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67

가막살나무(인동과) 2009. 9. 23. 퇴근하면서 들른 산사 숲에는 짧은 가을 해 때문에 벌써 그늘이 들어서 어두웠다. 여름에는 퇴근 후 주변의 숲에서 이것 저것 담을 시간이 충분했는데 짧아진 해 때문에 바삐 서둘러도 빛이 안 도와준다. 잰 걸음으로 도착하여 가막살나무 열매를 담긴 했느데 선명하지 못하여 .. 2009. 9. 23.
대성쓴풀/큰잎쓴풀/네귀쓴풀/자주쓴풀 1. 대성쓴풀 땅바닥에 붙어 있다시피 하여 똥꼬를 하늘로 쳐들고 가지끈 업드려서 볼태기에 흙가루 뭍여서 담을 수 있었던 녀석이다. 잎은 대생하고 박막질로 3~5맥이 있으며 근엽은 주걱형으로 길이 2~3cm, 나비 0.6~1cm이고 끝은 둔하며 밑은 가늘고 길게 되어 엽병으로 되나 경엽은 엽병이 짧아져 없어지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0.5~2cm, 나비 0.5~1cm이다.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4수성이며 가지와 줄기 끝이나 잎짬에 달리고 화경은 가늘며 길이 1~4cm이고 밑으로 드리운다. 줄기는 비스듬히 서고 네모지며 연약하고 황록색을 띠며 차상분지하다. 근생엽)뿌리잎)은 주걱처럼 생겼다. 경생엽(줄기잎)은 잎자루가 짧아져서 없어지며 난형이다. 2. 큰잎쓴풀 꽃은 8~9월에 자색으로 피.. 2009. 9. 23.
벌개미취 2009. 9. 22. 거의 끝물인 벌개미취. 오가는 길에 여름이 시작되면서 부터 수십일 피어 있었건만 다 사그러진 후에 담으려고 하다니... 개미취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38 https://qweenbee.tistory.com/8889118 https://qweenbee.tistory.com/8889036 https://qweenbee.tistory.com/8892635 https://qweenbee.tistory.com/8898923 https://qweenbee.tistory.com/8899857 https://qweenbee.tistory.com/8901620 https://qweenbee.tistory.com/8900388 https://qweenbee.. 2009. 9. 23.
가는잎구절초(국화과) 2009. 9. 22. 퇴근길. 출퇴글 길 도로 옆에 화단을 조상해 놓았다. 여름에는 보라색이 버드쟁이나물이 퇴근 길을 즐겁게 해 주더니. 이 가을에 하얀 구절초가 오가는 길을 환하게 맞아주고 있다.. 2009. 9. 22.
과꽃 2009. 9. 22. 올해도~~♬ 과아~꽃이 피었습니다. ~♪ 꽃밭 가득~예~쁘게 ♬ 피었습니다. ~♪ 2009. 9. 22.
가막살나무/산가막살나무/덜꿩나무 비교표 가막살나무 덜꿩나무 산가막살나무 잎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으로 길이 5~14cm, 나비 3~13cm이며 끝은 급히 뾰족해지고 밑은 둥글거나 얕은 심장형 대생하고 난형, 타원상 긴 난형 또는 도란형 길이 4~10cm, 넓이 2~5cm 점첨두이고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심장저 잎은 대생하고 아원형, 넓은 도란형 또는.. 2009. 9. 22.
대새풀(벼과 대새풀속 ) 산 초입 볕이 잘드는 메마른 곳에 산다. 줄기의 잎이 달린 형상이 작은 대나무를 연상시겼다. 이삭은 소화경이 겨우 3~4개 정도로 무지 가늘다. 잎과 줄기의 모습이 대나무를 연상시켜서 나무를닮은 새풀이라 하여 이라고 이름을 얻은 것 같다. 대새풀 : blog.daum.net/qweenbee/8886920 수염대새풀 : 2009. 9. 21.
덜꿩나무(인동과) 2009. 9. 20. 정동진. 이 산에는 덜꿩나무가 무지 많다. 잎 앞, 뒷면과 잎자루, 햇가지에 털이 빡빡하게 나 있고 선형의 탁엽이 분명하게 보인다. 열매가 납작한 타원형이 덜꿩으로 알고 있는데 여기 덜꿩은 그렇게 많이 납작하지는 않다. < 개체 1.> ↑ 잎자루 기부에 선형의 탁엽이 보인.. 2009. 9. 21.
애기며느리밥풀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2009. 9. 20. 동해안. 잎이 좁고 긴 선형이 특징인 애기며느리밥풀.며느리네 가계도 복잡하여 자료를 정리해 봐야 하는데...며느리 자료는 별로 확보한 게 없다.       꽃며느리밥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623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3https://qweenbee.tistory.com/8896243   https://qweenbee.tistory.com/8888694https://qweenbee.tistory.com/8899812  https://qweenbee.tistory.com/8900348  https://qweenbee.tistory.com/8897121  https://qweenbee.tistory... 2009. 9. 21.
큰개미자리(석죽과) 2009. 10. 꽃잎 모양과 잎의 형태로 봐서 큰개미자리이다. 개미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79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9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473 https://qweenbee.tistory.com/8886917 https://qweenbee.tistory.com/8895814 https://qweenbee.tistory.com/889581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78 https://qweenbee.tistory.com/8896370 https://qweenbee.tisto.. 2009. 9. 21.
고개 숙인 엉겅퀴(국화과) 2009. 9. 20. 동해안. 잎을 보면 그냥 엉겅퀴 같은데 고개를 숙이니... 고개를 숙이는 엉겅퀴 종류로 큰엉겅퀴와 도깨비엉겅퀴가 있는데.... 도깨비로 보자니 잎이 걸리고 기냥 엉겅퀴로 보자니 고개 숙이는기 걸리고.. 큰엉겅퀴는 잎모양과 총포가 다르다. 해서 잎모양, 총포로 봐서 기냥 엉.. 2009. 9. 21.
섬쑥부쟁이(국화과 참취속) 새싹 Aster pseudoglehnii Y.S.Lim, Hyun & H.Shin 2009. 9. 19. 집.  울릉도에서는 섬쑥부쟁이를 부지깽이나물이라 하여 산비탈에 대량으로 재배를 한다. 언젠가 TV에서 성인봉 비탈에 재배한 부지깽이나물을 채취하여 모노레일로 푸대를 옮기는 것을 시청한 적이 있는데 그 나물이 바로 이 섬쑥부쟁이다. 봄철 가장 흔하게 먹는 산채로 향이 아주 좋다.우리 집 마당에도 손바닥만한 텃밭에 섬쑥부쟁이가 있는데 봄철에는 입맛을 돋우어 주고 있다.잎은 까실쑥부쟁이처럼 넓은데 꽃이 산국처럼 작다.  울릉도에서 주로 자란다.     2009. 9. 20. 동해안.     2009. 9. 18. 학가산 마을.     쑥부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4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68ht.. 2009.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