885916 http://blog.daum.net/qweenbee/8886970 잎은 대생하.. 2009. 9. 27. 이전 1 ···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 2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