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508 흰전동싸리(콩과) Melilotus albus Medik. 2010. 6. 15. 안동. 전동싸리가 이젠 쉽게 보이기 시작한다.안동 지방에는 잘 눈에 띄지 않더니만 낙동강변 도로 옆에 무리 지어 꽃을 피우고 있다. 잎은 어긋나며 소엽은 3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원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다.측소엽은 엽병이 거의 없고 길이 1.5-3cm로서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중륵 끝이 뾰족하며 탁엽은 선형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없고 분백색을 띠며 향내를 뿜는다. 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9 https://qweenbee.tistory.com/889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390싸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 2010. 6. 16. 미국낙상홍(감탕나무과) 암꽃 수꽃 2010. 6. 15. 읍사무소. 읍사무소 옆에 식재된 나무 중에 매년 꽃만 다그다글 피는 녀석이 있다.. 꽃을 보니 낙상홍 같은데 열매가 안 열리는 거였다. 이 녀석 낙상홍 수그루라 생각하고 퇴근 길에 차를 세웠더니. 에그머니나~! 꽃이 희고 꽃밥이 노랗다. 미국낙상홍 수그루다. 학교에도 낙상.. 2010. 6. 16. 찔레꽃(장미과 장미속)Rosa multiflora Thunb. 2010. 6. 2. 안동. 생열귀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52 http://blog.daum.net/qweenbee/8890799http://blog.daum.net/qweenbee/8896299 http://blog.daum.net/qweenbee/8901308http://blog.daum.net/qweenbee/8903036생열귀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14 http://blog.daum.net/qweenbee/8892013http://blog.daum.net/qweenbee/8892197 http:/.. 2010. 6. 16. 구상나무(소나무과) 2010. 6. 13. 한라산. 구상나무도 암꽃의 색에 따라 푸른구상, 붉은구상, 검은구상나무가 있다. 구상나무 저 멀리 한라산 자락과 구름에 싸인 제주 시가지 풍광이 장관이다. 2010. 6. 16. 바위장대(배추과 털장대속) Arabis serrata Franch. & Sav. 2010. 6. 13. 한라산. 여태껏 내가 바위장대를 잘못 알고 있었다. 이 녀석을 바위장대로 제대로 이름 불러 주어야겠다. 한라산에 자생하는 바위장대는 높이 10-20cm로서 전체에 성모와 차상의 털이 있으며 밑에서 짧게 뻗는 가지가 나온다. 근생엽은 총생하고 꽃이 진 다음에도 남아 있으며 주걱모양이고 길이 5~33mm, 폭 2.5-7mm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성모가 있다. 경생엽은 밑부분의 것은 도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불규칙하며 뾰족한 톱니가 있다 높이 10-20cm로서 전체에 성모(星毛)와 차상(叉狀)의 털이 있으며 밑에서 짧게 뻗는 가지가 나온다.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서고 소화경은 길이 3-4mm로서 성모가 있으나 열매일 때는 길이 7-10mm로.. 2010. 6. 16. 한라설앵초(앵초과 앵초속) Primula farinosa subsp. modesta var. hannasanensis (T. Yamaz.) T. Yamaz. 2010. 6. 12. 제주. 육지에서는 설악이나 가야산에 가야 만날 수 있는 설앵초가 한라산에는 발에 채인다.한라산 백록담 등산로 주변은 설앵초로 분홍 꽃밭이다. 앵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511 https://qweenbee.tistory.com/8889820 https://qweenbee.tistory.com/8897462 https://qweenbee.tistory.com/8900943 https://qweenbee.tistory.com/8910236 https://qweenbee.tistory.com/8895483 한라설앵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79 https://qweenbee.ti.. 2010. 6. 16. 사초인디.=>한라사초 한라산 정상부에서 담은 사초이다. 2010. 6. 16. 털진달래(진달래과) 2010. 6. 12. 차암~! 살기 힘들겠다. 우째 여그 산꼭대기 현무암 위에 자리를 잡아서 이리 키도 못크고 있다냐? 그래도 용케 꽃은 피웠고야. 고맙다 아그야.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인편이 약간 있고 뒷면에 인편이 밀생하며 잎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6-10mm이다. 정상적으로 자라는 녀석은 높이 2-3m이고 소지는 연한 갈색이며 인편이 있고 털이 있다. 털진달래 한테 세들어 살고 있는 녀석 이름을 찾아줘야 하는디.. 흰참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113 https://qweenbee.tistory.com/8894024 https://qweenbee.tistory.com/8886690 https://qwee.. 2010. 6. 16. 낙상홍 암꽃 수꽃(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Ilex serrata Thunb. 2010. 6. 15. 학교 정원에 작은 꽃이 피는 나무가 있다. 아무도 이름을 모른단다.열매가 달리냐니까? 달렸는지 안 달렸는지도 잘 모르겠단다. 이그~!비슷하지만 잎 모양새가 다른 두 그루인데 작년에 그 나무 이름을 찾아 주었다. 낙상홍과 미국낙상홍. 낙상홍은 암그루이고, 미국낙상홍은 수그루이었다.그 낙상홍이 올해도 어김 없이 연보라색 꽃을 피웠다. 꽃 : 둘다 암수딴그루, 꽃의 색깔은 낙상홍이 엷은 자주색(흰색에 가깝기도) 미국낙상홍은 흰색 꽃잎 : 낙상홍은 4-5개. 미국낙상홍은 5-8개 잎 : 낙상홍은 난형에 가깝고 미국낙상홍은 낙상홍에 비해 잎이 더 크고 장타원형에 가까움. 엽연은 낙상홍은 소예거치 내지 침상거치라 할 수 있고 미국낙상홍은 파상에 가까움열매 : 미.. 2010. 6. 16. 시로미(시로미과) 2010. 6. 12. 진시황이 찾은 불로초 중의 하나 시로미다. 시로미가 생각보다 한라산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시로미는 5월 초순에 꽃이 일찍 피는 모양이다. 그래서 이 녀석을 담으려면 봄 일찍 한라산에 올라야 한단다. 꽃은 양성 또는 잡성으로 가지 끝의 엽액에 달리며 6월에 자주색 꽃이 피고 꽃잎은 3장이며 수술대는 가늘고 길며 꽃밥은 홍색이다. 잎 사이 붉은 색이 꽃이다. 시로미는 암수딴그루이거나 잡성화이거나 한단다. 꽃이 없으면 이미지라도 담아가야겠다고 몇 장 담는데 가지 끝 부분에 다글다글 맺혀 있는 것이 있다. 뭘까? 암튼 나중에 확인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는데 확인 결과 수꽃이다. 잎은 총생하며 두껍고 윤채가 있으며 넓은 선형이고 길이 5-6mm 폭 0.7-0.8mm로서 사방으로 퍼지고 점차 .. 2010. 6. 16. 들쭉나무(진달래과) 2010. 6. 13. 한라산. 들쭉나무를 찾아서 비탈의 작은 나무들을 살피는데 다들 쉽게 찾지를 못한다. 한 쪽에 설악산에서 보았던 댕댕이나무 잎 비슷한 나무가 보이길래 자세히 보니 들쭉나무가 맞다. 북한의 유명한 술로 들쭉술이 있다. 들쭉나무 열매를 가지고 그 술을 만드는 재료로 쓴다. 한라산 정상 부근이라 바람이 세어서 키가 크지 못한 들쭉나무가 나지막하게 누워 있다. 꽃을 찾으려고 이 녀석 가지를 헤집어 보니 이제 겨우 한 두 송이 피고 있는 실정이다. 봉오리는 붉은색이 강한데 꽃이 피는 녀석은 화관 겉에 붉은색 줄로 나타난다. 너무 귀엽고 앙징스럽다. ▶들쭉나무(V. uliginosum L.): 열매는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지름은 6-7㎜. ▶굵은들쭉(for. depressum Nakai): 열.. 2010. 6. 16. 사스래나무(좀고채목) 2010. 6. 13. 한라산. 한라산과 지리산에 자생한다는 좀고채목이다. 지금은 사스래나무로 통합되었다고 한다. 진달래밭 대피소를 지나면서 백록담까지 가는 등산로와 백록담에서 관음사로 내려가는 동안에 이 녀석아 대부분이었다. 자작나무과 소교목으로 잎이 작고 표면에 윤기가 보이고 톱니가 불규칙하다. 암수한그루인데 아직 수꽃이 매달려 있다. 자작나무과는 잎이 거의 비슷하고 수피가 흰 게 특징인데 수피가 얇게 벗겨진다. 거제수나무 : 10~16쌍(어긋나기, 길쭉한 달걀형으로 끝이 아주 길게 뾰족함) 자작나무 : 5~8쌍(어긋나기. 세모진 달걀형, 끝이 뾰족) 사스래나무 : 7~11쌍.(어긋나기, 세모진 달걀형, 끝이 길게 뾰족, 얕은 심장저) 물박달나무 : 6~8쌍(어긋나기, 달걀형, 잎자루와 잎 양면 맥 .. 2010. 6. 16. 이전 1 ··· 1948 1949 1950 1951 1952 1953 1954 ··· 2126 다음